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증도 평가도구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3초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와 Glasgow coma scale의 임상적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Clinical usefulness of Critical Severity Classification System(CPSCS) and Glasgow coma scale(GCS) for Neurologic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 김희정;김지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3-344
    • /
    • 2012
  • 본 연구는 중증도가 높은 신경계중환자를 대상으로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와 Glasgow coma scale 적용의 유용성을 검정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임상 관련 특성에 따른 사망률 확인, 중환자 중증도 분류도구(CPSCS)의 일반적 특성, 임상관련 특성에 따른 중증도 차이, GCS의 일반적 특성과 임상관련 특성에 따른 중증도 차이를 파악하고, 임상적 유용성을 검정하고자 한다.

  • PDF

머신러닝을 이용한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퇴원 시 사망 중증도 보정 방법 개발에 대한 융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in Development of Severity Adjustment Method for Death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Patients using Machine Learning)

  • 백설경;박혜진;강성홍;최준영;박종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217-230
    • /
    • 2019
  • 본 연구는 기존 동반질환을 이용한 중증도 보정 방법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맞춤형 중증도 보정방법을 개발하고, 이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질병관리본부에서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수집한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 중 주진단이 급성심근경색증인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7) 코드 I20.0~I20.9의 대상자를 추출하였고, 동반질환 중증도 보정 도구로는 기존 활용되고 있는 CCI(Charlson comorbidity index), ECI(Elixhauser comorbidity index)와 새로이 제안하는 CCS(Clinical Classification Software)를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중증도 보정 사망예측모형 개발을 위하여 머신러닝 기법인 로지스틱 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 신경망, 서포트 벡터 머신기법을 활용하여 비교하였고 각각의 AUC(Area Under Curve)를 이용하여 개발된 모형을 평가하였다. 이를 평가한 결과 중증도 보정도구로는 CCS 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머신러닝 기법 중에서는 서포트 벡터 머신을 이용한 모형의 예측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향후 의료서비스 결과평가 등 중증도 보정을 위한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맞춤형 중증도 보정방법과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도록 하는 것을 제안한다.

중환자실 환자의 건강결과 예측을 위한 중증도 평가도구의 정확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ccuracy of Severity Scoring Systems for the Prediction of Healthcare Outcome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 성지숙;소희영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7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pplicability of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CCI) and Acute Physiology, Age, Chronic Health Evaluation III (APACHE III) to the prediction of the healthcare outcomes of intensive care unit (ICU) patients. Methods: This research was performed with 136 adult patients (age>18 years) who were admitted to the ICU between May and June 2012. Data were measured using the CCI score with a comorbidity index of 19 and the APACHE III score on the standard of the worst result with vital signs and laboratory results. Discrimination was evaluated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s and area under an ROC curve (AUC). Calibration was performed using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overall mortality was 25.7%. The mean CCI and APACHE III scores for survivo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n-survivors. The AUC was 0.835 for the APACHE III score and remained high, at 0.688, for the CCI score. The rate of concordance according to the CCI and the APACHE III score was 69.1%. Conclusion: The route of admission, days in ICU, CCI, and APACHE III score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mortality risk in ICU patients.

한국형응급환자분류도구를 적용한 응급실에서 소아 환자의 중증도 분류 정확성 (Triage Accuracy of Pediatric Patients using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in Emergency Departments)

  • 문선희;심재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626-634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형응급환자분류도구(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를 사용한 소아 중증도 분류의 정확성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자료는 2016년 10월부터 2017년 9월까지 1개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 지역응급의료센터에 방문한 소아환자의 자료 중 무작위로 추출한 250건의 간호초진기록지와 진료결과였다. 수집된 자료를 검정된 전문가가 분석하여 true-triage를 정하였다. 중증도 분류 정확도는 응급실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결과와 전문가의 true-triage결과와의 일치도로 평가하였다. 전문가 의견에 따라 중증도 분류 오류의 원인이 분석되었고, KTAS 등급과 퇴원, 체류시간, 진료비와의 연관성이 비교되었다. 연구결과 전문가와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등급은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weighted kappa=.77). 중증도 분류 불일치의 원인 중 활력징후 결과를 KTAS 알고리즘 기준에 잘 못 적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n=13). KTAS 1,2 등급과 같이 중증도가 높을수록 퇴원이 적었다(${\chi}=43.25$, p<.001). 연령을 보정했을 때 KTAS 등급에 따라 체류시간(F=12.39, p<.001)과 진료비(F=11.78, p<.001)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KTAS는 국내 응급실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므로, 새로 개발된 중증도 분류 도구가 국내 응급실에 잘 적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퇴행성 대동맥판 협착증의 중증도 평가: 증례보고 3례 (Assessment of the Severity of Degenerative Aortic Stenosis: Three Case Reports)

