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줄기세포이식

Search Result 7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2005 전남대학교 줄기세포 심포지움 개최 후기

  • 한호재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1 no.10
    • /
    • pp.918-928
    • /
    • 2005
  • 체세포 핵이식을 통한 정상인과 환자 체세포 유래의 다능성 인간배아 줄기세포주 확립 및 응용 - 체세포 핵이식을 통한 다능성 인간 배아 줄기세포주 확립의 기술적 측면 - 인간배아줄기세포의 분화 : 발생생물학적 접근 및 세포치료에 대한 전망 - 마우스 배아줄기세포 기능들의 호르몬 조절 - 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골조직 공학 - 조혈모세포의 재생 - 제대혈 유래 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 - 난치성 혈액종양질환에서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세포면역치료법 확립

  • PDF

TGF-$\alpha$로 분화 유도된 인간 배아줄기세포 이식에 따른 파킨슨 동물 모델 생쥐의 행동 개선

  • 이금실;김용식;신현아;조황윤;김은영;이원돈;박세필;임진호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71-271
    • /
    • 2004
  • 본 실험은 TGF-a를 처리하여 분화가 유도된 인간배아 줄기세포를 파킨슨 동물모델에 이식하여 숙주세포에서의 생존 및 이식효과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TGF-a로 분화된 세포의 이식효과를 판정하고자 배양시 TGF-a처리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분화를 유도한 인간배아 줄기세포를 hoechst33342로 표지 하여 병변 유발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측 선조체내에 4×10⁴개/2ul가 되도록 이식하고(이식 위치: AP 0.7, ML 2.0, DV3.4) 이식 후 2, 4주에서 행동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4주에 동물을 희생시켜 4% PFA를 이용하여 뇌 조직을 고정하고 뇌 조직은 40㎛ 두께로 동결 절편을 만들어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신경세포로의 분화 및 TH 발현 여부를 관찰하였고 분화의 표지물질로 nestin, NF200, GFAP, TH를 사용하여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중략)

  • PDF

전뇌 허혈성 뇌졸중 (Global Ischemia) 동물 모델 Mongolian Gerbil에 대한 인간 배아줄기세포 이식효과

  • 김광수;심인섭;김은영;정길생;이원돈;박세필;임진호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69-269
    • /
    • 2004
  • 배아줄기 세포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 수단으로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풍 동물모델에서 수중미로 학습을 이용하여 중풍 치료제로서 인간배아줄기 세포의 인지 및 기억력 장애에 대한 기능 회복의 효능을 검토하였고, 인간배아줄기 세포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이용하여 해마내의 세포사멸을 측정하였으며, 인지 및 기억증진의 작용을 규명하기 위하여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중략)

  • PDF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당뇨병을 극복한다?

  • 유순집
    • The Monthly Diabetes
    • /
    • s.166
    • /
    • pp.64-67
    • /
    • 2003
  • 인슐린 치료를 필요로 하는 당뇨병 환자에서는 당뇨병성 합병증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합병증이 진행된 경우에는 기존의 고식적인 치료로 만족할 만한 효과를 거두기가 어려워 이상적인 치료 방법에 대한 기대가 높은 상태이다. 특히 췌도이식 대상자는 급증하고 있으나 공급 가능한 췌장은 한정되어 있어 이식에 필요한 췌도는 절대적인 부족 상태로 오직 일부 제 1형 당뇨병 환자에서만 제한적으로 췌도이식이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충분한 췌도 이식원을 확보할 수 있는 췌도 이식원의 개발은 췌도이식의 가장 큰 목표라 할 수 있다. 본 난에서는 당뇨병 치료에서 시험관내 및 생체실험에서 줄기세포의 현황과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당뇨병을 극복하고자 하는 연구의 성과와 이에 따른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최근 내용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The convergence effect of medical industry through stem cell implant treatment (줄기 세포 이식 치료를 통한 의료 산업적 융합효과)

  • Lee, Tae-Hoo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2
    • /
    • pp.61-65
    • /
    • 2018
  • Our experiment studied that grafted stem cells reduced behavioral deficiency in rodent animal models of clip compressive surgery inducing spinal cord infarction. Our research proved the effect of embryonic stem cells to the spinal cord infarction caused by compressing T9-10 with an aneurysm clip, focusing the application of grafted stem cells for reduction of infarction and regeneration of spinal cord nervous injury. Therefore, our research suggests manifest results that implantation of mouse embryonic stem cell could show behavioral improvement after severe spinal cord damage. Therefore, mouse embryonic stem cell (mESC) could be useful application for the method in neurological injury. Conclusively, stem cell implant therapy may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tem cell implant for central nervous system injury.

화제의연구(3) - 쥐 뇌에 배아줄기세포 이식, 신경세포 생성실험 성공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5 no.4 s.395
    • /
    • pp.20-21
    • /
    • 2002
  • 포천중문의대 차병원 세포유전자연구소의 연구팀은 국내 처음으로 쥐의 배아 줄기세포를 살아있는 쥐의 뇌에 이식하여 손상된 뇌신경의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뇌세포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이 연구팀은 쥐실험과 같은 연구과정을 사람에게 적용하는 실험을 하기 위해 오는 5월 '줄기세포치료이식센터'를 완공할 계획이다.

