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성당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23초

더덕 부위별 세포벽 물질의 페놀성화합물과 항산화 활성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Cell Wall Materials from Deodeok (Codonopsis lanceolata))

  • 강윤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45-349
    • /
    • 2009
  • 더덕의 육질과 껍질의 부위별 세포벽 물질(CWM)로부터 uronic acid, 총 당, 비섬유성 중성당,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더덕의 육질과 껍질의 uronic acid와 중성당의 비는 4, 6이었다. 총 당 함량은 육질과 껍질에서 각각 788.6, 824.9 ${mu}g/g$ CWM이었다. 주요 비섬유성 중성당은 galactose와 arabinose였다. 더덕 CWM으로부터 분석된 주요 페놀성 화합물은 vanillic acid, p-OH-benzaldehyde, vanillin, ferulic acid 및 8-O-4' diferulic acid 였다. 이들 중 p-OH-benzaldehyde, vanillin, 8-O-4' diferulic acid는 더덕에서 처음으로 동정된 것으로 인삼의 세포벽 페놀성 화합물 조성과 유사하였다. 더덕의 껍질 AIR에 함유된 8-O-4' diferulic acid의 함량은 56.1 ${mu}g/g$ CWM이었다. 더덕의 CWM로부터 얻은 ethanol 분획, ethanol 분획의 ethanol-NaOH 분획, ethanol 분획 후 잔사로부터 얻은 AIR 분획의 항산화 활성의 크기는 ethanol-NaOH 분획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AIR 분획, ethanol 분획의 순으로 나타났다.

세포벽 분해효소의 처리에 따른 감과실의 세포벽 구성 비섬유성 중성당의 변화 (Changes in the Non-cellulosic Neutral Sugars of Cell Wall of Persimmon Fruit by Treatment of Cell Wall-Degrading Enzymes)

  • 김광수;신승렬;송준희;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47-253
    • /
    • 1995
  • 추출한 감과실의 세포벽에 polygalacturonase, ${\beta}-galactosidase$ 및 이들의 혼합한 효소액을 in vitro에서 처리하여 세포벽 구성 비섬유성 중성당의 변화를 연구, 검토하였다. 세포벽 구성 비섬유성 중성당의 변화는 효소 처리구에서 무처리 보다 많았으며, polygalacturonase 처리구에서는 rhamnose, xylose, galactose 등이 감소하였고, 혼합효소 처리구에서는 arabinose, galactose, rhamnose, xylose 등이 감소하였으며, ${\beta}-galactosidase$ 처리구에서 arabinose, galactose 등이 감소되었다. Pectin의 비섬유성 중성당은 모든 효소처리구에서 rhamnose, galactose, arabinose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특히 polygalacturonase 처리시에 보다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Hemicellulose I의 경우 polygalacturonase 처리구는 rhamnose, arbinose, xylose의 함량이 무처리구에 비해 높았으며, ${\beta}-galactosidase$ 처리구에서는 rhamnose와 xylose의 함량은 높았고, arbinose, mannose, galactose는 감소하였다. 혼합효소 처리구에서는 xylose, mannose, galactose가 높은 반면 arbinose와 galactose는 낮았다. 한편 hemicellulose II에서 비섬유성 중성당의 변화는 polygalacturonase 처리구에서 xylose와 glucose가 감소하였으나 다른 처리구에서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polygalacturonase는 pectin을 분해함으로써 arbinose, galactose, rhamnose를 유리하고, ${\beta}-galactosidase$는 galactan과 arabinogalactan을 분해하여 galactose와 arabinose를 유리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감과실의 성숙과 추숙중의 세포벽 다당류의 비섬유성 단당류의 변화 (Changes in the Non-cellulosic Monosaccharides of Cell Wall Polysaccharides of Persimmon Fruits during Maturation and Postharvest)

  • 신승렬;송준희;김순동;김광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743-747
    • /
    • 1990
  • 감과실의 성숙중 알콜 불용성 물질의 glucose, arabinose 및 총 비섬유성 중성당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연시에서는 감소하였다. 세포벽을 구성하는 주요 비섬유성 중성당은 galactose, arabinose, glucose이었고, arabinose와 galactose는 성숙과 연화중에 감소하였다. Pectin질은 uronic acid가 $70{\sim}82%$ 정도 차지하였으며 uronic acid, galactose, arabinose는 성숙과 추숙중에 감소하였다. Hemicellulose의 주요 중성당은 glucose, xylose, galactose이었고, 성숙과 추숙 중 특히 galactose가 감소하였으며 연시에서는 대부분의 구성당이 감소하였다.

