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층공간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초

히로미 후지이 건축에 나타난 중층(重層)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layered Space in the Architecture of Hiromi Fujii)

  • 배윤천;이강업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56-6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lti-layered space utilized as strategy for deconstruction in the architecture of Hiromi Fujii. Although the design of Eisenman and Fujii was based on the philosophical theory of Jacques Derrida, there are many different aspects of architecture. At the same time, Hiromi Fujii could construct his concept of multi-layered space to colligate the academic knowledge of Jacques Derrida, Roman Jakobson and Colin Rowe. This kind of concept for multi-layered space is a critical element to be distinct from the characters between two architects, and it is implied such as an significant concept to analyze the architecture for Hiromi Fujii. This multi-layered space contains interesting and researchable value to understand and to analyze the western architecture theory from the viewpoint of Asian architec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find the meaning to establish an theoretical foundation for being under discussion to the architecture of Fujii through the concept of multi-layered space.

버스와 지하철 진동에 대한 중층건물의 진동특성 (Vibration Characteristic of Medium-rise Building by Bus and Subway-induced Vibration)

  • 윤성원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97-104
    • /
    • 2007
  • 교통진동의 영향을 받는 중층건물의 진동특성에 관한 논문이다. 현장진동계측은 진동원과 진동감소대책을 위하여 실시되었다. 시간영역 진동데이터는 버스와 지하철로 인한 건물에 전달된 진동 영향 등의 진동특성을 위하여 이용되었다. 진동대책을 통한 진동감소의 효과 역시 입증할 수 있었다.

  • PDF

1994년 11월 동해 중층수의 분포 (Distribution of the East Sea Intermediate Water in November 1994)

  • 최용규;조규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9-127
    • /
    • 1997
  • 한국 동해 연안에서의 동해중층수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1994년 11월 5일부터 11일까지 동해 연안의 13개 정점에 대해서 CTD 관측을 행하였다. 동해 중층수는 $\sigma_\theta$가 27.2인 등밀도면상에서 온위가 약 $2.0\~2.3^{\circ}C$이고, 염분이 약 $34.04\~34.06$이었으며, 용존산소가 $5.6\~6.1\;ml/l$로 분포하고 있었다. 동해 중층수의 특성을 나타내는 $\sigma_\theta$가 27.2인 등밀도면은 외양에서 대륙붕으로 오면서 그 깊이는 약 200m에서 약 140m로 얕아진다. 특히 죽변 연안에서 $\sigma_\theta$가 27.2인 등밀도면의 깊이는 약 120m로 얕아지며, 온위가 약 $2.3^{\circ}C$이고 염분이 약 34.07이며 용존산소가 5.5 ml/l로, 외양의 동해 중충수에 비해서 수온과 염분이 다소 높으며, 용존산소가 낮은 수괴 특성을 나타내었다. 대륙붕역에서의 동해 중층수는 외양역의 동해 중층수 보다도 AOU가 약 0.8 ml/l, 염분최소치가 약 0.02 정도 높은 값을 보였다. 이것은 동해 연안 대륙붕역의 동해 중층수가 북쪽에서 직접 남하하는 중층수가 아니라 외양에 기원을 가진 중층수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

한라산 황칠나무 집단의 구조 및 생육동태 (Population Structure and Growth Dynamic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Araliaceae) in Mt. Halla)

