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도장애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초

중도장애, 이혼과 같은 생애위기 경험자의 자기해석 복합성과 심리적 안녕 - 관점의 다각화, 자기수용,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 (Complexity of Self-Constru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People with an Experience of Life-Crisis Due to Physical Disability or Divorce -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Self-Acceptance and Self-Regulation as Mediators -)

  • 현경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4호
    • /
    • pp.193-222
    • /
    • 2010
  • 성인기에 발생하는 중도장애나 이혼과 같은 생애위기는 당사자의 독립성이나 상호의존성에 대한 도전을 수반하여 그러한 자기인식과 해석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생애위기 경험자의 그와 같은 자기해석이 복합적일수록 긍정적인 자기특성이 양성되어 심리적 안녕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자기해석의 복합성과 심리적 안녕 간의 관계가 자기긍정성을 구성하는 세 요인, 즉 관점의 다각화, 자기수용, 자기조절에 의해 매개되는 경로를 조사하였다. 편의표집에 의해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중도장애인, 이혼인, 일반인 비교집단 총 359명을 조사한 결과, 생애위기 경험집단이 평균적으로 일반인 비교집단에 비해 독립적 자기해석이 높았고,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이 낮았다. 복합적인 자기해석은 예측대로 의미 발견과 의미 부여를 돕는 관점의 다각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었고 이를 통해 자기수용, 자기조절과 같은 긍정적 태도에 기여하였으며, 이 중 관점의 다각화와 자기수용을 통한 경로로 생애위기의 경험여부와 상관없이 응답자들의 심리적 안녕, 즉 긍정적 정서의 경험과 우울과 같은 부정적 정서의 감소를 도왔다. 관점의 다각화가 우울을 직접 낮추는 효과는 예측대로 생애위기 경험집단에서만 나타났고, 긍정적 정서를 양성하는 직접효과는 모든 집단에서 발견되었다. 따라서 관점의 다각화가 생애위기의 경험자들 사이에서는 의미 발견과 긍정적 태도 양쪽에 탄력을 주어 적응과 심리적 안녕을 돕는 반면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우선적으로 긍정적 태도, 긍정적 정서 등 긍정성을 키워 심리적 안녕에 기여함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관점의 다각화와 복합적인 자기해석이 역경극복에 동력이 되는 의미 찾기를 도우며 긍정적 태도를 양성하여 생애위기 경험자의 심리적 안녕에 기여하는 기제와 심리적 자원으로 각각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하여,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기계학습 기반의 직업훈련 중도탈락 예측 모형 (A Machine Learning-Based Vocational Training Dropout Prediction Model Considering Structured and Unstructured Data)

  • 하만석;안현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15
    • /
    • 2019
  • 직업훈련 교육 현장에서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중도탈락 문제이다. 훈련과정마다 많은 수의 학생들이 중도탈락을 하게 되어 국가 예산 낭비 및 청년 취업률 개선에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도탈락의 원인을 주로 분석한 기존 연구들과 달리, 각종 수강생 정보를 활용하여 사전에 중도탈락을 예측할 수 있는 기계학습 기반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의 제안모형은 수강생 관련 정형 데이터 뿐 아니라 비정형 데이터인 강사의 상담일지 정보까지 동시에 고려하여 모형의 예측정확도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 때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분석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텍스트 분석 기술인 Word2vec과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해 수행하였다. 국내 한 직업훈련기관의 실제 데이터에 제안모형을 적용해 본 결과, 정형데이터만을 사용하여 중도탈락을 예측할 때보다 비정형 데이터를 함께 고려했을 때 예측의 정확도가 최대 20%까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Support Vector Machine을 기반으로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를 결합해 분석했을 때, 검증용 데이터셋 기준으로 90% 후반대의 높은 예측 정확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중도중복장애아동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AAC) 앱 설계 (Design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pplication for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 김슬기;육주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1281-1287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중도중복장애아동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AAC) 앱의 모듈별 세부적 요소와 기능을 도출하고 이에 해당하는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연구 결과, 화면구성, 의사소통 판 편집, 시청각출력, 스위치&스캐닝 모듈별 세부 프로그램 구성은 다음과 같다. 화면구성 모듈은 의사소통 범주, 철자판, 즐겨찾기, 화면잠금, 설정 기능으로 구성된다. 의사소통 판 편집 모듈에서는 의사소통 범주, 상징, 즐겨찾기 편집 기능이 포함된다. 시청각적 출력 모듈은 청각적 출력의 형태로 음성의 높낮이, 강도, 속도, 음색을 개인별로 조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시각적 출력의 형태에서는 칸의 배경색과 크기, 테두리 색과 두께를 조정한다. 스위치&스캐닝 모듈에서는 칸이 청각적, 시각적으로 표시되었을 때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선택(클릭)이 이루어지는 기능을 제공한다. 향후 이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그램을 실제로 구현한 AAC 앱의 개발이 필요하다.

