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 단량체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6초

MMA/BA의 단량체 비에 따른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 및 내구성 (Strength and Durability of Polymer Modified Mortar according to Monomer Ratio of Methyl Methacrylate and Butyl Acrylate)

  • 문경주;형원길
    • 폴리머
    • /
    • 제32권6호
    • /
    • pp.603-60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MMA(methyl methacrylate)와 BA(buthyl acrylate)를 단량체로 이용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단량체 비에 따른 성질을 파악하고 시멘트 혼화용 폴리머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MMA/BA를 이용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전 세공용적은 MMA/BA의 단량체 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도특성에서는 전체적으로 MMA/BA의 단량체 비가 70 : 30, 그리고 80 : 20일 때, 폴리머 시멘트 비가 15%일 때 가장 우수한 증진효과를 나타냈다.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내구성을 측정하는 흡수율, 염화물 이온 침투 저항성, 중성화 저항성에서는 단량체 비에 따른 개선보다는 폴리머 시멘트 비에 따른 개선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계면중합조건에 따른 복합막의 물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nce of Properties of Thin Film Composite Membrane according to change of International Polymerization Condition)

  • 이동진;최영국;이수복;민병렬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8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7-20
    • /
    • 1998
  • 1. 서론 : 계면중합은 제조에 따른 박막의 성능 조절이 가능한 이유로 해서 역삼투용 복합막의 주요 제조 방법으로 제시되어 왔다. 계면중합을 응용하여 제조된 복합막의 성능은 반응 단량체의 종류, 용재의 종류, 단량체의 농도, 반응시간, 열처리 유무 및 온도와 시간 등에 의해 변한다. 한편 위의 변수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고 아울러 단량체간의 몰 비가 성립하지 않음으로 해서 최적의 막 성능으로 제시되는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주로 시행착오에 의한 방법을 동원하여 여러 변수에 다른 제조 막의 성능 고찰을 실시하여 왔다. (생략)

  • PDF

생체적합성 및 생체안정성이 향상된 이식용 합성 수화젤 (Synthetic Hydrogel as an Implant Material with Enhanced Biocompatibility and Biostability)

  • 최진현;박보형;한영아;김수정;임정옥
    • 폴리머
    • /
    • 제28권1호
    • /
    • pp.86-91
    • /
    • 2004
  • 생체 이식용 재료로서 제한된 용도를 갖는 기존의 스폰지를 대체하기 위해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산염이 높은 단량체 농도에서 단독 또는 공중합하여 생체적합성 및 생체안정성이 향상된 수화젤을 합성하고 이들의 세포 독성, 세포 부착성, 및 조직 적합성 등을 고찰하였다.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투입 몰비가 증가할수록 세포 독성은 감소하여 0.05의 투입 몰비에서는 거의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메타크릴산염이 0.01의 몰비로 투입된 수화젤이 가장 우수한 세포 부착 및 퍼짐을 보인 반면, 메타크릴산염이 0.05 투입된 수화젤은 낮은 세포 부착을 보였다. 메타크릴산염이 공중합된 수화젤은 이식 후 8주가 경과하여도 특별한 이물질 반응의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높은 단량체 농도에서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염을 적절한 단량체 투입비로 공중합하여 제조한 수화젤은 탁월한 생체적합성 및 생체안정성을 갖는 생체 이식용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Wood Plastic Combinations (II). Monomer Impregnations and Gamma-ray Induced Polymerizations

  • Pyun, Hyung-Chick;Kim, Jae-Rok;Lee, Kyung-H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23-30
    • /
    • 1972
  • 감마선 중합에 의한 목재와 프라스틱의 복합체 제조에 있어서, 각종 목재들에 대한 단량체의 침투량과 침투속도를 검토하였으며, 중합에 있어서는 국산 목재를 주로 하여 이에 각종 단량체 및 그 혼합물, 방사선의 조사량, 조사율, 이에 따르는 중합속도 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단량체 침투에 있어서, 침투속도나 침투량은 모두 포플라에서 컸다. 2) 목재내에서의 단량체의 중합속도는 비닐 아세테이트-메찔메타아크릴레이트-스타이렌의 순서이며 필요한 전 조사량은 조사율 4$\times$$10^4$rad/hr에서 3~15Mrad의 범위었다. 따라서 중합속도의 관점에서 볼때 비닐아세테이트나 메찔메타아크릴레이트가 좋은 단량체 이다. 3) 단량체와의 결합에 있어서 리기다송, 육송등이 중합속도로 보아 효과적인 목재이다. 4) 목재 내부에서 단량체는 비교적 낮은 조사율인 2.1$\times$$10^4$rad/hr에서 더 용이하게 중합되었다.