  • 김성희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70-275
    • /
    • 2019
  • 노령 인구의 기대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퇴행성 판막 질환이 많아지고 있다. 류마티스성 판막 질환인 승모판 협착증과 대동맥판 역류가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석회화된 퇴행성 대동맥판 협착증, 승모판 탈출증 및 허혈성 심장 질환으로 인한 승모판막 폐쇄 부전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심장초음파는 심장판막질환의 진단은 물론, 치료방법 및 수술 시기와 더불어 예후 평가에서도 매우 중요한 도구이며, 판막질환을 평가할 때 모든 판막을 자세하게 관찰하는 이면성 심장초음파가 우선해야 한다. 흔히 접하는 퇴행성 판막질환에 대한 이해와 함께 임상적 특성을 파악하여 심장초음파를 정확하게 시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아울러 대동맥판 협착증의 중증도 평가가 수술적 적응증을 판단하는 데 꼭 필요한 검사인만큼 정확한 판단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환자의 정확한 진단 및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퇴행성 대동맥판 협착증 환자 3례를 통해 심장초음파 검사의 중증도 평가를 쉽게 이해할 수 있기를 바라며 퇴행성 판막 질환의 심초음파 소견을 숙지하는 것이 심장초음파검사를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에 수반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편측 공간무시 환자의 평가: KF-NAP(Kessler Foundation - Neglect Assessment Process)과 지필검사의 비교 (Assessments of Spatial Neglect : Comparison of KF-NAP (Kessler Foundation - Neglect Assessment Process) and Pencil-Paper test)

  • 정은화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1호
    • /
    • pp.27-35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편측 공간무시 환자의 평가도구 중 KF-NAP (Kessler Foundation - Neglect Assessment Process)과 지필검사 (직선이분검사, 글자소거검사, 알버트 검사) 사이의 상관관계와 편측 공간무시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평가도구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4년 9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서울 소재의 병원 재활의학과에 입원한 32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성 19명, 여성 13명, 평균연령 61.8세). KF-NAP과 지필평가는 입원 7일 이내에 시행하였으며, 각 평가도구의 결과 값으로 편측 공간무시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편측 공간무시 정도는 KF-NAP 93.8%, 직선이분검사 53.1%, 글자지우기 53.1%, 알버트 검사 37.5%로 편측 공간무시에 대한 민감도가 가장 높은 평가도구는 KF-NAP이었다. KF-NAP은 직선이분검사(r=.430), 글자 지우기(r=.641), 알버트 검사(r=.398)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p<0.05). 결론 : KF-NAP은 환자의 일상생활 동안 편측 공간무시를 평가하는 도구로써 지필검사에 비해 편측 공간무시의 진단에 더 민감할 뿐 아니라 편측 공간무시의 중증도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 따라서 편측 공간무시의 평가에 KF-NAP이 유용하게 사용되어져야 한다.

중증도 분류 간호사에 의한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 신뢰도 측정 연구: Emergency Severity Index Version 4를 중심으로 (Reliability of the Emergency Severity Index Version 4 Performed by Trained Triage Nurse)

  • 최희강;최민진;김주원;이지연;신선화;이현정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1-71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Emergency severity index (ESI) version 4 among triage nurse.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August 11, 2010 to September 7, 2010 in a regional emergency department. Data collection was done by ten triage nurses who trained ESI v.4. Two research nurses and ten triage nurses scored the ESI version 4 to the patients as references, independently. We calculated the weighted kappa between the triage nurses and research nurses to evaluate the consistency of the ESI v.4. Results: A total of 233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Classification of ESI level was as follows - level 1 (0.4%), level 2 (21.0%), level 3 (67.8%), level 4 (9.4%), and level 5 (1.3%). Inter-rater reliability by weighted kappa was 0.79 (95% Confidence Interval= 0.74-0.83) and agreement rate was 87.1%. Under-triage rate by triage nurse was 6.0% and over-triage rate was 6.9%. Conclusion: For this study, inter-rater reliability was measured good level between triage nurses and research nurses in Korean single ED.

