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준안정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초

PbTe-$Bi_2Te_3$계 열전소재의 계단식 냉각법에 따른 열전특성

  • 임주혁;정규호;최원철;김효정;유현우;김광천;김진상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7-237
    • /
    • 2010
  • 고효율의 열전특성을 갖는 나노 구조체 열전재료 연구의 일환으로 이종물질인 $Bi_2Te_3$-PbTe계 열전소재의 미세구조와 특성을 조사하였다. 계단식 냉각법(step cooling)를 통하여 시편을 제조 하였고, EPMA를 이용하여 시편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열전소재의 상분리를 유도하기 위하여 $700^{\circ}C$에서 용융 후 3일 동안 $400^{\circ}C$로 유지시킨 후 상온까지 용융로에서 서냉하였다. EPMA를 이용하여 제조된 시편의 미세구조와 정량 분석을 하였고, 각 상의 결정구조 확인을 위하여 XRD 분석법을 이용하여 다결정의 PbTe와 $Bi_2Te_3$ 그리고 준안정상인 $PbBi_2Te_4$가 관찰 되었다. 계단식 냉각법을 통한 시편의 열전특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제조된 시편은 급속 냉각법으로 제조된 시편과 비교되었으며, 제벡계수는와 열전도도는 상온에서 각각 약 -100mV/K와 0.9W/mK로 약90%, 40%의 열전특성 향상을 확인하였다.

  • PDF

관 유동과 Blasius 유동에서 가장 불안정한 교란에 관하여 (On the Most Unstable Disturbance of Channel Flows and Blasius Flow)

  • 최상규;정명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7권6호
    • /
    • pp.766-772
    • /
    • 2003
  • The pseudospectral method for stability analysis was used to find the most influential disturbance mode for transition of plane channel flows and Blasius flow at their critical Reynolds numbers. A number of various oblique disturbance wave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pseudospectra and resolvent norm contours in each flow, and an exhaustive search method was employed to find the disturbing waves to which the flows become most unstable. In plane Poiseuille flow an oblique disturbance with a wavelength of 3.59h (where h is the half channel width) at an angle $28.7^{\circ}$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or the flow transition to turbulence, and in plane Couette flow it is an oblique wave with a wavelength of 3.49h at an angle of $19.4^{\circ}$. But in Blasius flow it was found that the most influential mode is a normal wave with a wavelength of $3.44{\delta}_{999}$.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most influential disturbance mode is closely related to the fundamental acoustic wave with a certain shear sheltering in the respective flow geometry.

초고속 신축버퍼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a High Speed Elasticity Buffer)

  • 홍유표;양기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8C호
    • /
    • pp.801-805
    • /
    • 2009
  • 컴퓨터 네트워크의 지속적인 보급과 멀티미디어에 대한 수요의 급증은 화상 회의 등의 새로운 수요에 대응 할 수 있는 초고속 근거리 통신망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러한 초고속 근거리 통신망의 구현을 위해서는 연결된 컴퓨터들 간의 데이터 전송이 지연 없이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동기화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네트워크상의 모든 컴퓨터들이 거의 같은 주기의 클럭을 사용할 경우, 데이터 정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송신단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단에서 받아들일 때 비동기 데이터 샘플링에 의한 준안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한 해결을 위한 신축 버퍼가 필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고속 동작용 신축버퍼의 구현에 대해 논의한다.

차량구조용 변태유기소성(TRIP)형 복합조직강의 인장성질에 미치는 화학조성의 영향 (Effect of Chemical Composition on Tensile Property in TRIP-assisted Multiphase Steel for Automobile Structure)

  • 이기열;방일환;마아람;김영순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06-113
    • /
    • 2007
  • The effect of chemical composition on the microstructural change and tensile property in TRIP-assisted steels with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 was investigated by using SEM, TEM, XRD and UTM. As a result of microscopic observation, the morphology of retained austenite could be identified as two types : a granular type in a steel containing higher sillicon and a film type in a steel having higher carbon. For the case of higher carbon-containing steel with a tensile strength of 860 MPa and a total elongation of 38%, film-typed retained austenite could be observed between lath bainitic ferrite. Actually, metastable retained austenite was a requisite for the good formability, which means that chemical composi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microstructure and tensile property of TRIP-assisted steels. With respect to tensile property, the steels containing suitable silicon and manganese, respectively, showed a typical TRIP effect in stress-strain curve, while a steel containing higher manganese content exhibited the assimilar behavior shown in dual phase steel.

