• 제목/요약/키워드: 증승개방법(增乘開方法)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조선산학(朝鮮算學)의 방정식 해법(解法) (Solutions of Equations in Chosun Mathematics)

  • 김창일;윤혜순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40
    • /
    • 2009
  • 중국 산학에서 방정식 풀이 방법은 고법(古法)과 구장산술(九章算術)의 개방술(開方術), 개입방술(開立方術)을 시작으로 가헌(賈憲)의 개방석쇄법(開方釋鎖法)을 걸쳐 증승개방법(增乘開方法)으로 완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방법들을 알아보고 조선의 산학자들이 그들의 산서에서 사용한 해법을 연구한다.

  • PDF

산대셈 개방법(開方法)에 대한 《산학정의》의 독자적 성취: 어림수[상(商)] 배열법 개선을 통한 증승개방법(增乘開方法)의 정련(精鍊) (The Unique Achievement of 《SanHak JeongEui 算學正義》on KaiFangFa with count-wood: The refinement of ZengChengKaiFangFa through improvement of estimate-value array)

  • 강민정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273-289
    • /
    • 2018
  • The KaiFangFa開方法 of traditional mathematics was completed in ${\ll}$JiuZhang SuanShu九章算術${\gg}$ originally, and further organized in Song宋 $Yu{\acute{a}}n$元 dinasities. The former is the ShiSuoKaiFangFa釋鎖開方法 using the coefficients of the polynomial expansion, and the latter is the ZengChengKaiFangFa增乘開方法 obtaining the solution only by some mechanical numerical manipulations. ${\ll}$SanHak JeongEui算學正義${\gg}$ basically used the latter and improved the estimate-value array by referring to the written-calculation in ${\ll}$ShuLi JingYun數理精蘊${\gg}$. As a result, ZengChengKaiFangFa was more refined so that the KaiFangFa algorithm is more consistent.

홍정하(洪正夏)의 천원술(天元術)과 증승개방법(增乘開方法) (Hong JeongHa's Tianyuanshu and Zhengcheng Kaifangfa)

  • 홍성사;홍영희;김영욱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55-164
    • /
    • 2014
  • Tianyuanshu and Zengcheng Kaifangfa introduced in the Song-Yuan dynasties and their contribution to the theory of equation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Chinese mathematics. Furthermore, they became the most fundamental subject in the history of East Asian mathematics as well. The operations, or the mathematical structure of polynomials have been overlooked by traditional mathematics books. Investigation of GuIlJib (九一集) of Joseon mathematician Hong JeongHa reveals that Hong's approach to polynomials is highly structural. For the expansion of $\prod_{k=11}^{n}(x+a_k)$, Hong invented a new method which we name Hong JeongHa's synthetic expansion. Using this, he reveals that the processes in Zhengcheng Kaifangfa is not synthetic division but synthetic expansion.

번적과 익적의 역사 (History of Fan Ji and Yi Ji)

  • 홍성사;홍영희;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54
    • /
    • 2005
  • 중국 산학에서는 구장산술의 제곱근과 세제곱근의 해법을 일반화하여 고헌이 도입한 증승개방법을 통하여 다항방정식의 해의 근사값을 구한다. 이 때 도구로 사용되는 조립제법에서 음수와 그 연산을 정확히 사용하지 않아서 번적, 익적이라는 개념이 나타나는데, 이는 조선 산학에도 그대로 사용되었다. 먼저 중국과 조선에서 번적, 익확에 대한 역사를 조사하고, 19세기 중엽에 조선 산학자 남병길과 이상혁이 번적과 익적에 대한 충분조건을 얻어내고 이를 증명한 사실을 밝혀낸다.

  • PDF

유익(劉益)과 홍정하(洪正夏)의 개방술(開方術) (Liu Yi and Hong Jung Ha's Kai Fang Shu)

  • 홍성사;홍영희;김영욱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3
    • /
    • 2011
  • 조선 산학에서 다항방정식의 해볍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ll}$양휘산법(楊輝算法)${\gg}$의 전무비유승제첩법(田畝比類乘除捷法)에 인용된 유익(劉益)의 ${\ll}$의고근원(議古根源)${\gg}$에 들어있는 개방술(開方術)이다. 이 논문은 ${\ll}$양휘산법(楊輝算法)${\gg}$에 설명되어 있는 개방술(開方術)을 조사하여 증승개방법(增乘開方法)은 조립제법과 관계없이 이항식$(y+{\alpha})^n$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을 밝혀낸다. 이어서 ${\ll}$양휘산법(楊輝算法)${\gg}$을 연구한 홍정하(洪正夏)(1684~?)가 그의 ${\ll}$구일집(九一集)${\gg}$에서 유익(劉益)-양휘(楊輝)와 ${\ll}$산학계몽(算學啓蒙)${\gg}$의 결과를 확장하여 증승개방법(增乘開方法)을 완벽하게 정리한 것을 밝혀낸다.