  • PDF

서로 다른 측쇄 종류를 가진 주 단량체에 따른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Water-Based Acrylic Adhesives According to Main Monomers with Different Side Chain Types)

  • 신혜린;김유리;김경실;박종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627-163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의 물성에 대한 주 단량체의 측쇄 사슬의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주 단량체로 각각 eth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lauryl methacrylate를 사용하여 acrylic acid, 2-hydroxyethyl acrylate와 공중합체를 합성하여 수성 아크릴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수성 아크릴 점착제의 고형분, 평균입도분포, 초기점착력, 최대점착력, 박리강도, 내열점착력 등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생물활성을 갖는 1-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5-플루오로우라실 및 그 중합체의 합성과 가용매반응 (Syntheses and Solvolysis of Biological Active 1-(Methacryloyloxymethyl)-5-fluorouracil and Its Polymers)

  • 이능주;오상훈;하창식;이진국;조원제
    • 공업화학
    • /
    • 제1권2호
    • /
    • pp.190-196
    • /
    • 1990
  • 생물활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1-(methacryloyloxymethyl)-5-fluorouracil(MAOMFU)을 2, 4-bis(trimethylsilyloxy)-5-fluoropyrimidine으로 부터 합성하고, MAOMF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를 cyclohexanone 용매로 사용하여 $60^{\circ}C$에서 라디칼 공중합을 하였다. 공중합체 내의 단량체조성은 공중합체의 UV스펙트럼으로 부터 정량분석하여 구하였다. $Kelen-T\ddot{u}d\ddot{o}s$법에 의해 구한 각각의 단량체 반응성비의 값은 $r_1(MAOMFU)=0.72$, $r_2(MMA)=1.24$ 이었다. 얻어진 단량체 반응성비의 값들로부터 MAOMFU와 MMA의 공중합에서 MAOMFU의 입체장애 효과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MAOMFU와 poly(MAOMFU)의 가용매분해속도상수는 각각 $6.42{\times}10^{-5}sec^{-1}$$7.40{\times}10^{-6}sec^{-1}$ 이었다. 얻어진 가용매분해속도상수로부터 poly(MAOMFU)에서 5-fluorouracil의 가용매분해속도는 MAOMFU 보다 약 5배 느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바인더용 고분자 첨가제에 따른 잉크젯 인화지의 잉크흡수 특성변화 (Change of Ink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Ink-Jet Printing Paper with Polymeric Binder)

  • 김철용;이명천
    • 폴리머
    • /
    • 제30권6호
    • /
    • pp.550-555
    • /
    • 2006
  • 잉크젯프린터용 잉크가 수성화되어 감에 따라 전용 인화지에 사용되는 코팅제 역시 수성 코팅제가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수성 코팅제에 사용되는 재료를 살펴보면 안료로는 알루미나솔, 주 바인더로 폴리 (비닐 알콜), 부족한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분자 첨가제를 사용한다. 된 연구에서 사용된 고분자 첨가제는 스티렌과 부틸아크릴레이트를 기본으로 하구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아크릴 아미드 단량체들을 조합하여 에멀션 중합법으로 합성하였다. 중합시 비이온 및 음이온 유화제를 혼합 혹은 단독으로 사용하고, 단량체 조합과 고분자 첨가제의 입자구조를 변화시켜 흡수성, 퍼짐성, 광학밀도의 인쇄적성과 광택도 내수성 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 결과, 음이온 유화제나 카복실기를 가지는 아크릴산 같이 음이온성이 큰 물질을 사용한 경우 알루미나 솔과의 상용성에서 문제를 야기하였고 아크릴 아미드는 인쇄적성에서 뛰어난 결과를 얻었지만 광택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메타크릴산이 함유된 경우 광택도는 향상되었지만 인쇄적성이 떨어졌다.

