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약(中藥)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8초

중서의결합치료소아백혈병사로(中西醫結合治療小兒白血病思路) -중서의 결합으로 소아백혈병 치료에 대한 접근-

  • 석효평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1-75
    • /
    • 2001
  • 백혈병은 조혈계통의 악성 증식성 질환으로서 현재까지 주로 화학약물요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화학약물요법은 백혈병 세포를 소멸시킬 수 있지만 또한 인체에 여러 가지 독성 반응 및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중서의결합으로 백혈병 치료에 접근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중의학에서 소아 백혈병을 치료하는 경우 청열해독법(淸熱解毒法), 부정보허법(扶正補虛法), 활혈화어법(活血化瘀法)을 주로 사용한다. 청열해독법은 백혈병의 조기치료에 주로 활용되는데, 인체의 저항력을 증강시켜 화학약물요법을 실시하는 동안 흔히 나타날 수 있는 감염증상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정보허법(扶正補虛法)은 주로 화학약물요법의 유도 완화기 및 치료효과의 유지를 위하여 활용되는데, 이는 인체의 면역력을 향상시켜 화학약물요법이 인체에 미치는 손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활혈화어법(活血化瘀法)은 미세순환을 개선시키는 작용을 하며 골수의 조혈기능을 촉진하고 면역기능을 조절하며 또한 일부 활혈화어제(活血化瘀劑)는 백혈병 세포에 직접적인 억제효과를 보인다. 소아백혈병에 대하여 화학약물요법을 진행하는 동안 중약을 같이 병행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나누어 실시할 수 있다. 1. 유도완화치료(화학요법)단계: 이와 같은 치료과정은 대개 화학약물요법으로 인한 극심한 독성반응이나 주작용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중약치료를 병행하면 신속하게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만약 구토나 설사와 같은 소화계 부작용이 나타나면 화위강역법(和胃降逆法)을 활용하고, 감염 증상이 나타나면 부정(扶正)과 거사법(祛邪法)을 병행할 수 있다. 화학약물요법을 진행한 후 신체가 극도로 허약해지고 골수의 기능이 심하게 억제되는 경우는 주로 부정(扶正)시키는 중약을 사용하면서 익기양혈제(益氣養血劑)를 곁들이고 보조적으로 단삼(丹蔘), 당귀(當歸), 천궁(川芎), 계혈등(鷄血藤) 등과 같은 활혈화어제(活血化瘀劑)를 사용하여 골수의 조혈기능을 회복시킨다. 2. 치료효과의 유지단계: 본 과정에서는 중약치료에 있어서 부정(扶正)과 거사법(祛邪法)을 병행한다. 화학약물요법을 실시하는 동시에 거사제(祛邪劑)를 중용(重用)함으로써 화학약물요법의 효과를 강화시킨다. 화학약물요법이 끝난 뒤 부정(扶正)시키는 약물을 중용(重用)하여 인체의 면역기능을 증강시키고 백혈병세포를 억제시킨다. 3. 치료효과의 유지 및 강화단계: 치료효과의 유지단계에서는 변증논치(辨證論治)의 원칙에 입각하여 항암효과가 있는 중약을 활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백화사설초(白花蛇舌草), 산자고(山慈?), 청대(靑黛), 용규(龍葵)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육신환(六神丸)을 장기적으로 복용하여도 된다. 소아백혈병 치료에 있어서 중서의결합의 치료법을 활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내용에 주안점을 둘 수 있다. 화학약물요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중약을 병행하여 투여하는 경우 사진합삼(四診合參)을 근간으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병인(病因)을 살피어 치료에 임하도록 한다. 약물의 선택과 처방의 구성은 반드시 변증논치(辨證論治)의 원칙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화학약물요법과 중약치료를 병행하는 과정에서 변증(辨證)과 변병(辨病)이 서로 결합되고 부정(扶正)과 거사법(祛邪法)을 병행하여 활용한다. 정체관(整體觀)에서 출발하여 환자를 관찰하는 동시에 특징적인 증후(證候)에 대한 변증논치(辨證論治)도 중요하며, 또한 백혈병 환자의 유형(類型)이나 임상 혈액검사 소견, 골수의 양상, 화학요법의 진행단계 및 환자의 연령과 체질 등을 충분히 가만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토대로 치료법을 선택하여야 중약요법과 화학약물요법의 협동적인 효과를 증폭시키고 백혈병치료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중의치료소아효천임상관찰(中醫治療小兒哮喘臨床觀察) -소아천식에 대한 중약치료의 임상관찰-

