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변화소

Search Result 19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dge Property based Color Transient Improvement Algorithm (에지 특성에 기반한 컬러 번짐 개선 알고리즘)

  • Chang, Joon-Young;Kang, Moon-G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415-41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대역 제한된 색도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컬러번짐 현상을 TV 수신단이나 MPEG 디코더에서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컬러 번짐 개선 알고리즘은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색도 신호의 천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색도 신호의 일정 윈도우 영역에 존재하는 주변 화소들의 국부 최대값 및 국부 최소값을 바탕으로 얻어낸 계단 신호를 사용한다. 대역 제한된 색도 신호에서 이웃에 존재하는 화소들간의 색도 차를 계산하여 에지 특성을 분석하고 계산된 색도 차를 바탕으로 입력 신호와 계단신호와의 공간 적응적 가중치를 결정한다. 실험 결과에서는 제안하는 컬러 번짐 개선 알고리즘이 컬러 번짐 효과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선명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영상을 얻어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Pattern Feature Detection for Camera Calibration using Circular Sample Pixel (원형 샘플 화소를 이용한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패턴 특징점 검출)

  • Shin, Dong-Won;Ho, Y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433-434
    • /
    • 2015
  •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은 다시점 카메라 시스템에서 내부와 외부 인자로 이루어진 카메라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의미 한다. 이는 3차원으로 표현되는 장면과 카메라간의 구조를 다루기 위해 중요하다. 그러나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은 사람이 직접 손으로 각 영상에서 사각형의 네 점을 정확히 찍어 주어야 하는 과정 때문에 카메라의 수와 패턴 영상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과정에서 손으로 수행하는 작업을 줄이기 위해 자동으로 패턴 특징점을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먼저 영상에서 패턴 특징점의 후보를 찾기 위해 해리스 코너 검출 방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후보 주변의 원형 샘플 화소를 이용하여 유효한 패턴 특징점을 추출한다. 실험 결과는 Matlab 캘리브레이션 툴박스를 이용하여 획득한 카메라 파라미터와 비교해 보았을 때 큰 차이가 없지만 수작업의 번거로움을 상당히 감소시켰음을 확인하였다.

  • PDF

2D Convolution Method Suitable for Hardware Architecture (하드웨어 구조에 적합한 2차원 회선처리 기법)

  • Jung, Yun-Hye;Park, Yong-Jin;Park, Jin-Hong;Byun, Hye-Ran;Han, Tack-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380-383
    • /
    • 2010
  •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에서 효과적으로 2차원 영상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법들이 이용되는데 그 중 2차원 필터링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2차원 필터링에서 회선처리는 수평과 수직 방향의 1차원 선형 필터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2차원 회선처리는 커다란 이미지 위를 커널이 움직이며 연산을 해야 하므로 연산량이 매우 많으며 메모리 접근을 많이 필요로 한다. 하지만 회선처리는 입력화소뿐 아니라 주변 화소 값까지 고려하는 지역적인 동작으로 인해 병렬화된 처리가 가능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메모리 접근을 줄이고 연산을 병렬적으로 처리함으로서 회선처리의 수행 시간을 개선하는 하드웨어 기반의 회선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360° Omnidirectional IP Camera with High Resolution of 12Million Pixels (1200만 화소의 고해상도 360° 전방위 IP 카메라 개발)

  • Lee, Hee-Yeol;Lee, Sun-Gu;Lee, Seung-Ho
    • Journal of IKEEE
    • /
    • v.21 no.3
    • /
    • pp.268-271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evelopment of high resolution $360^{\circ}$ omnidirectional IP camera with 12 million pixels. The proposed 12-megapixel high-resolution $360^{\circ}$ omnidirectional IP camera consists of a lens unit with $360^{\circ}$ omnidirectional viewing angle and a 12-megapixel high-resolution IP camera unit. The lens section of $360^{\circ}$ omnidirectional viewing angle adopts the isochronous lens design method and the catadioptric facet production method to obtain the image without peripheral distortion which is inevitably generated in the fisheye lens. The 12 megapixel high-resolution IP camera unit consists of a CMOS sensor & ISP unit, a DSP unit, and an I / O unit, and converts the image input to the camera into a digital image to perform image distortion correction, image correction and image compression And then transmits it to the NVR (Network Video Recorder).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12-megapixel high-resolution $360^{\circ}$ omnidirectional IP camera, 12.3 million pixel image efficiency, $360^{\circ}$ omnidirectional lens angle of view, and electromagnetic certification standard were measured.

Small Target Detection Using Cross Product Based on Temporal Profile in Infrared Image Sequences (적외선 영상 시퀀스에서 시간적 프로파일 기반의 외적을 사용한 소형 표적 검출)

  • Kim, Byoung-Ik;Bea, Tea-Wuk;Kim, Young-Choon;Ahn, Sang-Ho;Kim, Duk-Gy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1C
    • /
    • pp.8-16
    • /
    • 2010
  • This paper presents a new small target detection method using the cross product of the temporal pixels based on the temporal profile in infrared (IR) image sequences.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small targets and the various backgrounds are different. A new algorithm classifies target pixels and the background pixels through the hypothesis testing using the cross product of pixels on the temporal profile and predicts the temporal backgrounds based on the results. The small targets are detected by subtracting the predicted temporal background profile from the original temporal profile. For the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the proposed algorithm and the conventional algorithms,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curves is computed in experimen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s better discrimination and a lower false alarm rate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Digital Filter Algorithm based on Mask Matching for Image Restoration in AWGN Environment (AWGN 환경에서 영상복원을 위한 마스크매칭 기반의 디지털 필터 알고리즘)

