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죽음에 대한 두려움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loneliness in elderly living alone: Focus group interview (독거노인의 심리적 외로움 경험분석: 포커스그룹 면담)

  • Kim, Doo Ree;Kang, Kyung-hee;Lee, Byunglim;Kim, Kwang-Hwa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4
    • /
    • pp.85-91
    • /
    • 2018
  • This is a qualitative research tha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loneliness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using the result of focus group interviews.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28 subjects in the Senior Welfare Center of D city. For the purpose, 28 persons were divided into 5 groups, an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each group for 50-70 minutes. and the voluntary character of research participation was sufficiently explain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ree topic collections consisting of 'Unavoidable lonesomeness', 'Inevitable death', and 'Acceptance of my life' and seven subjects, which consist of 'Absence of spouse', 'Independence for children', 'Death of neighbor (friend)', 'Fear of death left alone', 'Laying down', 'Taking care of my health', and 'Soothing loneliness in my own way', were derived. The elderly persons living alone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expressed their feeling of unavoidable loneliness and their effort to overcome the lonelines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t is hoped that diverse plans to overcome psychological loneliness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ill be developed.

The Influence of Foot Reflexology Massage Using Aroma Oil on Sleep and Pain in Cancer Patients (아로마 오일을 이용한 발 반사 마사지가 암 환자의 수면과 통증에 미치는 효과)

  • Lee, Seong-Jin;Kim, In-Lan;Kang, Kyung-Koo;Moon, Kyung-Ry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8 no.10
    • /
    • pp.1609-1616
    • /
    • 2013
  • As a disease, cancer is incurable when being diagnosed with that makes people have a fear of death. It is impacts a person's entire life by lowering her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economical, and spiritual conditions. The cancer incidence is continually increasing and its cancer death is 144.4 per 100,000 people, according to the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20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ot reflexology massage using aroma therapy, a part of alternative medicine. It aims to determine whether the use of aroma oils improve the sleep and pain condition among patients who are either currently receiving a foot reflexology massage or in need of on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Suicide Attempt of the older Seneior citizen (후기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Lee, Gwa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215-21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후기 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여 이들의 경험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bigcirc}{\bigcirc}$구에 거주하는 자살시도를 경험한 75세 이상 노인 6명을 연구참여자로 의도표집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Giorgi가 제시한 4단계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한 결과 6개의 구성요소와 20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를 통해 후기 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의 4가지 구성요소는 <모진 세월의 회한; 죽도록 고생한 모진 인생, 조실부모와 가난의 대물림, 도무지 잊을 수 없는 자식들의 외면, 가족갈등에서 온 깊은 원망>, <절망적이며 처량한 신세; 경제력을 상실과 절망, 마음대로 죽을 수 없는 처절함, 차라리 죽고 싶은 죄책감>, <쓸모없는 무가치한 삶; 아무 쓸모없는 사람, 자녀들 및 신세지기 싫은 강박관념에 괴로움, 자살충동이 일어남>, <참을 수 없는 신체의 고통과 무기력: 죽음과 삶의 두려움, 우울증, 정신병, 치매, 무기력>, <의지할 곳 없는 외로움; 하루 종일 고립됨, 숨쉬고 있지만 마지 못해 살아감, 죽은 것처럼 살고 있는 나, 하루가 지루함>,<마지막 선택; 세상이 싫어 떠날 것임, 먼저 간 배우자 따라.., 아무것도 바라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기 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에 대한 의미와 본질을 논의하고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실천 현장의 구체적 개입전략, 생명존중문화의 실질적인 대처 방안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TO DETERMINE HOW ADOLESCENT STUDENT NURSES VIEW PEDIATRIC NURSING EXPERIENCE AS STRESSFUL SITUATION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에 느끼는 성년기 간호학생들의 긴장감에 대한 실험적 연구)

