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증발성능

검색결과 457건 처리시간 0.022초

자동변속기 부품의 전자빔 용접특성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Electron Beam Welding Characteristics of Automatic Transmission Parts)

  • 김숙환;김성욱;김기철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9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4-114
    • /
    • 2009
  • 최근 국내외에서 자동차 연비와 성능 향상을 위하여 고부가가치 자동변속기의 개발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특히, 유럽(ZF)과 일본(JATCO, AISIN)을 비롯한 변속기 부품의 기술선진국에서는 전자빔 용접을 적용한 고부가가치 자동변속기 제품이 개발되어 다양한 고급차 모델에 적용되고 있으며 2010년까지 8속 자동변속기를 출시할 예정으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변속기를 개발하기 위하여 부품의 성형 및 가공정밀도 관리가 중요하며, 최종 조립되는 부품의 전처리(연질화처리, 탈지, 이물질 제거등)와 용접시 용접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정조건의 엄격한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변속기 부품으로 사용되는 소재는 성형성 확보를 위한 연질재(SPCC)와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고강도강(SAPH400, SPFH590)으로 서로 다른 두께의 재질이 조립되어 최종단계에서 용접공정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특히, 연질재는 복잡한 형상으로 성형한 다음, 가공을 거쳐 경화를 위한 연질화처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건전한 용접을 하기 위해서는 용접면에 접한 연질화 처리부는 연질화 처리재가 잔존하지 않도록 완전한 제거할 필요가 있다. 만약 전처리 공정에서 충분한 세척과 가공품의 정도관리가 확보되지 않으면 전자빔 용접시 고온에서 이물질 증발과 잔류, 스패터 발생등에 의한 용접부 결함발생이나 용접변형으로 인하여 제품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종 조립공정인 용접작업시 발생되는 결함을 방지하고 이 두께 및 이종소재의 전자빔 용접비드 형상(비드 폭, 용입깊이)을 최적화 함으로서 용접부 변형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고자 전자빔 용접전류와 속도에 따른 비드형상을 비교검토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실차적용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자빔 용접한 자동차 변속기 부품의 비틀림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전자빔 용접 전, 후의 변형량을 측정하여 변속기 부품으로서의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PDF

非金屬 環狀윅을 갖는 히이트파이프 性能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heat pipe performance with non metallic circumferential wick)

  • 서정일;장영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713-723
    • /
    • 1986
  • 본 논문에서는 비금속성 재질(SiO$_{2}$)로 만든 윅의 열전달 특성을 실험적 해석적 방법으로 연구했다. 먼저 비금속 윅을 단독으로만 실험하여 해석해와의 일치 성을 밝히고, 윅의 성능 개선을 위해 결합재의 첨가가 히이트파이프 증발부의 열전달 에 미치는 영향을 ADI해석 해법으로 예측하였다. 따라서 고온용 히이트파이프 뿐만 아니라 ,저온용에서도 비금속윅의 사용을 위한 가치 판단을 하고 비금속성 재질(SiO S12 등)이 윅으로서 넓게 이용 될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CO_{2}$이용 열펌프의 실외열교환기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Outdoor Heat Exchanger for Heat Pump Using $CO_{2}$)

  • 장영수;이민규;안영산;김영일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01-10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outdoor heat exchanger for heat pump using carbon dioxide. Two types of fin and tube heat exchangers (2 rows for type A and 3 rows for B) are tested. Both heat exchangers have counter-cross flow and 1-circuit arrangement. Test results such as heat transfer rate, pressure drop characteristics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heat exchanger are shown with respect to mass flow rate of refrigerant and frontal air velocity For cooling mode, the minimum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air and refrigerant of type B is smaller than that of type A by $1^{circ}C$, but the pressure loss of air side is much higher for type B by $29\%$. It is found that a large temperature gradient of carbon dioxide during gas cooling Process Promotes thermal conduction through tube wall and fins which results in degradation of heat transfer performance. For heating mode operation, type B heat exchanger shows higher heat transfer performance compared to type A. However, because pressure loss of refrigerant side of type B is much greater than that of type A, the refrigerant outlet pressure of type B becomes lower than that of type A.