  • 김세현;정헌관;장용석;김선창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8-256
    • /
    • 2004
  • 천연도료 황칠자원을 보전하고 육성하기 위한 육종계획의 일환으로 한라산 황칠나무 천연집단의 식생구조, 공간분포 및 생육동태 등 생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중요치(Ⅳ)가 높은 수종은 구실잣밤나무, 서어나무, 황칠나무, 종가시나무, 가시나무, 동백나무, 당단풍 등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 모든 조사구에서 공통적으로 출현한 수종은 구실잣밤나무와 서어나무 2종이었다. 층위별 황칠나무의 적산중요치는 상층에서 17.2%, 중층 12.9%, 하층 10.3%로 비교적 높은 우점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분포형은 상층, 중층, 하층에서 확률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칠나무 임분은 낙엽활엽수인 서어나무를 우점으로 하는 군집에서 종가시나무, 구실잣밤나무 등의 상록활엽수를 우점으로 하는 군집으로 진행되는 천이단계에 있었으며, 황칠나무는 이들 임분에서 주로 상층의 아우점종이거나 중층의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Morisita's index를 통한 공간분포는 치수(seedling)와 어린개체 (sapling)들은 대체로 모수로서 추정되는 성숙목으로부터 떨어진 곳에 집중분포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성숙목(Mature tree)은 규칙 분포하는 양상이었다. 결론적으로, 황칠나무는 다른 상록활엽 수들과 동반하여 집단 확산이 일어나며 , 집단의 확산을 위한 치수의 발생과 생장에 있어서 주변의 임분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체군의 동태를 예측한 결과, 낮은 직경급의 밀도가 높고 높은 직경 급의 밀도가 낮은 전형적인 역J자형 분포를 보였다.

산림내 산불잠재위험성 평가를 위한 충남지역의 층위별 연소물량 추정 (The estimation on fuel load of forest strata for assessing fire hazard potential in Chungnam forest area)

  • 원명수;윤석희;구교상;이명보;이우균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7-169
    • /
    • 2010
  • 본 연구는 산림내 산불잠재위험성 평가를 위해 충남지역을 대상으로 소나무림과 참나무림의 층위별 연소물량의 분포를 추정하기 위함이다. 각 임분의 층위별 연소물량을 파악하기 위해 $10m{\times}10m$ 방형구내의 상층(수고 8m 이상), 중층(8m 이하), 관목층, 지표층(초본, 낙엽, 낙지)을 대상으로 총 36개소를 조사하고 단위면적당(ha) 바이오매스량(연소물량)을 추정하였다. 혼효림의 층위별 연소물량은 소나무림과 참나무림에서 얻어진 결과를 1/2씩 합산하여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충남지역에서 추정된 연소물량은 상층 60~190 ton/ha, 중층 0.5~16 ton/ha, 관목층 0.06~1.9 ton/ha, 초본층 0.04~1.2 ton/ha, 낙엽 1~18 ton/ha, 낙지 0.3~7 ton/ha의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결과에서 얻어진 층위별 연소물량의 공간분포를 이용하여 산림내 산불잠재위험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 PDF

현상적 투명성의 개념을 통한 문루건축 공간의 상호 연계성 연구 - 사찰.서원 중층문루 건축 개체간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henomenal Transparency of the spatial Interrelation in the Architecture of the Moonru Multi roofs - Focused on Interrelation between Seo Won gate-house and temple gate-house in the Architecture entities of the Moonru Multi roofs -)

  • 류인혜;박진아;안은희;최경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74-82
    • /
    • 2011
  • All the phenomena and subjects of nature and society are within correlation interconnection, and they are inseparably connected one another. The elements of this interaction can be found out through the concept of transparency in the space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access space, in other words, a gate-house that is a buffer zone playing a process role up to the main space among successive spaces. It was chosen to be the subject of the study since it strengthens convergence into the main building and with the effect connecting spaces, it could show well the spatial possibility of transparency. Beside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limited to the Moonru Multi roofs that improves the functionality of spaces between gate-houses, and it is intended to progress contents by comparative analysis of two kinds such as Seo Won gate-house and temple gate-hous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places emphasis on harmony within the whole spaces. There are intimate relations between surrounding environment, external spaces and internal spaces, and it is important understand the spatial relations according to the shape appearing through interactions of parts in the whole spaces. In conclusion, the Moonru Multi roofs is analyzed with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concept that is contained in the frame of analysis and through ecological views through a visible and structural method. It can be understood what kinds of method for communication were used for ancestors to recognize and use spaces with the deduced concep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oonru Multi roofs with different character.