  • Cheon, Bong-Won;Kim, Nam-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2
    • /
    • pp.214-220
    • /
    • 2021
  • In modern society, various digital communication equipments are being us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ccordingly, interest in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data transmission process is increas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filtering algorithm to remove AWGN generated during digital image transmission. The proposed algorithm removes noise based on mask matching to preserve information such as the boundary of an image, and uses pixel values with similar patterns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input pixel value and the surrounding pixels for output calculation. To evaluate the proposed algorithm, we simulated with existing AWGN removal algorithms, and analyzed using enlarged image and PSNR comparison. The proposed algorithm has superior AWGN removal performance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and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images with strong noise intensity of AWGN.

Digital Filter Algorithm based on Local Steering Kernel and Block Matching in AWGN Environment (AWGN 환경에서 로컬 스티어링 커널과 블록매칭에 기반한 디지털 필터 알고리즘)

  • Cheon, Bong-Won;Kim, Nam-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7
    • /
    • pp.910-916
    • /
    • 2021
  • In modern society, various digital communication equipment is being us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ccordingly, interest in removing noise generated in a data transmission process is increasing,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efficiently reconstruct an image. In this paper, we propose a filtering algorithm to remove the AWGN generated in the digital image transmission process. The proposed algorithm classifies pixels with high similarity by selecting regions with similar patterns around the input pixels according to block matching to remove the AWGN that appears strongly in the image. The selected pixel determines the estimated value by applying the weight obtained by the local steering kernel, and obtains the final output by adding or subtracting the input pixel value according to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center mask. In order to evaluate the proposed algorithm, it was simulated with existing AWGN removal algorithms,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enlarged images and PSNR.

Salt and Pepper Noise Removal using Effective Pixels and Linear Interpolation (유효화소와 선형보간법을 이용한 Salt and Pepper 잡음제거)

  • Lee, Hwa-Yeong;Kim, Nam-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7
    • /
    • pp.989-995
    • /
    • 2022
  • Currently, the demand for image processing is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activ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Since image data generates image noise due to various external causes, and thus degrades the performance of the image, noise removal is essential. Salt and Pepper noise is a representative image noise, an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remove it. Existing algorithms include A-TMF, AFMF, LIWF, but these have the disadvantage that their performance is somewhat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performs filtering using linear interpolation with effective pixels existing around the central pixel only in case of noise after performing noise judgment in order to efficiently remove salt and pepper noise. In order to judg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it was compared using the processed image of the previously studied algorithm and PSNR.

Research of the Face Extract Algorithm from Road Side Images obtained by vehicle (차량에서 획득된 도로 주변 영상에서의 얼굴 추출 방안 연구)

  • Rhee, Soo-Ahm;Kim, Tae-Jung;Kim, Mun-Gi;Yun, Duck-Ken;Sung, Jung-G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20-24
    • /
    • 2008
  • 차량에 부착된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취득된 도로 주변의 영상에 존재하는 사람의 얼굴을 추출하여 제거하는 처리를 할 경우, 사생활 침해의 문제 없이 사용자들에게 원하는 지역의 도로영상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이 실험의 목적은 차량에서 취득된 도로 주변의 칼라 영상에서 사람의 얼굴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하는데에 있다. 도로 주변의 CCD영상에서의 얼굴 추출을 위해, HSI(색상, 채도, 명도) 칼라 모델과 YCrCb 칼라 모델을 사용하여 이들 모델에 임계값을 적용하여 피부색을 검출하였으며, 두 개의 모델을 사용한 결과 효과적인 피부색의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출된 피부색 영역을 연결성과 밝기 차이를 이용하여 클러스터링을 실행하고 이렇게 나뉘어진 각각의 구역들에 구역의 면적, 구역내 존재하는 화소의 개수, 구역의 가로와 세로 비율 그리고 타원조건을 적용하여 얼굴 후보 구역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남겨진 구역을 이진화 하고, 이진화 된 영상 중 검은 부분이 5% 이상일 때 이들을 눈, 코, 입 등으로 간주하여 최종적인 얼굴로 결정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되지 않은 얼굴과 잘못 추출된 구역이 발생했으나, 얼굴에 해당하는 임계값등의 조건을 약화시킬 경우 대부분의 얼굴의 추출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지며, 추출된 구역을 흐리게 처리할 경우 오인식된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거부감도 줄일 수 있을 것 으로 예상된다.

  • PDF

An Iterative Approach to Contextual Classification of Remote Sensing Images (공간적 상관성의 반복적 결합을 이용한 원격탐사 화상 분류)

  • 박노욱;지광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9-1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 화상의 분류를 목적으로 분광정보와 공간적 상관성의 반복적 결합방법을 제안하였다. 퍼지이론을 기반으로 공간적 상관성을 분류 과정에 적용하기 위하여 초기단계에서 정의된 소속 함수에 대해서 주변영역에 대한 필터링을 적용하였고, 특정 수렴 조건을 만족하는 단계까지 반복적 결합을 수행하였다. Landsat TM 화상에 적용한 결과, 향상된 분류정확도와 분광정보만으로 분류가 애매한 화소의 공간적 분포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