마이크로핀관 증발기내 전열 성능에 미치는 냉동기유의 영향 (Effect of refrigeration lubricants on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in the microfin tube evaporator)

  • 조금남;태상진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61-72
    • /
    • 1999
  • The present study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effect of refrigeration lubricant on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in the straight sections and U-bend of a microfin tube evaporator by using R-22/mineral oil and R-407C/POE oil. The apparatus consisted of test section with U-bend, preheater, condenser, oil injection and sampling devices, magnetic pump, mass flow meter etc. The experimental parameters were oil concentration of 0 to 5 wt%, inlet quality of 0.1 to 0.5, mass flux of 219 and $400kg/m^2s$ and heat flux of 10 and $20kW/m^2$. The effects of parameters on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s were large in the order of inlet quality, mass flux and heat flux as oil concentration got increased. As oil concentration was increased, heat transfer coefficients were continuously decreased for R-22 and increased by 3% up to the concentration of 1% and then decreased for R-407C under the condition of large inlet quality, and small mass flux and heat flux. But,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s were increased up to the concentration of 3% and then decreased for both R-22 and R-407C refrigerants under the opposite conditions. The variation of enhancement factors for R-407C was under 50% of that for R-22 and the varia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s in the test section was small. The pressure drops were increased for both R-22 and R-407C refrigerants as oil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he pressure drops for R-407C were smaller by the maximum of 18% than those for R-22.

  • PDF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 제조된 다층 Al-Mg 코팅강판의 특성 (Properties of Multi Layers Al-Mg Coated Steel Sheets by Sputtering System)

  • 정재훈;양지훈;김성환;변인섭;정재인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9-109
    • /
    • 2016
  • 철을 보호하는 코팅막에 있어서 현재는 우수한 희생방식성을 가지는 아연(Zn)이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코팅막의 두께 증가가 필연적이다. 동일한 두께 혹은 그 이하에서 더 나은 내식성을 가지는 코팅막을 개발하는 목적으로 알루미늄(Al)과 마그네슘(Mg)을 이용한 코팅막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발표에서는 Al과 Mg의 코팅막을 다층으로 제작하여 이전 실험의 Al-Mg 코팅 강판과 비교 하였을 때 어떠한 특성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Al-Mg 코팅층은 99.999%의 Al, 99.99%의 Mg target을 사용하여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냉연강판 위에 코팅하였다. 증발물질과 기판과의 거리는 7cm 이며, 기판은 세척을 실시한 후 클리닝 챔버에 장착하고 ${\sim}10^{-5}Torr$ 까지 진공배기를 실시하였다. 클리닝 챔버가 기본 압력까지 배기되면 아르곤 가스를 주입하고 기판홀더에 -800 V의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약 30분간 글로우 방전 청정을 실시하였다. 기판의 청정이 끝나면 아르곤 가스를 차단하고 코팅 챔버로 시편을 이송 후 코팅층 성분의 구성형태에 따라 Al과 Mg을 코팅하였다. Al-Mg 코팅층은 $5{\mu}m$의 두께를 기준으로 계면의 코팅층이 각각 Al과 Mg이며 다층으로 구성된 코팅층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후속 공정으로 질소 분위기 $400^{\circ}C$에서 10분간 열처리를 하였다. Al-Mg 코팅층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표면에서는 Al 또는 Mg의 결정성 구조를 보였으며 단면에서는 다층의 경계를 조금이지만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글로우방전분광기(GDLS)를 통해 열처리 후에는 층의 구분이 모호해 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XRD를 통하여 열처리 후 Al-Mg 합금상의 생성도 확인하였다. 또한 Al-Mg가 다층으로 코팅된 강판을 염수분무시험을 통해서 내부식 특성을 확인하였다. Al-Mg 코팅 강판의 염수분무시험 결과, 모든 제작된 코팅층에서 열처리 전 보다 열처리 후 3배 이상의 내식성의 향상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열처리에 의한 합금상 생성 그리고 Al-Mg 박막의 미세구조 변화가 강판의 내식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다층 제작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대용량 액체 수소 저장탱크를 위한 다층단열재의 단열성능 분석 (Adiabatic Performance of Layered Insulating Materials for Bulk LH2 Storage Tanks)