  • 윤혜민;양연;장려영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67-270
    • /
    • 2001
  • 소아천식은 기도의 만성 염증 및 과민반응을 특징으로 나타내고 있어 염증을 일으키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부터 차단하는 방법이 효과적임을 현대의학에서 이미 밝히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천증(喘證)에 본디 뿌리 깊은 근원(천유숙근(喘有夙根))이 있다고 간주하여 허약한 체질은 내적인 요인이고, 풍한침습(風寒侵襲)은 유발요인이며, 담음복폐(痰飮伏肺)와 신기휴허(腎氣虧虛)는 재발의 근본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 천식에 구마황(灸麻黃), 은행(銀杏), 건강(乾薑), 오미자(五味子), 백전(白前), 구백부(灸百部), 소자(蘇子) 등을 사용하였고, 경우에 따라 황기(黃?) 혹은 선령비(仙靈脾)를 추가하여 正氣(正氣)를 강화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약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마황과 건강, 오미자 등은 모두 기도의 염증세포 침윤(浸潤)를 억제하고 항알레르기 효과가 있으며, 건강과 오미자는 또한 히스타민에 대한 길항효과(拮抗效果)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행 추출물은 혈소판 활성화 수용체에 대한 길항작용을 갖고 있으므로 이러한 물질들로 인한 기관지의 경련을 방지하여 천식증상을 왕화시킨다. 구백부(灸百部)는 지해(止咳)효과가 뛰어나다. 소아천식에 대한 치료는 표본동치(標本同治)의 원칙을 지키며, 증상이 완화된 단계에서도 중약 투여를 1-2개월 지속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소아에게 있어서 천식증상이 완화된 후 어혈(瘀血) 상태가 성인에 비해 심하지는 않지만, "구병필어(久病必瘀)"의 결과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천식이 장기간 지속되면 필히 혈액순환 장애가 수반되므로 천궁(川芎)이나 단삼(丹蔘) 등의 활혈제(活血劑)를 가미하여 사용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소아의 천식은 항염증, 평천(平喘), 화담(火痰), 지해(止咳)와 더불어 보신익기화어(補腎益氣化瘀)의 약물을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순한 중약 투여는 일부 양약에 의한 소아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피할 수 있어 더 많은 임상연구가 이어져야 한다.

  • PDF

중국 중의약 산업정책의 추진과 평가

  • 김용선
    • 중국학논총
    • /
    • 제64호
    • /
    • pp.157-182
    • /
    • 2019
  • 中国加入WTO后, 在经济快速发展, 产业结构逐渐高度化的情况下, 以2015年获得中医科学院所属传统医学家屠呦呦教授诺贝尔生理医学奖为契机, 在传统医学"中医药崛起"领域也走向世界. 尽管近年来西方医学取得了辉煌发展, 但近年来化学药品的副作用, 老龄化时期医疗费用支出扩大等新问题, 使天然物料生物新药开发蓬勃发展, 传统医药市场规模不断扩大. 属于传统医药的中医药产业一直受到中国领导人的关注, 中医药在防治非典传染病中的作用, 中医科学院的屠呦呦教授获得诺贝尔生理医学奖等, 中医药政策得到积极促进. 与此形成鲜明对比的是, 我国韓医药产业在"西·韓医药"纠纷仍在持续的情况下, 尽管政府作出了努力, 但并未取得显著成效. 因此, 本文首先對中医药产业的概念, 范畴和地位詳細硏究, 并详细了解中医药产业政策在时间上是如何推进的. 然后详细分析中医药医疗服务和制造业, 国际化领域取得了哪些成就. 最後让我们来看看对我们韓医药产业发展的启示是什么.

19세기 중국에서 활동한 의료선교사(醫療宣敎師)는 왜 중약(中藥)을 연구하였을까 (Why did the medical missionaries study traditional Chinese drugs in 19th century in China?)

  • 조정은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7-86
    • /
    • 2014
  • The paper describes the practice and purpose of the medical missionaries research on the traditional Chinese drugs(中藥). Searches were made using the journal of the China Medical Missionary Association. The China Medical Missionary Association established the committee of the Chinese Materia Medica in 1890. This committee aimed to research on the traditional Chinese drugs. Then why did the medical missionaries study traditional Chinese drugs? This is because the western drugs(西洋藥)was not easy to acquire, especially in land areas. Also, some western drugs have poor quality and expensive. Therefore they need to understand that Chinese drugs will help in the production of the western drugs. But from around 1920,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 was changed.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investigation on the Chinese medicine itself became more important. And this change partly influenced that medical missionaries' views on traditional Chinese drugs.

중국내(中國內)에 다용(多用)되고 한국(韓國)에서 소용(少用)되는 약재(藥材)에 관(關)한 고찰(考察) ('The investigation of frequently used only in China')

  • 김동우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26-339
    • /
    • 1997
  • The Background and Purpose : Many herb-medicines are frequently used in China but they are not in Korea. It is required to prove them worthy to introduce into Korea and to find substitutes for them. The Objective and Methods : During stay in China as a Professor extraordinary, I investigated applications of Chinese modicines, books and theses. The Results and Conclusions : 1. In China the cheap herb-medicines are chosen preferentially and the classic rules of oriental medicine are truly observed. 2. in China it is impossible to prove virtue of ready made herb-medicines because constituents are not opened. 3. Commonly used herb-medicines are drug of clean away heat(淸熱藥) which are antinflammatories or anti-toxins. 4. Antitumorigenic effects was frequently reported but they don't get complete agreement also in China. 5. Herb-medicine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China but not in Korea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commonly used herb-medicines in Korea.