  • Oh, Kasil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4 no.3
    • /
    • pp.33-56
    • /
    • 1974
  • 간호를 장래의 전문직으로 택하려고 공부하는 간호학생들은 완전한 성인으로서의 발달 과정중 후기 성년기에 속한다. 이시기는 자아를 발견하고 인간이 무엇을 믿으며 인간의 가치가 무엇인가를 추구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다시 말해서 어른과 어린이의 과도기에 서서 자신의 이상적 가치와 기성사회의 기존 가치를 잘 융화시켜 독립된 인간으로서 성숙하려는 노력의 시기이다. 그러므로 성년기의 갈등은 인생의 어느 시기보다도 그 정도가 심하게 나타난다. 간호학생들은 이상의 일반적인 성년기 발달의 요구 외에도 간호대학이라는 특수한 배움의 여건 때문에 좀 더 심각한 문제에 대두된다. 특히 소아과 간호대학이라는 실습환경은 여러 가지 복잡한 병실 사정으로 많은 긴장감을 주는 학습경험이다. 어린이의 간호에는 그들의 발달과정에 따른 다양한 역활이 요구된다. 또한 병원이라는 낯선 환경과 어머니를 떨어져야하는 두려움으로 불안한 어린이와 그 어린이의 불안과 두려움으로 인해 우울과 죄의식에 있는 어머니의 간호는 여러 면에서 성년기 학생들에게 긴장감을 일으키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의 문헌조사는 주로 미국 문헌에 나타난 간호 대학생들의 성년기 성숙을 위한 발달의 요구와, 소아병실의 복잡한 여건으로 발생되는 긴장감을 다루고 있다. 문헌을 기초로 하여 저자는 긴장감을 주는 간호활동을 크게 다섯 부군으로 묶었다. 1. 어린이 환자의 신체적 간호, 2. 어린이 환자나 부모와의 원만한 대화와 상호관계를 위한 간호활동 3. 소아병실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간호원의 역활 4. 어린이나 부모의 간호에 대한 의뢰심 5. 간호의 가치나 이상적 간호. 연구방법으로는 49개의 폐쇄식 질문 항목을 가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 항목들은 문헌연구에서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 학생들이 긴장감을 느낀다고 밝혀진 내용들이 다.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을 "긴장감이 없었다. ""긴장감이 있었다. ""심한 긴장감이 있었다. ""실습 중 경험이 없었다. "의 사항 중 택일을 하게 되어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모 대학교 간호대학 학생으로 산부인과 간호학 실습을 마친 후 소아과 간호학 실습 8주를 완료한 4학년 학생 42명이었다. 자료분석의 결과는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소아과 간호학 실습은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 있다고 나타났다. 다음은 연구결과 주목할만한 몇 가지 사항들이다. 1. 어린이 환자의 신체적 간호는 성년기 학생들에게 긴장감을 주는 실습 경험이었다. 특별히 심하게 긴장감을 주었던 간호활동은 어린이환자의 상태가 중한 경우로, 장기간 앓는 아이, 선천성 기형이 있는 아이, 회복이 불가능하여 죽게될 아이나 사망하는 경우의 어린이 간호였다. 이 결과는 간호학의 기본과정 즉, 기초간호학이나 내 외과 간호학 실습만으로 소아과 간호학 실습을 위한 충분한 준비가 되지 못한다는 것을 뜻 할 수도 있다. 한편, 문헌연구에서 밝힌바와 같이 어리고 연약해 보이는 어린이들의 신체조건이 학생들의 간호활동을 어렵게 하는 경우도 될 수 있겠다. 2. 간호학생들의 어린이 환자와의 대화나 원만한 인간관계에서의 긴장감은 이 연구결과로 평가나 제언이 힘들다. 조사결과에서 학생들은 주로 어린이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심한 긴장감을 가졌고 일반적인 간호의 경우에는 별로 긴장감이 없었다. 이것은 질병의 상태나 화제, 이야기 할 때의 상황에 따라 긴장감의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결론이 되겠다. 3. 소아병실에서의 다양한 역활을 수행하는 것은 비교적 긴장감이 많이 생기는 간호활동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재미있는 사실은 학생들이 간호원으로서의 전문가적인 입장에서, 환자나 보호자를 가르칠때는 별로 문제가 없었으나 어린이 기르는 방법이나 어린이 이해면에서 좀 더 잘 안다고 생각되는 어머니가 지켜 볼때의 어린이 간호에는 긴장감을 가진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Jewett의 연구에서 밝힌바와는 상반되는 결과다. 