  • 김경호;신동환;김용찬;강상우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642-650
    • /
    • 2016
  • One of the most feasible solution for reducing the excessive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dioxide emission is usage of more efficient fuel such as hydrogen. As is well known, there are three viable technologies for storing hydrogen fuel: compressed gas, metal hydride absorption, and cryogenic liquid. In these technologies, the storage for liquid hydrogen has better energy density by weight than other storage methods. However, the cryogenic liquid storage has a significant disadvantage of boiling losses. That is, high performance of thermal insulation systems must be studied for reducing the boiling losses.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ies of the composite layered insulation with aerogel blankets($Cryogel^{(R)}$ Z and $Pyrogel^{(R)}$ XT-E) and Multi-layer insulation(MLI). The aerogel blankets are known as high porous materials and the good insulators within a soft vacuum range($10^{-3}{\sim}1$ Torr). Also, MLI is known as the best insulator within a high vacuum range(<$10^{-6}{\sim}10^{-3}$ Torr). A vertical axial cryogenic experimental apparatus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layered insulators under cryogenic conditions as well as consist of a cold mass tank, a heat absorber, annular vacuum space, and an insulators space. The composite insulators were laminated in the insulator space that height was 50 mm. In this study,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ies of the material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boil-off rate of liquid nitrogen and liquid argon in the cold mass tank.

CTA를 이용한 중공사형 기체분리막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Hollow Fiber Membrane for Gas Separation Using CTA)

  • 고형철;하성용;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21권1호
    • /
    • pp.98-10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TA) 고분자를 이용한 중공사형 분리막을 상분리법에 의해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중공사 분리막의 기체분리 성능을 평가하였다. 제조된 중공사형 분리막의 기체분리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1,4-dioxane을 10 wt.% 내외로 첨가하였다. 1,4-dioxane의 첨가에 의해 중공사 표면에 치밀층 형성을 위해서는 1,4-dioxane이 표면에서 증발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air-gap의 조절에 의해 중공사 표면에 치밀층이 생성되도록 하였다. 제조된 CTA 중공사형 기체분리막의 표면 및 단면의 모폴로지 측정을 위하여 전자주사현미경을 사용하였다. 또한 CTA 중공사형 기체분리막의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에 대한 기체투과도를 측정하였으며, 이 때 $P_{CO2}$ = 17 GPU, ${\alpha}_{CO2/N2}$ = 48을 나타내었다.

마이크로 그루브를 가진 열사이폰 열교환기의 비등열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oiling Heat Trausfer of Thermosyphon Heat Exchangers with Various Micro Grooves)

  • 조동현;이종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421-428
    • /
    • 2004
  • 열사이폰 열교환기는 잠열을 이용한 대량의 열수송 능력과 증기류의 열확산에 의한 온도 분포의 균일화, 경량, 간단한 구조, 빠른 열응답 특성 등의 우수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우수성을 보유하고 있는 열사이폰 열교환기에 대하여 기하학적 형태, 유체의 물성, 열유속 및 내부압력 등 열사이폰의 작동에 관련된 변수들에 관하여 열전달 성능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평관형 및 마이크로 그루브형 열사이폰에서 마이크로 그루브수의 변화와 작동유체는 증류수, 메탄올 및 에탄올의 종류 변화에 대한 실험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열전도계수와 증발 잠열값이 큰 증류수가 메탄올 및 에탄올보다 비등열전달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마이크로 그루브형 열사이폰이 평관형 열사이폰보다 비등열전달계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작동유체가 증류수인 경우 $2{\~}2.5$배 메탄올인 경우 $1.5{\~}2$배, 에탄올인 경우 $1.3{\~}1.5$배 높게 나타났다.