  • PDF

응급환자의 중증도 예측을 위한 APACHE II 기반 CAOPI 시스템 (A CAOPI System Based on APACHE II for Predicting the Degree of Severity of Emergency Patients)

  • 이영호;강운구;정은영;윤은실;박동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75-18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중증도 분류 및 인체 주요 장기의 상태 예측을 위하여 APACHE II(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기반 CDSS 도구인 CAOPI(Computer Aided Organ Prediction Index)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 ICU 환자의 중증도 평가방법은 APACHE II를 이용하여 특정 시점의 중환자 위험도를 특정한 시점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방식이었으나,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환자의 상태에 맞춰 조치를 취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CAOPI 시스템은 중환자실에 입실하는 환자들의 질병 중증도를 정확히 분류하고, 환자의 사망예측 뿐만 아니라장기 상태를 시각화 하여 위험도를 수치화 하였다. 또한 위험도를 특정 장기별로 구분하여 담당의 사가 환자의 상태에 맞는 맞춤형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설계 및 개발 하였다.

비내시경 소견의 알레르기비염 분류 도구와 중증도 평가도구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ARIA, TNSS and Nasal Endoscopy as Instruments of Evaluation for Allergic Rhinitis)

  • 이규진;윤영희;김규석;장수빈;최인화;고성규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9-118
    • /
    • 2015
  • Objectives : We performed a clinical study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pattern identifications using nasal endoscopy for allergic rhinitis (AR). Methods : We assessed 32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using nasal endoscopy, classifications of allergic rhinitis and it's impact on asthma (ARIA) and total nasal symptom score (TNSS). Results : The watery rhinorrhea score of nasal endoscopy was significantly high in 'persistent and moderate/severe' group (P<0.05). Patients were classified as rhinorrhea group and nasal obstruction group according to nasal endoscopy. TNSS and rhinorrhea score was significantly high in rhinorrhea group (P<0.05). Conclusions : The result may provide that the watery rhinorrhea of nasal endoscopy is useful as 'Cold' and 'Deficiency'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tic tool.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봉독약침 치료반응과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유전자 다형성 연구 (Response to Bee Venom Acupuncture and Polymorphism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Gene in Korea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 이상훈;최도영;이윤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211-225
    • /
    • 2004
  • 목적 :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골 파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Matrix Metalloproteinase-1(MMP-1) 유전자의 단일 염기 다형성을 분석하고, 나아가 봉독약침 치료에 대한 반응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미국류마티스학회의 류마티스 관절염 기준에 해당하는 122명의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와 건강한 92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pyrosequencing 방법을 이용하여 MMP-1 유전자의 -519 위치의 다형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군을 다시 유전자 유형에 따라 동통 관절수, 종창 관절수, 조기 강직, 통증 강도, 삶의 질 평가도구인 HAQ, 환자 및 의사의 전반적 질병상태 평가, ESR, CRP 등의 항목을 치료 전후 평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1. 류마티스 환자군과 건강한 대조군간에 MMP-1 유전자의 단일 염기 다형성의 유전자형의 분포와 대립유전자 발현 빈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MMP-1 유전자 다형성이 한국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질병 감수성과 관련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2. 각 유전자형 그룹간 치료전 질병의 중증도 평가에서 임상 평가와 혈액의 급성 염증 반응물질 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급성 염증 반응의 지표인 ESR과 CRP level의 봉독약침 치료 전후 변화는 MMP-1의 유전자 다형성과 유의한 연관이 없었다. 4. 각 유전자형 그룹간의 치료 전후 질병 호전도 비교에서, AA 유전자형이 종창 관절수 평가에서 더나은 호전을 보였으며, 다른 모든 평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향후 관련 유전자와의 연관성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