  • PDF

대추의 성숙중에 일어나는 연화현상에 관한 연구

  • 손미애;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994년도 정기총회 및 제4차 학술발표회
    • /
    • pp.23-24
    • /
    • 1994
  • 본 연구는 성숙과의 저장중에 세포벽분해효소가 세포벽을 분해해서 물성의 변화를 유발함으로 일어나는 과실의 연과가 품질과 저장성의 저하 뿐만 아니라 영양적,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대추의 성숙중에 일어나는 연화현상을 연구하고자 성숙에 따른 경도, 세포벽분해효소의 활성, 세포벽 다당류 pectin질, 비섬유성 중성당 및 조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경도는 대추의 숙성에 따라 감소하였고, polygalacturonase와 $\beta$-galactosidase의 활성은 각각 변색기와 완숙기에 나타난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세포벽 다당류인 pectin질과 알칼리 지용성 hemicellulose는 완숙기가지 증가햐였으나 cellulose는 완숙기에 산가용성 hemicellulose와 cellulose를 제외한 세포벽 다당류의 함량은 다소 감소하였다. 대추의 세포벽 비섬유성 중성당으로 rhamnose, arabinose, xylose, mannose, galactose, glucose가 동정되었고, 성숙동안에 pectin질에서는 arabinose, mannose, galactose와 총 비섬유성 중성당의 함량이 감소하였고, 산가용성 hemicellulose에서는 xylose와 mannose가 뚜렸하게 증가하였으나 중성당은 변화없었으며, 알칼리 가용성 hemicellulose에서는 성숙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었다. pectin질의 경우 수용성 pectin, EDTA 용해성 pectin 및 총 pectin은 성숙중에 증가하는 경향이있으나 불용성 pectin은 감소하는 경향이였으며 과숙기에는 불용성 psctin EDTA용해성 pectin 및 총 pectin의 함량은 모두 현저히 감소하였다. 대추의 성숙중 조직에서는 pectin질로 구성된 중충의 붕괴현상이 뚜렸하게 나타났다.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강연에서는 효소적갈변 저해제의 개발과 그들의 식품가공에의 적용 현환 및 화장품, 의약품으로의 응용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L주에 비해 S주는 수정후 용과가 더 심하다. 9) 화분관의 행동은 수정력과 완전히 일치된다. 즉 L-selfing, $L{\times}L$, S-selfing, $S{\times}S$등의 부적법 수분에서는 화분관은 화주의 미중에서 정지되지만 $L{\times}S$, $S{\times}L$,에서는 수분 약 40-50분 후이면 화분관은 자방까지 도달된다. 10) S주는 웅본으로 오인되어 있지만 인위적법수분을 하면 수정력이나 화분관의 행동은 L주에서와 동일하다. 11) S화분은 완전하지만 L화분은 약 70%가 내용공허한 Adortive pollen 이다. 12) L화분중 나머지 30%도 S화분에 비해서 염색도가 낮은것이 많고 S화분 같이 농염되는 것은 극히 소수이다. 13) 본장물은 분화가 고도로 진행된 전형적인 이형예작물이여 마치 Dimorphism 에서 Dioecious 에로 이행되는 수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증거가 되는 것 같다. 다소 높은 산소농도 3%~5% 이산화탄소 농도 5~8%에서 저장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철쭉군목으로 대표되나 군단이 하의 군목들은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상인이론의 수정이 필요하다고 본다.가\ulcorner 본 논문에서는 표면적 형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elements)로 가정한다. 즉,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동일한 구성요 소를 지닌 병렬적 합성어([

  • PDF

배추과 식물현탁배양 세포내에서 산성 아미노산의 능동수송 (Active Transport of Acidic Amino Acids in Suspension Cultured Brassica sp. Cells)