  • PDF

비단과 당내량 손상(IGT) (脾瘅与糖耐量受损(IGT))

  • 이경림;김명주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31-133
    • /
    • 2011
  • 비단은 비만을 기초로 한 당뇨병의 초기상태이며, 당내량 손상(IGT)은 당대사가 정상과 당뇨병 사이에 있는 아건강 상태를 말한다. 비단의 병인병기와 임상특징은 당내량 손상과 기본적으로 일치한다. 당내량 손상은 비만환자가 비단을 거쳐 당뇨병으로 발병되는 자연발전과정으로 비단과 당내량 손상의 공통적인 발병인소는 비만이며, 그 병리중심은 비위(脾胃)기능실조로 인한 당내량 이상으로 중의(中醫) 증형(證型)에 있어 허실(虛實)변화가 있다. 비단과 비만형 IGT 증후, 병리방면에서의 발생과 발전의 작용을 탐구하여 조기에 중약(中藥)을 사용하면 체중을 감소시키고 더 나아가 당뇨병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임상의의가 있다.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Urtica angustifolia Fisch

  • Kwon, Hak-Cheol;Kwak, Jong-Hwan;Lee, Kang-Ro;Zee, Ok-Pyo;Yu, Seung-Jo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8-168
    • /
    • 1996
  • 가는잎쇄기풀(Urtica angustifolia Fisch.)은 쇄기풀과(Urtic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중약 또는 민간에서 동속 근연식물과 함께 전초를 담마라하여 류마치스성 동통, 산후의 산풍, 소아의 추풍, 경풍,담마진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Rat에서 실험적 항당뇨 효과를 검토해본 결과 혈당강하 작용이 있는 본 식물로부터 그 혈당강하 성분의 분리에 앞서 식물화학 성분을 규명하고자 본 실험에 착수하였다. 가는잎쇄기풀 전초의 MeOH ex.를 CH$_2$Cl$_2$, EtOAc, n-BuOT 및 $H_2O$로 분획하고 각종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다수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은 이화학적 성상 및 spectral data로부터 scopoletin, esculetin dimethyl ether(scoparone), sterol mixture, $\beta$-sitosteryl-3-o-glucoside, kaempferol-3-o-glucoside, quercetin-3-o-glucoside, kaempferol-3-o-rutinoside로 확인하였으며 그 외 다수의 화합물은 그 구조를 규명중이다.

  • PDF

내풍설계된 초고층 철골대각가새골조의 내진성능평가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Wind-Designed High-rise Steel Diagrid Frames)

  • 김선웅;김종호;김태진;강대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14-1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강풍대이면서 중/약진대에 위치하는 초고층건물에 내습할 수 있는 잠재적 지진에 대하여 다양한 지반조건에 따른 응답스펙트럼해석과 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국내와 같이 강풍대에 위치하면서 중약진대에 속하는 지진환경하에서 세장비 5.2이상의 초고층 철골대각가새골조는 10%/50년 재현주기 지진동에 대해서는 탄성저항가능성을 나타내었고 세장비 6.9이상의 초고층 철골대각가새골조는 2%/50년 재현주기 지진동에 대해서도 탄성적으로 저항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구기자 전기정도가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Quality and Yield to Different Purning Degree in Lycium Chinense Miller)

  • 이상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2-47
    • /
    • 1988
  • 생약식물로서 중약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구기자의 전지정도에 따른 품질 및 수량반응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2 ~ '83년 2개년에 걸쳐 "진도재래"를 공시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기자의 개화반응은 맹모 - 황엽 - 낙엽 - 개화의 일련의 단계를 거쳐 개화되었고, 2. 무전지구에 비해 전지구가 간장이 길고 그에 따른 절수도 많았으며 총 유효분지수가 많아 수량에 영향을 주었다. 3. 무전지구에서는 과정이 짧아 과실이 잘고 전지구는 과정이 길고 굵은 충실한 과실이 생산되어 상품가치가 높았다. 4. 10 a 당 수량은 무전지 방치구(76kg)에 비하여 지표면 전지구와 지표면 10 cm 전지구에서 38 ~ 39%의 증수효과가 있어 구기자는 모년 무전하여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5. 구기자 수확회수별 수량은 2회 수확으로 생산량의 85%를 수확할 수 있어 수학노력 절감이 앞으로의 과제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