스퍼터링법으로 증착된 몰리브네늄 박막 및 텅스텐 박막의 잔류 응력 제어 (Residual stress control in sputter-deposited molybdenum and tungsten thin films)

  • 최두호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9.2-49.2
    • /
    • 2018
  • 스퍼터링에 의해 증착된 박막 내 기계적 응력 발생 현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활발한 이론적, 실험적 접근이 있었으나, 복잡한 플라즈마 증착환경 내에서 다양한 증착 파라미터로 인해 정확한 응력 발생 메커니즘에 대해 아직도 완벽한 규명이 되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몰리브데늄 (Mo)과 텅스텐 (W) 박막을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증착 시 발생하는 잔류응력 발생 현상에 대해 논의하겠다. Mo 박막의 경우 증착압력을 2.5 mTorr와 4.1 mTorr로 고정시킨 채 기판 바이어스를 0-250 V 간격으로 변화시킨 결과, 2.5 mTorr에서는 기판바이어스가 증가할수록 압축응력이 증가하는 반면 4.1 mTorr에서는 기판바이어스가 증가할수록 인장응력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반대 경향의 잔류응력을 발생시키는 기판 바이어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증착 파라미터 변경에 따른 박막 성장 거동 모델을 제시한다. W 박막은 준안정상인 ${\beta}$-상이 증착 초기(2.5 nm)에 형성이 되고, 증착 과정에서 열역학적 안정상인 ${\alpha}$-상으로 상변태 하였다. 상변태에 의한 부피 변화에 따른 잔류응력 발생의 분석을 위하여 X-ray 회절피크의 비대칭성을 분석한 결과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이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스퍼터링 공정 시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중성화된 Ar과 스퍼터된 원자가 기판과 충돌 시 atomic peening effect에 의해 압축응력이 발생한다는 일반적인 이론과 상충되는 결과로서, Mo 및 W 박막 내 잔류응력 제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 PDF

Cu와 Co-Nb 이중층 실리사이드 계면의 열적안정성 (Thermal Stability of the Cu/Co-Nb Multilayer Silicide Structure)

  • 이종무;권영재;김영욱;이수천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7권7호
    • /
    • pp.587-591
    • /
    • 1997
  • RBS와 XRD를 이용하여 C o-Nb이중층 실리사이드와 구리 배선층간의 열적안정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Cu$_{3}$Si등의 구리 실리사이드는 열처리시 40$0^{\circ}C$정도에서 처음 형성되기 시작하였는데, 이 때 형성되는 구리 실리사이드는 기판의 상부에 존재하던 준안정한 CoSi의 분해시에 발생한 Si원자와의 반응에 의한 것이다. 한편, $600^{\circ}C$에서의 열처리 후에는 CoSi$_{2}$층을 확산.통과한 Cu원자와 기판 Si와의 반응에 의하여 CoSi$_{2}$/Si계면에도 구리 실리사이드가 성장하였는데, 이렇게 구리 실리사이드가 CoSi$_{2}$/Si 계면에 형성되는 것은 Cu원자의 확산속도가 여러 중간층에서 Si 원자의 확산속도 보다 더 빠르기 때문이다. 열처리 결과 최종적으로 얻어진 층구조는 CuNbO$_{3}$/Cu$_{3}$Si/Co-Nb합금층/Nb$_{2}$O$_{5}$CoSi$_{2}$/Cu$_{3}$Si/Si이었다. 여기서 상부에 형성된 CuNbO$_{3}$는 Cu원자가 Nb$_{2}$O$_{5}$및 Co-Nb합금층과 반응하여 기지조직의 입계에 석출되어 형성된 것이다.

  • PDF

FFL(Flat Fluorescent Lamp)의 방전 특정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Flat Fluorescent Lamp)

  • 권순석;류장렬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4권1호
    • /
    • pp.1-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FFL에 대한 기초 방전특성의 일부분으로 인가전압을 정현파와 구형파로 변화시켜 V-Q Lissjous 도형을 이용하여 FFL의 방전형태를 분석하고, 인가전압의 듀티비(duty ratio)의 면화에 의한 radiation transition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FFL을 정현파와 펄스파을 이용하였고, 절연층으로 둘러 쌓여 있는 전극을 갖는 FFL의 방전 특성을 V-Q 리사쥬 도형을 이용하여 방전 특성을 고찰하였다. FFL은 펄스파로 구동하였을 때 방전 전류는 전압의 상승 순간에 방전 전류가 흐른다. 듀티비가 증가하면 준안정 준위의 Xe 원자들은 증가하며 172nm의 자외선 방사량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알루미늄 7175합금의 단조재의 미세조직 발달 (Microstructural Evolution of the Al 7175 alloy forgings)