중도장애인의 삶의 변화 과정 (Life Style Changes of Adults who become Disabled in Adulthood)

  • 임난영;한혜숙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4-32
    • /
    • 2004
  • Purpose : This study aimed at uncovering the disabled adult's way of thinking and behavior due to their changed life style. Method : In depth interviews with 11 participants were held and analys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by Strauss and Corbin (1990). Result : This study showed us that the disabled are getting independent by selfconfidence through developing coping strategies for their physical, emotional, social, sexual problems. And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se strategies, support structures, satisfaction for performance effect, financial burdens, and mobility had an effect on the intervening factors. Adults who become disabled go through many changes. First, they have vague hopes of improving. Second, they become discouraged. Third, they accept their disability. Next, they learn coping strategies and finally, they integrate the changes into their new life style. Conclusion :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rehabilitation nursing so that the disabled can adapt to their changed life style quickly and lead independent and self-confident lives.

  • PDF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장애 유형과 정도를 중심으로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ypes and Degrees of Disability)

  • 조주은
    • 한국인구학
    • /
    • 제26권2호
    • /
    • pp.147-173
    • /
    • 2003
  • 정보기술은 장애인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장애인은 하나의 집단으로 묶기에는 너무나 다양한 특성을 지닌다. 털 연구는 장애의 유형과 정도에 따라 정보 접근성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분석함으로써 장애인 집단 내부의 정보 접근성 격차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 유형별 정보 접근성 수준은 지체장애, 신장장애가 높은 편이고 정신장애, 언어장애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국가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장애 정도에 따라 정보 접근성 수준이 크게 달라져서 장애 유형뿐만 아니라 장애 정도도 매우 중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그런데 장애 정도와 정보 접근성 수준의 관계는 여러 장애 유형에서 비선형관계로 나타나 장애정도가 심할수록 정보 접근성이 낮을 것이라는 가설이 기각되었다. 또한 이는 장애 유형으로만 정보 접근성을 측정할 경우 장애의 설명력이 축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장애의 정보 접근성 점수'를 산출하였는데, 중도의 신장장애가 43.0%로 29점, 중등도 정신장애가 0.5%로 1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체 장애인보다 정신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수준이 낮은것으로 분석되어 정신 장애인을 위한 정책이 절실함을 알 수 있었다.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환자의 증상 완화를 위한 모바일 게임 기반의 디지털치료기기 개발 (Development of a Mobile Game-Based Digital Therapeutic Device for Symptom Alleviation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atients)

  • 서다원;박난;백인성;김가현;조윤진;나정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22-823
    • /
    • 2023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는 장기적으로 심각한 기능 장애를 초래하므로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이다. 현재 PTSD 치료법 중 효과가 검증된 주류 심리치료는 환자에게 정서적 고통을 유발하여 치료 중도 포기를 야기하고 치료 효과를 감소시키는 주요한 원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성형 AI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맞춤형 트라우마 이미지를 무의식적으로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게임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게임은 디지털 치료기기로 사용함으로써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치료의 효과를 증대한다.