니트로메탄의 분자 간 수소결합과 니트로메탄 이합체의 안정화에 관한 이론적 연구 (A Theoretical Study on the Inter-molecular Hydrogen Bond Between Nitromethanes and the Stabilization of Nitromethane Dimer)

  • 이민주;김지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29-235
    • /
    • 2004
  • 고에너지 화합물의 수소결합 현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nitromethane 단량체 (monomer)와 이합체 (dimer)에 대하여 Gaussian-9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restricted BLYP/6-311++G(d,p), B3LYP/6-311++G(d,p), MP2/6-311++G 계산을 수행하였다 . 이러한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nitromethane 단량체 및 이합체의 구조와 수소결합 및 진동스펙트럼을 구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 nitromethane 상온에서 분자 간에 두 개의 수소결합을 이루며 이합체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고 , 이 이합체는 단량체보다 BLYP, B3LYP, MP2 level 계산에서 각각 약 15.2, 19.4, 32.6 kJ/mol 만큼 안정화됨을 알 수 있었다.

치과용 의치상 아크릴릭 레진 단량체 중량비에 따른 기계적 성질 (The mechanical property investigation according to the monomer weight ratio of the dental acrylic denture base resin)

  • 이희경;선금주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87-293
    • /
    • 2013
  • Purpose: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f the dental acrylic denture base resin in the mechanical property difference investigation according to the monomer composition weight ratio of the acrylic denture base resin. Methods: The monomer composition of the acrylic denture base resin and weight ratio makes the different specimen. It measured the mechanical property with the specimens through Hardness Test, Tensile Test, Flexural Test, Flexural Modulus, FT-IR Test. Results: The control group Vertex was 18.4 Hv and the experimental group MED was 14.46~19.07Hv in the hardness test. Vertex was 364N, MED-3 was lowest in the tensile strength test and the Head of a family cursor declination was big. The result declination of the experimental specimens showed. Vertex and MED-2 was the highestest in the flexural test and after coming MED-6, MED-5, MED-1, MED-3, MED-4. Vertex and MED-2, as to a spectrum for $500{\sim}1800cm^{-1}$ peak can show the excellent degree of polymerization in the FT-IR Test. Conclusion: The ideal weight ratio of the monomer of the acrylic denture base resin of which the mechanical property is the highestest was MMA 100g, EDGMA 5g, DMA 0.2g, of MED-2.

Dithioester 와 xanthate agent 가 매개된 RAFT 중합반응에서 Z 치환기의 변화로 인한 안정성 효과에 대한 연구

  • 백우현;신채수;신석민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5회(2016년)
    • /
    • pp.23-31
    • /
    • 2016
  • 자유 라디칼을 이용한 RAFT 중합은 성장하는 고분자 반응을 제어할 수 있는 특성이 있어 주목 받고 있는 고분자 합성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반응의 기작은 agent라 불리는 분자를 주축으로 삼아 단량체들을 단계적으로 성장하는 가역적 방법으로 원하지 않는 종결반응으로부터 고분자 라디칼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호의 근본적인 원인은 중간체 상태에서의 안정화 정도와 관련이 있으나 안정해진 만큼 반응속도가 느려지는 지연효과가 발생한다. 지연효과를 유도하는 원인은 많은 논란이 있었으며 그 중 하나로 agent에 존재하는 Z 치환기의 영향을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Z 치환기의 변화에 따른 안정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RAFT agent로 주로 이용하는 것 중 두 개의 황이 있는 dithioester와 xanthate를 WxMacMolplt 7.3.2를 이용하여 propagation 초기 단계를 구현한 후 GAMESS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양자화학적 계산을 수행하였다. 계산결과 안정화 에너지와 경계 궤도함수에서는 phenyl기가 있을 때 공명효과에 의하여 안정화가 이루어졌으며 또한 propyl benzyl에서도 늘어난 알킬 사슬의 donating effect로 인한 안정화 영향의 범위를 발견하였다. PES 기법을 통해 두 methyl 단량체를 움직이면서 반응하는 동안의 에너지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 dithioester는 Z 치환기의 변화에 더 많이 의존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종합해본 결과 phenyl을 제외한 aryl기가 있는 dithioester는 낮은 addition 퍼텐셜과 안정화 에너지를 가질 수 있을 것이고 지연효과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