  • PDF

Methylation Patterns of Imprinting Genes, H19, Igf2r, and Snrpn, in Mouse Embryonic Stem Cells and Nuclear Transferred Embryonic Stem Cells (생쥐의 수정란 배아줄기세포와 체세포핵이식 배아줄기세포에서 각인유전자, H19, Igf2r, Snrpn의 메틸화 경향)

  • Lee, Min-Ho;Ju, Jin-Young;Cho, Youl-Hee;Shim, Sung-Han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14 no.4
    • /
    • pp.253-259
    • /
    • 2010
  • DNA methylation is one of the major epigenetic regulations of gene expression. The DNA methylation patterns are dramatically changed during gametogenesis and embryogenesis, and especially, it has been known that embryonic stem cells show a distinct methylation patter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methylation patterns of imprinting genes, H19, Igf2r, and Snrpn, in stem cells induced from fertilized embryo (fES) and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red embryo (ntES). The methylation pattern of H19 gene in both fES and ntES were similar. However, the methylation patterns of Igf2r and Snrpn in ntES (hypermethylated) were slightly different from fES cells.

성체줄기세포 연구이 대규모 임상 성공의 의미 및 활용가치

  • Na, Hyeong-Gyun
    • Health and Mission
    • /
    • s.4
    • /
    • pp.26-38
    • /
    • 2005
  • 최근 성체줄기세포도 배아줄기세포처럼 자신이 속한 조직이나 장기가 아닌 다른 배엽의 줄기세포로 부화할 수 있는 교차분화 능력이 알려지면서 여러 질환에서 이식치료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가톨릭대학교 외신경계 유전테연구센터에서는 난치성 혈관질환 중 놔경색, 버거씨병 등 환자 64명에게서 현저한 치료 효과를 보았다.

  • PDF

Clinical Effect through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cal Ischemia Region (뇌허혈성 부위의 조직학적 특성을 통한 임상적 영향)

  • Lee, Tae-Hoon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7 no.4
    • /
    • pp.39-43
    • /
    • 2019
  • Mouse embryonic stem cell could show an substitutional materials of cells of neuron differentiation, positively increasing their effectiveness in the treatment of nervous symptom. We examined that mouse embryonic stem cells (mESCs) can be induced to undergo neuronal differentiation. After neuronal induction, the phenotype of mESCs changed towards neuronal morphology and mESCs were injected into the lateral ventricle of the experimental animal brain. Transplanted cells migrated to various parts of the brain and ischemic brain injury by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increased their migration to the injured cortex. Intracerebral grafting of mESCs mostly improve sensory and motor nervous system of neurological injury in focal cerebral rats.

A pilot study of neuroprotection with umbilical cord blood cell transplantation for preterm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극소 저 출생체중 미숙아에서 자가 제대혈 줄기세포 이식을 통한 신경 손상 방지 연구)

  • Chae, Kyu Young;Lee, Kyu Hyung;Eun, So Hee;Choi, Byung Min;Eun, Baik-Lin;Kang, Hoon-Chul;Chey, Myung Jae;Kim, Nam Keun;Oh, Doye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50 no.9
    • /
    • pp.882-890
    • /
    • 2007
  • Purpose : Preterm very low birth weight infant have high rate of adverse neurodevelopmental sequale. Recently, there have been lots of reports that human umbilical cord blood transplantation ameliorates functional deficits in animal models as hypoxic ischemic injury. This pilot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autologous umbilical cord blood cell transplantation for preventing neurodevelopmental sequale in perterm VLBW. Methods : Subjects were 26 preterm infants whose birth weight are less than 1,500 g and delivered under the intrauterine period 34 weeks. Autologous umbilical mononuclear cells (about $5.87{\times}10^7/kg$) were injected to neonate via the umbilical vein on the postnatal 24-48 hour. The therapeutic efficacy was assessed by numbers of nucleated RBC, urinary uric acid/creatinine ratio, concentration of neuron specific enolase (NSE), interleukin 6 (IL6), interleukin-$1{\beta}$ ($IL-1{\beta}$), and glial cell derived neurotrophic factor (GDNF) in serum and cerebrospinal fluid on day 1 and 7.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s of the nucleated RBC, urinary uric acid/creatinine ratio, concentration of creatine kinase between the transplanted infants and controls. But the nucleated RBC is more likely to be rapidly discharged in the transplanted group. In the transplanted group, the concentrations of IL6, $IL-1{\beta}$, and GDNF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ay 1 and 7, although GDNF seemed to be elevated. Serum NS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elevated after transplantation, but not in CSF. Conclusion : It is suggested that autologous umbilical cord blood transplantation in preterm very low birth weight infant is safe to apply clinical practice. Long term follow up study should be needed to evaluate the potential therapeutic effect of umbilical cord blood transplantation for neuroprot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