중도지체장애여성의 직업활동에 대한 가족 역할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family roles on the job activities of women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 이은미;백은령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0권2호
    • /
    • pp.61-86
    • /
    • 2006
  • This phenomenological study aims at exploring the role of family in promoting, maintaining, and developing job activities of women with acquired physical disabilities.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ith 8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6 theme clusters and 14 sub-themes have appeared. Participants have vividly revealed their experiences with regard to the various support and help of their family. They were provided physical, emotional and financial supports which helped at great extent to overcome the anger and loss resulted from the acquired disabilities. Although most of the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failure in job finding several times, they have at last succeeded in it by the consistent help of their family. In particular, the support and help given from the family were substantial and specific which promoted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ir career. Therefore the participants could obtain more confidence in themselves and this made the participants to speak for themselves. Although the family roles for the job finding and maintaining of the participants are played in various ways which is positive, effective and specific, there remains some significant problems and limitations.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uncomfortableness in opening their most in-depth thinking and emotions to their family. They have also experienced a great deal of difficulties in maintaining job because of the housework load and child bearing work which is mainly regarded by the family members as the woman's(participant's)duties. In addition to this, sexual needs and sexual identity of the participants are neither recognized nor dealt with seriously in family, The participants also mentioned about the inequal relationships and their self-consciousness among family member as well as the lack of career guidance role of the family.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we have made a number of suggestions to promote the positive roles and overcome the limited roles of the family.

  • PDF

중도장애인의 사고 이후 생애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Biographical Experienc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fter an Accident : A Qualitative Study)

  • 이효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4호
    • /
    • pp.217-244
    • /
    • 2007
  • 본 연구는 사고로 중도장애인이 된 사람들의 사고 이후 생애경험을 재구성하여 그들의 삶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F. Schutze의 이야기식 인터뷰(narrative interview)를 조사도구로 3 사례를 수집하여 '인생진행의 과정구조'로 분석하였다. 특별히 그 과정에서 피면접자 자신이 직접 구성한 삶의 경험을 연구자가 구성한 후, 각 사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전체 사례를 비교하며 재구성하였다. 이 결과 생애사 연구 방법이 현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반성을 이끌어, 중도장애인들의 사고 이후 경험을 이해하고 직접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적 실천을 위한 사정도구로 사용되기를 바라며, 특히 미래의 사회복지사들에게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클라이언트를 총체적(holistic)으로 이해하는 접근방법임을 제언하였다.

  • PDF

정신장애인의 직업의 의미 - 아시아인과 미국인의 문화적 차이를 중심으로 - (Meaning of Work for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 Focused on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Asians and white Americans -)

  • 김민;밀러 우마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227-24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정신장애를 가진 아시아계 미국인과 미국계 백인의 직업의 의미와 중요성, 직장에서 받는 메시지 및 차별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용은 단기적으로나 장기적으로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비록 정신장애인의 회복과 고용관련 서비스와 직업의 의미에 대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지만 다른 인종에 비해 서비스의 참여율이 낮고 중도포기율이 높은 정신장애를 가진 아시아계 미국인을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는 전무하다. 그렇기 때문에 정신장애를 가진 아시아계 미국인이 생각하는 직업의 의미와 사회나 직장에서 경험하는 차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혼합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설문지 개발을 위해 Millner(2015)가 실시한 정신장애인의 직업과 장애에 대한 연구결과와 9명의 정신장애인들이 인지인터뷰와 파일럿 테스트에 참여하여 개방형/폐쇄형 질문을 포함한 설문지가 개발되었다. 설문은 5월부터 8월까지 실시되어 총 91명의 정신장애인이 성공적으로 설문을 완료하였다. 양적 분석을 위해 t-test가 사용되었으며 개방형 질문은 연구자가 함께 분석하였다. 정신장애를 가진 아시아계 미국인은 미국계 백인보다 직업에 대한 높은 열망을 가지고 있으며 직장 내에서 소수인종과 정신장애라는 이중장벽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혹은 서비스 제공자에게 고용과 관련하여 인종과 장애로 인한 사회적 차별을 경험하고 부정적인 메시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 서비스 제공자들은 다문화 정신장애인의 특성과 직업의 의미, 이들이 실제로 경험하고 있는 이중장벽과 사회적 차별을 이해하고 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