그의 연구에서 학설들은 부모나 어머니들에 의해 전문가로서 인정받고 기대되는 경우가 제일 어려운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4. 어린이 환자나 그들 부모의 간호에 대한 의뢰심은 학생들에게 심한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 있다. 특히 신체적 간호에 대해 의뢰하는 경우에는 더 심한 긴장감을 준다고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부모가 병실에 상주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의뢰심이 심하며 이것은 학생들에게 감당하기 힘든 긴장과 어려움을 주게된다. 왜냐하면 성년기의 학생들은 그들 자신이 먼저 타인에게서 이해받기를 원하며 또 관용을 베풀어주기를 원하는데 그것을 남에게 주어야 하는 입장은 학생들을 긴장되게 하는 실습활동인 것이다. 5. 학생들은 그들이 배운 간호의 이상이나 가치가 실습지에서의 여러 경우와 맞지 않는 것을 보았을 때 극심한 긴장감을 갖는다고 밝혔다. 의사나 병원 행정의 사실이 자신의 이상과 맞지 않는다는 것보다는 간호원의 간호업무의 차이에서 더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대부분의 성년기 학생들은 그들의 이상적인 간호원상을 그들의 선배나 실무 간호원 중에서 찾으려는 시기에 그들의 간호활동이 이론과 다른 점이나 학생 자신의 소아과 간호의 가치와 다른 것을 보았을 때는 심한 반감과 긴장감을 갖게된다. 이 문제는 어린 사람이 윗 어른과 함께 동료의식을 갖고 일하기 어려운 한국적 사회구조 때문에 더 심하게 긴장감을 주는 경험인지도 모른다. 선배 간호원의 전문인으로서의 권위와 어린이 환자 보호자의 어른으로서의 권위 사이에서 자신의 이상과 가치의 추구는 용이하지 않으며 내적 갈등은 어쩔수 없는 일 일 것이다. 6. 대부분 높은 백분율의 긴장 반응은 죽음이나 환자의 사망에 관련된 간호활동 항목에서 나타났다. 이 연구의 대상 학생들은 2, 3학년에서 죽음에 대한 강의를 들었지만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충분한 학습 경험이 주어진 것 같지 않다. 어떠한 경우의 죽음에라도 어린이 환자나 그 보호자들의 심리를 잘 이해하고 반응을 잘 관찰해서 적절한 간호를 해 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의 학습 경험이 필요하다고 보겠다. 7. 학생들의 긴장도가 어린이 간호에 더 심한가, 보호자 간호에 더 심한가를 알기 위한 비교 결과는 비교적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8. 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시의 긴장도는 과거의 병실 실습기간의 장, 단이나 가정에서의 어린인 간호의 경험과는 별 연관성이 없었다. 연구의 대상자가 적기 때문에 단정을 하기는 힘이 들지만 소아과 간호학 실습이 다른 병실의 실습과는 분리되어서 완전히 다르게 다루어 져야만 하며 간호교육자들의 주의 깊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실습교육이 라 하겠다. 이상의 전반적인 고찰에 의하면 한국 성년기 간호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은 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긴장감을 주는 경험이다. 문화배경의 다른 점은 무시하고라도 Davis와 Oleson이 결론한 바와 같이 "간호대 학생은 어디를 막론하고 다 같은 성격과 문제를 가지고 있다. "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학생들의 소아과 간호학 실습을 위한 연구를 위해 다음의 몇 가지를 본 연구의 결과를 가지고 제언한다. 1. 보다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교육 방법을 가진 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 2. 학생들이 실습 전 선입견이나 이미 들어서 생긴 긴장감의 개입 여부를 밝힐 수 있는 연구. 3. 학생 개인의 과거 경침이 긴장감 유발에 미치는 영향을 위한 연구 4. 이 연구의 결과를 입증할 수 있는 종단적 연구. 5. 이 연구에서 나타난 긴장감이 학습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한 관찰적 연구. 이 연구를 위해 많은 도움을 주셨던 보스턴대학의 Dr. Kennedy와 연세대학의 여러 선생님께 심심한 감사를 드립니다.

