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소유역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5초

홍수방어를 위한 중소하천의 수위관측망 최적화 연구 (A Study on Optimization of Steam Gauge Network for Flood Prevention in Small to Medium Scale Watershed)

  • 주홍준;김수전;김형수;전환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43-447
    • /
    • 2011
  • 최근 수재해는 중소하천을 부근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중소하천에서 수재해 발생 여부를 선재적으로 파악하여 비상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적절한 수위관측망의 설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소하천에서 최적 수위관측망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각 소유역의 단위도를 유도하여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한 후 엔트로피 이론을 적용하였다. 또한 재해에 취약한 재해위험지구를 분류하여 수위관측소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지점을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방법론을 설정하여 낙동강 유역의 중소유역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각 중소하천에서의 소수의 수위관측소들이 비선정된 것을 제외하고 대다수가 선정되었다. 이와 같은 방법론은 방재측면을 고려한 수위관측망을 구성하기 위하여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중소하천유역에 있어서의 유효강우량 및 설계수문곡선 결정에 관한 연구 - 특히 SCS 방법을 중심으로 -

  • 김상인;이순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1982년도 제24회 수공학 연구발표회 논문초록집
    • /
    • pp.87-88
    • /
    • 1982
  • 본 연구는 중소하천유역에 있어서 미국토양보유국(V.S. Soil Conservation Service)의 SCS방법과 $\Phi$-Index 방법과를 비교하면서 유효유량을 산정하고 또한 설계수문곡선의 첨두유량을 산정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낙동강유역에 속한 신천유역은 UNESCO의 주관아래 국제수문개발계획 대표시험유역으로 채택되었던 유역으로서 그 중요성이 크다고 생각하여 SCS방법의 통용을 위하여 토양군의 분류에 따른 토지이용 및 처리상태와 토양의 분류, 토양의 종류 등을 파악하여 유출수를 구하였다. 그리고 주요호우의 총우량-유효우량 관계자료에 의한 평균유출수와 비교해본 결과 SCS방법의 유출수가 적게 나타났으며, 신천유역의 5개시측소의 강우자료로부터 $\Phi$-Index법에 의한 유효우량과도 비교하였다. 한편 설계수문곡선의 첨두유량은 SCS법, Chow법, 및 Mockus법과 비교해 본 결과 SCS방법 중 무차원수문곡선에 의한 SCS단위도법이 실측치에 가장 가까운 적합성을 보여 주었다.

  • PDF

한강유역의 중소하천에 대한 계획하폭 산정 (Determination of Design Width for Medium Streams in the Han River Basin)

  • 전세진;안태진;박정응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6호
    • /
    • pp.675-684
    • /
    • 1998
  • 본 연구는 한강유역 중소하천 계획하폭 산정공식을 결정하기 위하여 216개 구간의 중소하천에서의 계획홍수량, 유역면적, 하상경사, 실제하폭을 수집한 후, 1) 최소자승법(least squares, LS), 2) 최소중간치자승법(least median squares, LMS) 및 3) 재가중최소자승법(reweighted least squares, RLS)을 이용하여 경험적인 계획 하폭 공식을 결정하였다. 한강유역에서의 기존하폭 산정공식과 비교하기 위하여 계획하폭 산정공식의 형식은 6가지 형으로 고려하였다. 기존하폭공식과 6가지 형의 공식을 평가하기 위하여 평균제곱근오차, 절대평균오차 및 평균오차를 계산하여 비교 검토한 결과, 하폭공식의 형식으로는 본 연구의 하폭-계획홍수량-하상경사로 표현된 공식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추정된 계획하폭 산정공식은 한강유역 중소하천 설계시 계획하폭 결정의 지표로 적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중소하천 홍수예측시 선행예보시간 확보방안 검토 (Improvement of Lead Time of Flood Forecasting in the Mid-sized Basin)

  • 윤광석;황보종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12-1816
    • /
    • 2006
  • 홍수로 인한 국민의 재산과 인명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요지점을 선정하여 홍수 예보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홍수예보는 초기 강우법, 수위법 등의 단순한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나, 컴퓨터가 발달되면서 여러 형태의 홍수유출모형이 개발되어 현재에는 홍수유출모형을 이용한 홍수예보를 수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소유역의 유출은 도달시간이 짧으므로 인해서 선행예보시간을 확보하지 못해 홍수예보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중소하천의 홍수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강우예측 정확도가 향상되어야 하나, 강우레이다 등에 의한 강우예측방법은 아직은 홍수예보 실무에 사용하지 못하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삽교천 유역을 대상으로 하여 선행예보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소하천에서의 선행예보시간 확보를 위해 GCUH를 이용한 돌발홍수능을 산정하고, 강우-수위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GCUH 유도를 통한 돌발홍수능 산정 방법과 기왕의 홍수사상을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는 방안이 적용성이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러한 방법들은 홍수예보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어려운 문제인 선행예보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중소하천 가뭄시 인위적 물이용에 따른 하천유량 변화 분석 - 조천천 유역 사례 - (Analysis of discharge change according to artificial water use during small river basin drought - Case of Jocheon river basin -)

  • 김덕환;장철희;김현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363-363
    • /
    • 2020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과 홍수 등 극한사상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환경, 생태, 사회, 경제적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재해로 인식되어 이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다양하고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극한 가뭄시에는 최소한의 유량만을 제외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하천 주변에서는 생공·농업용수를 위하여 지하수를 양수하고 있다. 이에 대한 명확한 기준에 정해져 있지 않아, 무분별한 양수는 하천 생태계를 위협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 물순환 해석 플랫폼(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 CAT) 모형을 이용하여 조천천 유역에 지하수 변화 등 인위적 물이용량을 고려했을 때의 하천유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CAT은 기후변화나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유역의 수문환경특성 변동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개발된 모형이며, 인위적인 물이용체계 즉, 광역급수, 용수재이용, 지하수 취수, 하천수 취·배수 등을 고려하여 분석이 가능하다. CAT을 통한 인위적 물이용 시나리오를 달리하여 하천유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중소하천 가뭄 대책 및 효율적인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중소하천유역에서의 홍수예보 및 예측에 관한 연구 (Study of Flood Warning and Forcasting in Small to Medium scale Watershed)

  • 김경탁;김주훈;최윤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26-1130
    • /
    • 2006
  • 중랑천, 왕숙천 등과 같이 유역면적이 작은 유역에서 호우 발생에 따른 홍수예보 및 예측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선행시간 확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중소하천 유역에서의 홍수예보 및 예측 업무를 통하여 하천 주요지점에서의 홍수예보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시간 확보를 위해 기상청의 수치예보자료에 대하여 정량적 강우예측 자료 활용방안을 검토하였다. 수치예보자료의 정확도 검토는 관측소별/소유역별로 구분하여 T/M자료와 수치예보자료를 통계학적 방법에 의해 검토하였다. 홍수예보 업무 활용을 위해 간단한 강우-유출 통계모형을 구성하여 홍수예측 업무를 수행하였다. 검증자료는 기왕의 수문자료 중 80mm 이상의 호우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검증결과 활용가능성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성과를 기존의 주요지천 홍수예보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