개방법(開方法)과 좌표축(座標軸)의 평행이동(平行移動) (Kaifangfa and Translation of Coordinate Axes)

  • 홍성사;홍영희;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387-394
    • /
    • 2014
  • Since ancient civilization, solving equations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s in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The extractions of square roots and cube roots were first dealt in Jiuzhang Suanshu in the setting of subdivisions. Extending these, Shisuo Kaifangfa and Zengcheng Kaifangfa were introduced in the 11th century and the subsequent development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s to mathematics in the East Asian mathematics. The translation of coordinate ax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school mathematics. Connecting the translation and Kaifangfa, we find strong did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students'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Kaifangfa together with the translation itself although the latter is irrelevant to the former's historical development.

산학계몽과 묵사집산법의 비교 (A Comparison between Suanxue qimeng(Introduction to Mathematical Studies} and Muksa-jipsanbup)

  • 허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6
    • /
    • 2008
  • 중국의 산학서 산학계몽은 산학의 훌륭한 입문서로 조선 산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의 편제와 내용을 본받은 조선 산학서 묵사집산법은 많은 문제와 별해를 추가하고 산학계몽에서 다루지 않은 산학의 몇 가지 주제도 보완해서 교육적 개선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묵사집산법은 정부술을 배제시킴으로써, 전통적인 방정술을 이용할 수 없었다. 또 천원술도 회피함으로써, 일반적인 승방(다항 방정식)의 표현과 풀이에도 큰 제약을 받았다.

  • PDF

증승개방법(增乘開方法)과 다항방정식(多項方程式)의 해(解) (Zengcheng Kaifangfa and Zeros of Polynomials)

  • 홍성사;홍영희;김창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303-314
    • /
    • 2020
  • Extending the method of extractions of square and cube roots in Jiuzhang Suanshu, Jia Xian introduced zengcheng kaifangfa in the 11th century. The process of zengcheng kaifangfa is exactly the same with that in Ruffini-Horner method introduced in the 19th century. The latter is based on the synthetic divisions, but zengcheng kaifangfa uses the binomial expansions. Since zengcheng kaifangfa is based on binomial expansions, traditional mathematicians in East Asia could not relate the fact that solutions of polynomial equation p(x) = 0 are determined by the linear factorization of p(x).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thematical structures of zengcheng kaifangfa and Ruffini-Honer method. For this object, we first discuss the reasons for zengcheng kaifangfa having difficulties to connect solutions with linear factors. Furthermore, investigating multiple solutions of equations constructed by tianyuanshu, we show differences between two methods and the structure of word problems in the East Asian mathematics.

18세기 조선산학서의 대수 영역에 나타난 서양수학 표현 및 계산법 연구 (A Study of the Representation and Algorithms of Western Mathematics Reflected on the Algebra Domains of Chosun-Sanhak in the 18th Century)

  • 최은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25-4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양수학이 본격적으로 유입된 18세기 조선의 사회문화적 배경 하에 저슬된 조선 산학서의 대수 영역에서 서양수학의 표현과 계산법을 반영한 내용을 살펴보고, 서양식 계산법과 전통적 계산법의 공존 관계 또는 대체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8세기 산학문헌인 <구수략>, <고사신서>, <고사십이집>, <주해수용>을 중심으로 하여 <구일집>, <산학입문> 등 총 9종의 산학문헌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산대 조작을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인 사칙계산법이 과도기적 표현을 거쳐 유럽 수학의 필산으로 발달해가는 과정과 서양의 비례 개념과 비례식을 형식화하여 명시적으로 다루는 18세기 산학서의 공통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연립일차방정식 해법의 계산식의 수학적 표현이 점진적으로 형식화되는 과정을 관찰하였다. 제곱근 계산법이 전통적인 개방술에서 증승개방법의 적용으로, 다시 유럽 산술이 반영된 제곱근을 구하는 필산으로 변화해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18세기 조선산학 사례들은 수학의 진화적 속성과 사회문화적 속성을 이해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