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택계획지침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1초

택지개발 및 공금에 관한지침 개선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35호통권52호
    • /
    • pp.70-71
    • /
    • 1994
  • 1. 택지 58540-881(''93.11.10)의 관련임. 2. 택지개발사업의 원할한 추진을 위하여 실시계획과 동시에 수립토록 되어 있는 상세계획 수립시점을 준공전까지로 변경하고, 현장여건에 맞는 주택건설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최소한 세대수 축소조정을 개발계획변경없이 주택건설사업승인권자 판단에 의거 가능하도록 택지개발공급에관한지침을 붙임과 같이 개선함.

  • PDF

근로자주택건설시행지침

  • 건설부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1호
    • /
    • pp.27-42
    • /
    • 1991
  • 동 시행지침은 당부 주기 30417-11103(''90.5.10), 주기 30417-19652(''90.7.31) 및 주기 30417-34972(''92.12.29)로 각 시$\cdot$도에 시달한 근로자주택 건설시행계획 및 근로자주택건설시행지침과 근로자주택 입주대상자 확대 등에 대해 각 시$\cdot$도 및 관계기관, 근로자 등으로부터 여러 질의 건의가 있어 이를 변경 및 보완하고자 하는 의도로 마련된 것임. 각 시$\cdot$도 및 관계기관은 동시행지침을 숙지하여 근로자주택건설을 추진하는 데 착오없으시기 바람.

  • PDF

주택 에너지 절약을 위한 식재계획 지침 (Planting Guidelines for Home Energy Savings)

  • 조현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3-74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주택의 냉방 및 난방에너지 절약을 위한 적절한 식재계획의 지침을 제시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미국 중동부 내륙의 한 도시인 쉬카고(Chicago)의 북서쪽에 위치한 주거지였다. 쉬카고 는 온대 기후대에 속하는 도시로서, 본 연구는 한국 중부지역의 주택들에 있어서 식재를 통해 냉방 및 난방에너지를 절약하고, 또한 그 에너지 절약 으로부터 대기오염물의 배출을 저감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주택의 에너지 절약에 기여하는 주택주변 현존 식생 의 차양(Shading), 증발산 및 방풍의 효과를 모델링하였다. 식재로부터 절 약된 에너지의 총비용은 식생피도가 58.9%인 주거블럭에서 1993년 한해동 안 한 가구당 46.3달러였다. 그 중, 증발산효과가 53.7%, 방풍효과가 26.1%, 차양효과가 20.2%를 각각 차지하였다. 한편, 피도가 36.3%인 주거블럭에서 의 연간 총 에너지 절약은 가구당 8.6달러였다. 식생피도가 높은 주거지에 서 식재에 의한 에너지 절약의 효과는 더욱 증대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존 수목은 부적지에 위치되어 겨출철에 주택내로의 광선의 입자를 차단 함으로써 난방에너지의 요구를 증가시켰다(수목 한 개체당 최대 6달러). 차 양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주택건물의 남쪽가까이에서는 교목의 식재 를 가급적 회피하고, 수관이 가능한 한 넓은 교목을 주택건물의 서쪽과 동 쪽가까이에 식재하여야만 한다. 증발산과 방풍의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 건 물의 북쪽, 북동쪽 및 북서쪽에서의 고밀도 식재가 요구된다.

  • PDF

다세대주택설계계획안 현상공모 당선작 발표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11호통권200호
    • /
    • pp.71-85
    • /
    • 1985
  • 1984년 12월 31일 법률 제3766호로 건축법이 개정됨에 따라 새로운 주거유형인 다세대주택의 건축적 ‘아이디어’를 개발하여 국민주거 환경의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지침적 설계도서를 작성하여 이를 널리 보급코자 다세대주택 설계계획안 현상공모를 실시한바 지난 7월 15일부터 8월 31일 까지의 공모기간에 총 368명이 응모하여 3차에 걸친 심사결과 다음과 같이 수상자를 선정 하였기에 그 명단 및 당선작의 도면만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지속적 거주(Aging in place)를 위한 국내·외 주택설계지침의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n Domestic and Overseas Design Guidelines for Aging in place)

  • 김혜신;박수빈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9호
    • /
    • pp.19-28
    • /
    • 2019
  • Domestic and international laws and regulations on design of residential environment are adopted, revised and supplemented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access, safety and privacy in the residential space of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his study is an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Japan, USA, UK laws and regulations on environment design by literature re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materials required for development of the standard that would supports the undiscriminatory physical environment for the socially weak who are experiencing aging and disability, due to the restricted scope of entrance, bathroom and kitchen spaces with high frequency of safety accid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esign guidelines on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compared under five residential factors for aging in place: safety, accessibility, amenity, usability and privacy. (2) The guidelines of each country applied to the entrance, bathroom and kitchen space were compared. (3) The results showed present guidelines should be completed with 'safety', 'accessibility', 'amenity', 'usability' and 'privacy' for Aging in place.

소가구 증가에 대응한 공동주택지 지구단위계획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strict Unit Plan in Apartment Housing with the Increase of 1~2 person Households)

  • 윤정중;최상희
    • 지역연구
    • /
    • 제34권3호
    • /
    • pp.29-42
    • /
    • 2018
  • 우리 사회의 인구성장이 둔화되고 가구형태도 1~2인의 소가구가 53.3%로 과반을 넘고 있어 향후 이를 주거단지에서 어떻게 계획으로 수용하여 적절한 주거공간을 만들어갈지가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가구화 증가 추이에 대해 기존의 지구단위계획이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소가구화에 대응한 향후 지구단위계획의 요소별 개선방안과 적용성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6개 주거단지를 대상으로 소가구와 관련한 지구단위계획의 지침과 내용을 분석하고 문헌고찰 및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1인 가구 증가에 대응하여 다양한 주거유형의 지구단위계획상 반영이 필요한 사항들을 제안하고, 소형공동주택, 쉐어하우스, 독신자전용주거 등 1인 가구 주택특성에 맞는 가구 획지, 건축물 배치, 건축물 형태 및 외관 등과 관련한 계획요소도 제시하였다. 또한 무인택배시설, 게스트하우스 등 부대복리시설의 도입, 유치원 등 수요가 낮은 부대복리시설의 재검토 등 1인 가구 거주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계획요소와 방안들은 향후 공동주택의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과 운영기준 등을 작성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