  • 이용연;임성택;손영일;이경훈;은일상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7년도 제9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27-27
    • /
    • 1997
  • 최근 미사일 추진기관 및 기체 구조재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7175 합금의 형상의 변화와 제조공정 변화에 따른 미세조직 변화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구조체는 사용처에 따라 Flange Type 또는 Ring Type 등으로 형상이 다양하므로 단조 조건과 제품의 위치에 따라 균일한 물성을 획득하기는 매우 어려운 숙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균일한 물성을 얻기 위한 여러 가지 제조 공정의 변화를 모색하였으며, 제조된 단조재의 미세조직을 통하여 물성과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적용된 공정은 통상의 열간 단조공정, 아 결정립 미세화공정, 재 결정립 미세화 공정 등이며 단조재의 형상과 동일 부품에서도 부위에 따라 변형량이 다르므로 미세조직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다. 아결정립과 재결정립 미세화 공정은 제품의 형상에 따라 내·외부 결정립이 크기가 크게 변화되었다. 이는 내·외부에 재료에 축적되는 에너지의 양과 외적으로 가해지는 기계적 에너지 및 열적 에너지가 다르기 때문이며, 변형량이 큰 부분의 미세 석출물의 크기가 변형량이 적은 부분의 석출물보다 크게 감소됨은 준안정상이 기계적 에너지가 변형열에 의한 열에너지로 변환됨에 따라 상석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미세 조직 제어가 알루미늄합금 단조재의 공정설계의 중요한 인자임을 재 확인시켜 주는 것으로 재료의 신뢰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추진기관의 중요 부품에 적극 고려해야 할 요소라 할 수 있다.

  • PDF

플라즈마 중합막의 기판재질 의존성과 전자선 조사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pendance of substrate material and the properties of electron beam radiation in plasma polymerized films)

  • 김종택;박수홍;김형권;김병수;이덕출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10-41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 중합 반응의 기판 재질과 전극 위치에 대한 의존성을 규명 하기 위해서 Ar방전의 발광 분석을 행하였으며 제작된 박막의 가교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전자빔 노광을 시켜보았다. 기판의 재질이 도체 및 절연체인 양자의 경우를 비교해 보면 전 자는 후자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발광 스펙트럼의 피이크 강도가 크게 나타났으며, 준안정상 태에 대한 피이크와 이온에 대한 피이크를 검토한 결과, 기판이 절연물일 때는 전극의 위치 를 멀게 할수록 이온의 피이크 강도가 극단까지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제작된 중합스티렌 박막을 통하여 발광 스펙트럼의 변화에 따라서 막의 가교성 변화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었 으며 이 막을 전자빔에 노광하였을 때, 기판이 절연물인 경우에는 패턴을 제작하는 것이 가 능하였다.

  • PDF

Spatiotemporal Behavior of Excited Xenon Atom Density in Accordance with Xenon Mole Fraction to Neon and Helium in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by Laser Absorption Spectroscopy

  • Kim, Yong-Hee;Hong, Young-June;Oh, Phil-Yong;Cho, Guang-Sup;Choi, Eun-Ha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9년도 제38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415-415
    • /
    • 2010
  • 면방전 구조의 AC-PDP는 페닝 혼합 기체 중에서 Xe 플라스마에서 발생되는 VUV (Vacuum Ultra Violet) 에 의해 들뜬 형광체로부터 가시광이 발생된다. Xe 여기종은 828 nm의 공명준위를 거쳐 147 nm의 진공자외선을 방출하며 823 nm의 준안정준위에서 분자선을 거쳐 173 nm의 진공 자외선을 낸다. 이러한 Xe 여기종의 밀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828 nm와 823 nm의 레이저를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조사하여 측정하면 IR (Infrared)의 흡수전과 흡수후의 빛의 세기로 Xe 여기종의 밀도 및 분포를 계산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823 nm에 초점을 두었으며 LAS (Laser Absorption Spectroscopy) 기법을 통하여 He-Ne-Xe(15%, 20 %, 30%) 400Torr의 3종 기체의 Xe 함량에 따른 시공간의 Xe($1s_5$) 여기종 밀도 분포와 방전효율을 관측하였다. 최근 3전극 면방전형 AC-PDP 효율 향상을 위해 3종 기체의 Xe함량비의 방전기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초 데이터는 혼합기체 조건에 따른 면방전 구조의 3전극 AC-PDP의 발광 효율을 개선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