  • PDF

The Need for Child Hospice Care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Cancer (암 환아 가족의 아동 호스피스 요구도)

  • Kang, Kyung-Ah;Kim, Shin-Jeong;Kim, Young-Soo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7 no.2
    • /
    • pp.221-231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ed for child hospice care programs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cancer. Methods: The survey of 104 families who were taking care of children with cancer was conducted.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004 to July 2004 at two general hospitals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of 22 items. The items were classified into five areas by factor analysis to identify the construct validity. The reliability of the tool was established by Cronbach's alpha as .94 an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Results: 1) The degree of need for hospice care of the subjects showed a high average of 3.40 (${\pm}3.8$). The need for 'emotional care of children' showed the highest mean (M=3.55), 'management of terminal physical symptoms'(M=3.49), 'control of secondary physical problems' (M=3.41), 'acceptance of the family's difficulty' (M=3.20), 'spiritual care for preparing for death'(M=3.17), respectively. 2) With respect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spice care needs, according to the child's mother's age (F==4.980, P=.009), whether or not there were cancer patients among their siblings or relatives (t=2.423, P=.017). Conclusion: The family of children with cancer have a heavy burden of ambivalence, especially in relieving the anxiety and fear of their children, communicating about death, and managing physical symptoms. Child hospice care must be provided considering the needs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cancer. Thus popular needs as well as hospice nurses' higher concern and support for hospice care of children require further educ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to meet the current demands.

  • PDF

Family Members' Caregiving Experience for Middle-aged and Elderly Breast Cancer Survivors at Early Stages (중·고령 초기 유방암 생존자를 돌보는 가족의 경험)

  • Park, So-Young;Park, Hyangkyung;Koo, Hyang Na;Baek, Jung Yun;Noh, Eunjeong
    • 한국노년학
    • /
    • v.40 no.1
    • /
    • pp.111-130
    • /
    • 2020
  • This qualitative study aims to understand family members' caregiving experience for middle-aged and elderly breast cancer survivors at early stages. A total of four families of breast cancer survivors were given focus group interviews(FGI), and an additional family was interviewed individually. The thematic analyses of the FGI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discussions revealed the following four themes: first, day-to-day feelings like walking on thin ice (entangled emotions with each treatment stage, regret of watching a survivor's pain, fear of recurrence and death, concerns of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s, and various feelings experienced as a daughter), second, caregiving has become a mainstay in my life (unfamiliar and unskilled care, losing my life), third, beginning to recover and different experiences between a survivor and a family caregiver (not understanding a survivor's pain from the abyss, forgetting that the survivor is still a cancer patient and that treating him or her casually), and fourth, moving forward (hope that things will be better, taking care of myself to prevent exhaus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social welfare services and policy measures to reflect the psychosocial needs of family caregivers of breast cancer survivors and support family caregivers during the care process.

Problem Analysis and Improvement Strategy for the Suicide Prevention Act (자살예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Shin, Kwon-Chul
    • Journal of Legislation Research
    • /
    • no.44
    • /
    • pp.689-723
    • /
    • 2013
  • Suicide is Korea's first leading cause of death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at a rate of 31.2 per 100,000 in 2010. The Korea suicide rate is over twice higher than OECD's average rate. Because of this reality the suicide prevention act(full title, the Act on Prevention of Suicide and Creation of Culture that Respects Life) was enacted in 2011. In 2008, the Korean government planned the suicide prevention programs to decrease the incidence of suicide to approximately 20 per 100,000 by the end of 2013. Despite the plan the suicide rate in Korea has increased to over 30 per 100,000 since 2009 and the plan was proved to be failed. Consequently, the government was unable to lower the suicide rate in last decade. It has shown that the reduction of suicide rate is a difficult and complex problem. This study shows that the root cause of suicide is based on social and legal exclusion and proposes that suicide prevention measures should be aimed at social cohesion and legal protection.