  • PDF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Estimation of LID Techniques)

  • 연종상;김응석;신현석;장영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444-444
    • /
    • 2015
  • 현제 도시유역의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유역 내 불투수면적의 증가는 직접 유출량 증가, 지하수자원 고갈, 침투량 감소, 증발산량의 감소 등의 물 순환 체계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도시 유역 내 물 순환 체계 변화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 국가에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의 개발 및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LID는 분산형 빗물관리 시설로써 유역 내 소규모의 LID 요소기술을 대상유역에 적용하여 강우유출수를 저류, 체류, 방지 및 처리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LID는 궁극적 목표로 계획단계에서 개발이전의 수문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보전, 영향최소화, 유출이동시간 유지, 추가유출량 감소, 오염발지에 초점을 맞추어 계획된다. 현제 LID의 성능 및 적용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해되어지고 있으나, LID 요소기술별 시공 비용, 유지관리 비용, 강우유출수 저감효율,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적용위치 등의 다양한 인자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LID요소기술별 적용성 평가를 수행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D 요소기술 중 나무화분 여과장치, 옥상녹화, 빗무정원, 투수성포장, 침투트렌치, 빗물통, 식생수로 등의 총 7가지 LID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시공비용, 유지관리비용, 강우유출수 저감효율,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적용위치 등의 촐 5가지 평가인자를 Entropy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인자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이후 다기준의사결정 방법 중 PROMETHEE 방법을 이용하여 LID 요소기술의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현제 PROMETHEE 방법을 이용하여 LID 요소기술별 우선순위를 산정한 결과 옥상녹화가 첫번째 우선순위로 분석되었으며, 침투트렌치, 나무화분여과장치, 투수성포장, 식생수로, 빗물통, 빗물정원 순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내에 LID를 적용할 경우 옥상녹화, 침투트렌치, 나무화분 여과 장치 등의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 및 기대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국내의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으며, 국내 LID 요소기술 적용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지역별 신뢰도 높은 LID 요소기술 적용성 평가를 위해서는 대상유역 내 시공된 LID 요소기술을 계측하여 비점오염원 및 우수유출수 저감효율, 시공 비용, 연간 유지관리 비용을 분석하여 평가를 수행되어 한다고 판단된다.

  • PDF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증발식 MEMS(Multi-Effect-Multi-Stage)담수기 성능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Performance of MEMS(Multi-Effect-Multi-Stage) Distiller for Solar Thermal Desalination)

  • 주홍진;전용한;곽희열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91-98
    • /
    • 2013
  • In this study, we have carried out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optimized MEMS(Multi-Effect-Multi-Stage) fresh water generator with $7m^2/day$ for solar thermal desalination system. The developed MEMS was composed of high temperature part and low temperature part. This arrangemen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availability of solar thermal energy. The MEMS consists of 2 steam generators, 5 evaporators, and 1 condenser. Tubes of heat exchanger used for steam generators, evaporators and condenser were manufactured by corrugated tubes. The performance of the MEMS was tested through in-door experiments, using an electric heater as heat source. The experimental conditions for each parameters were $20^{\circ}C$ for sea water inlet temperature to condenser, $8.16m^2$ /hour sea water inlet volume flow rate, $70^{\circ}C$ for hot water inlet temperature to generator of high temperature part, 3.6 4.8, 6.0 $m^2/hour$ for hot water inlet volume flow rate. As a result, The developed MEMS was required about 85 kW heating source to produce $7m^2/day$ of fresh water. It was analyzed that the performance ratio of MEMS was about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