영남지역 기계금속산업클러스터의 형성과정과 구조 분석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tructure of the Machine and Material Industrial Cluster in Yeongnam Region)

  • 권오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96-218
    • /
    • 2010
  • 본 연구는 광역적 산업클러스터의 관점에서 영남지역 기계금속산업클러스터의 형성과정과 연계 구조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간의 국내외 연구들에서 광역적 산업클러스터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었다면, 이론적인 분석과 함께 영남지역 기계금속산업클러스터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시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광역적 산업클러스터의 형성과정 및 구조에 관한 모델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광역적 산업클러스터의 형성과정은 외연확산형과 연계 심화형 그리고 복합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광역적 산업클러스터의 내부 구조는 다양하며, 흔히 광역클러스터와 그 하위에 존재하는 개별 산업클러스터가 중층적 (혹은 다층적)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남지역에서 광역적 산업클러스터가 형성된 과정을 살펴보면 거시적 관점에서 개별 산업도시(산업클러스터)들이 점차 연계를 심화한 계심화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부산이나 대구 대도시권에서 발생한 제조업 교외화 과정에서 산업클러스터의 외연 확산이 있었으며, 그러한 점에서 보다 엄격히 말한다면 연계심화형에 부분적으로 외연확산형이 혼합된 복합형이라고 할 것이다. 영남지역의 광역적 기계금속산업클러스터는 공간적 차원에서 중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영남지역 대부분을 포함하는 광역 클러스터가 작동하는 한편으로, 그 하위에는 포항, 울산, 창원, 거제 등 개별 산업클러스터들이 독자적 단위로 존립하고 있는 것이다.

  • PDF

오.배수관 소음.진동저감방안의 시공사례

  • 김윤증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2권10호
    • /
    • pp.22-26
    • /
    • 2003
  • 근린생활시설 천정에 오$.$배수 수평주관이 위치하여 배수시에 소음$.$진동에 의한 환경 피해를 최소화한 시공 사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최근의 건축물은 지가 부담의 기준으로 가급적 최소한의 대지에 최대한의 고층으로 건설하려는 경향이 뚜렷하다. 본고의 대상건축물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어서 한정된 대지에 대한 용적율이 허용하는 최고층을 계획하다 보니, 배관전용 공간으로써의 중층(mezzanine)을 두지 못하고 부득이 근린생활시설(2층)의 천정에 오$.$배수 수평주관을 설치하도록 설계되었다.(중략)

  • PDF

인공호에서 몬순과 태풍 강우에 의한 고탁수층의 이동과 소멸특성 (Dynamics of High Turbid Water Caused by Heavy Rain of Monsoon and Typhoon in a Large Korean Reservoir (Andong Reservoir))

  • 박정원;신재기;이희무;박재충
    • 생태와환경
    • /
    • 제38권1호통권110호
    • /
    • pp.105-117
    • /
    • 2005
  • 낙동강 수계의 최대 인공호인 안동댐 저수지에서 2002${\sim}$2004년 동안 홍수기의 수온성층 구조에 따른 고탁수의 유입특성과 시 ${\cdot}$ 공간적 변동을 조사하였다. 6월부터 수온성층이 형성되었으며 성층구조에 따라 유입 수괴의 이동경로가 결정되었고 고탁수의 유입에 의해 성층구조가 변하였다. 고탁수는 유입 시기와 수량에 관계없이 저수지 상류부에서는 심층류로 유입되었고 중류부에서 바닥으로부터 분리되어 중층 밀도류의 형태로 하류까지 이동하였다. 또한 중층 밀도류의 형성지점은 유입량과 시기에 따라 공간적으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유입량에 의해 수온성층과 DO 분포가 변하였고, 시기에 따라 변수층에는 2개의 수온 급감층과 저산소층이 각각 존재하였다. 최하류까지 이동한 홍수량의 고탁수층은 상승류를 형성하여 수심 15 m 아래에서 최대 20 m 두께로 고탁수층을 형성하였다. 고탁수층은 저수지 바닥으로 침전되지 않았고 중층의 취수구를 통해 하류로 배출되었으며 가을 순환시기 이후 완전 소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