호스피스 교육이 간호사의 죽음과 임종에 대한 두려움과 대응에 미치는 영향

  • Jeong, Bok-Rye;Han, Ji-Yeong;Kim, Gyeong-Deok
    • Korean Journal of Hospice Care
    • /
    • v.5 no.1
    • /
    • pp.33-41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ducation of hospice for nurses on concern and coping about death and dying.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 Korean nurse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of hospice which consisted of lectures and practices for 5 months.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of concern and coping about Death and Dying. Data were analyzed with the mean, SDs and Wilcoxen test. Results: The mean score of concern about death and dying was 7.03. The highest items of concern about death and dying were 'thoughts of physical pain and being, 'thoughts of suffocating and choking, 'fear of darkness', The lowest items of concern about death and dying were. 'thoughts of burglars invading my possessions', 'rejection by God', thoughts of no one attending funeral', 'thoughts of no one paying respect or tribute', The mean score of coping about death and dying was 11.37. The highest items of coping about death and dying were 'call family member(s) into room and ask them ti sit close by, reminisce on happy events of the past, tell myself that there is nothing to be afraid of, look at family picture albums'. The lowest items of coping about death and dying were 'stay up stay up late till ready to fall asleep', 'look at family heirlooms', 'phone a prayer line', 'ask for a snack or something to drink'. In concern and coping about death and dying,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pre and post test. But there was a tendency to decrease concern and increase coping about death and dying after education of hospice. Conclus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needed for nurses not only to do research for concern and coping about death and dying but also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 PDF

Care Needs of Hospice Patients in Comparison with Those from the Family Caregivers' Perspective: Q methodology (호스피스 환자의 돌봄 요구와 가족이 인지하는 환자의 돌봄 요구 비교: Q 방법론)

  • Yong, Jin-Sun;Hong, Hyun-Ja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7 no.2
    • /
    • pp.153-168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ile study was to identify types of care needs of hospice patients and those from the family caregivers' perspective and to compare these two groups in reporting patients' care needs through Q-methodology. Methods: Twenty three Q-statements concerning care needs were se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hospice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0 hospice patients as well as 20 family caregivers respectively by sorting 23 Q-statements into 9 points standar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PC QUANL program. Result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dentified four types of care needs of the hospice patients. Overall, the accuracy of family caregiver reports was 48% in all types of care needs. Type 1 was named 'physical care needs type' for those whose greatest need was physical care to be free of pain and comfortable. The accuracy in Type 1 was 62.5%. Type 2 was named 'emotional care needs type' for those who would like to share love and intimacy with their family members. The accuracy in Type 2 was 20%. Type 3 was named 'spiritual care needs type' for those who would like to receive forgiveness from their God and prayers and visitation of clergy. The accuracy in Type 3 was 60%. Type 4 was named 'social care needs type' for those who would like to complete their ongoing work and to give service to others. The accuracy in Type 4 was 50%. Conclusion: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between hospice patients and the family caregivers in reporting patients' care needs. Thus, hospice nurses need to educate family caregivers to more accurately assess patients' care needs.

  • PDF

The Study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East Coast Poong-O-Je Festival (동해안풍어제의 원형미학적 연구)

  • Sim, Sang-Gyo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41
    • /
    • pp.321-352
    • /
    • 2020
  • Donghaean Byeolsingut itself reflects the ideals and dreams of seaside life. Imagination and interest in water are fully reflected in Donghaean Byeolsingut as a living in a seaside town. For the beach people, water is the foundation of life and the object of fear. It is the water of life and the water of death. It projects the whole process of life into the imagination created by the world encompassed by the sea. The beach's imagination is an existential insight into the whole process of life and a reflection of existential agony. At Poongeoje, the villagers hope for a specific blessing from God. People are free only when God's retribution comes down. The villagers feel free because of the virtue of the shaman's blessing. Individual trauma is experienced to a certain extent by gaining mental freedom. It can be said that the state of aesthetic pleasure experienced by creating an art work by itself and the nature of aesthetic pleasure experienced through Pungeoje and Byeolsingut are not different. The prototype of Poongeoje is a free spirit, and a religious aesthetic to strengthen the free spirit is the core of the aesthe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