  • 조봉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37-142
    • /
    • 1995
  • 생리적인 pH에서 음전하를 띄우고 있는 산성 아미노산인 aspartate와 glutamate는 다른 중성 아미노산과 경쟁방해 실험을 행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들도 중성 아미노산이 갖는 능동운반계와 동일한 운반자를 소유한다. 중성 아미노산을 아미노산 한 분자 당 한개의 수소이온과 동반수송되고 전하에 보상을 위해서 한 분자 당 한개의 칼륨 이온을 배출한다. 그러나 산성 아미노산은 한 분자 당 2개의 수소이온과 동반수송되고, 한 분자 당 칼륨 한 분자를 배출한다. 중성 아미노산과 같은 운반계를 소유하고, 2개의 수소이온과 동반수송되는 능동운반계는 본 실험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이 결과로부터 두개의 동반수송된 수소이온 중 한 개는 산성 아미노산에 있는 pK$_3$카르복실기를 먼저 중화시킨 후에 중성화된 형태로 수소이온 한 분자와 동반수송된다고 사료된다. 그러므로 유채는 20개의 아미노산에 대해서 다만 2개의 운반계, 즉 일반- 과 알카리성 아미노산 운반계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른 식물에서 이미 보고된 결과들을 참고하여 아미노산 운반계의 진화적인 의미를 고찰하였다.

  • PDF

강남콩(phaseolus vulgaris L.)의 지방질 성분 (Lipid Composition of 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 L.))

  • 권용주;엄태붕;송근섭;김충기;이태규;양희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28-532
    • /
    • 1987
  • 강남콩의 지방질을 chloroform-methanol-water (1:2:0.8, v/v)의 용매로 추출하고 이를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로 분획한 다음 이들의 지방질 조성과 지방산 조성을 TLC, GLC에 의하여 분리 정량하였다. 강남콩의 총지방질 함량은 1.9%이었으며 이중 중성지방질은 48.2%. 당지방질은 7.5%, 인지방질은 44.3%이었다. triglyceride는 중성지방질중 64.6% 함유된 주성분이었으며 가장 함량이 높은 인지방질과 당지방질로서 phosphatidyl choline은 인지방질중 32.9%, esterified steryl glycoside는 당지방질중 38.8% 함유되어 있었다. 강남콩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nic, linoleic, oleic, palmitic acid이었으며 특히 linolenic acid는 그 함량이 높아 총지방질의 경우 37.1%, 중성지방질의 경우 50.4% 함유되어 있었다.

  • PDF

가열 및 건조방법이 새우의 지방질 함량과 중성지방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oking and Drying Methods on the Lipid Content and Neutral Lipid Composition of Shrimp)

  • 김현구;허우덕;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24
    • /
    • 1989
  • 가열처리 및 건조방법이 새우의 지방질 함량과 중성지방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생새우의 총지방질 함량은 건물기준으로 6.0%였으며, 가열 및 건조방법에 따라 총지방질의 함량은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생새우의 중성, 당 및 인지방질의 함량비는 각각 36.8:21.5:41.7% 이었고 동결건조한 것은 열풍건조한 것보다 중성시방질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많은 반면에 당 및 인지방질의 함량은 적었다. 중성지방질의 주요성불은 triglyceride, free sterol, free fatty acid 및 esterified sterol이었으며, 동결건조한 것은 열풍건조한 것보다 triglyceride 함량은 유의적으로 많았고 free fatty acid 함량은 적었는데, 이는 열풍건조중 triglyceride가 분해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생새우의 총지방질의 구성 주요지방산은 palmitoleic acid, eicosapentaenoic acid 및 docosahexaenoic acid이었고, 중성지방질의 구성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palmitoleic acid, oleic acid, eicosapentaenoic acid 및 docasahexaenoic acid이었다.

  • PDF

연어알에서 분리 정제한 carotenoprotein 지질 성분에 관한 연구 (Analytical Studies on the Lipids in Carotenoprotein purified form Saimo Salar Eggs)

  • 김재웅;이정복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8-24
    • /
    • 1988
  •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라피와 젤 여과법으로 연어알에서 carotenoprotein을 충분히 정제하였다. CHCls/MeOH (211)용매로 지질 성분을 추출한 후, Sephadex G-25로 정제하고 silicic acid 컬럼으로 분획하여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 그리고 콜레스테롤의 량을 각각 정량하였다. T.L.C.와 HPLC로 개별 성분을 분리, 정량한 결과 중성지질은 tripalmitate와 cholesteryl oleate로 구성되었고, 당지질은 esterified steryglycoside와 소량의 cerebroside, 인지질은 p.c, co, lp.c 및 p.e로 구성 되었음을 밝혔다. 결합당 성분으로서는 galactose만이 검출되었다. 지방산은 palmitate와 oleate가 대부분이었으며, 6종류의 sterol성분을 분리 확인하였다. 지질과 결합된 단백질의 아미노산도 분석하여 이들로부터 carotenoprotein의 본성을 추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