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민요구

Search Result 448,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농촌민박 실태 및 경영 개선 방안연구

  • 박은식;고정숙;조록환;조영숙;황대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3.11a
    • /
    • pp.154-154
    • /
    • 2003
  • WTO 농업협상 이후 농촌지역의 새로운 소득원발굴을 위해 농촌관광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02년부터 정부의 정책적 지원하에 농촌관광사업이 전국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공급주체인 참여 농업인 및 지역주민에게는 민박운영, 체험프로그램 운영 등의 새로운 시장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다각적인 경영활동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 정책사업 또는 자생적으로 농촌민박 경영에 참여하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민박 경영활동이 적절한 수익모델을 갖추고 지속가능한 구조로 정착될 수 있도록 농촌민박의 실태를 분석하여 정책적 지원과 관리운영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태조사는 “02년도의 정책사업 시범마을 10개 마을과 일반 민박마을 12개 마을 계 22개 마을을 선정하여, 해당마을의 민박농가, 내방객, 지역주민을 각각 4∼5명 계 312명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 PDF

Transport Project Apprasal using Multiple 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 , AHP (다판단기준분석방법을 이용한 교통투자사업 대안 평가)

  • 이상민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9.03a
    • /
    • pp.55-73
    • /
    • 1999
  • 지금까지의 교통사업 평가 및 대안선정을 위한 평가 방법은 주고 경제성 평가에 치중하여 왔다. 또한 정부 및 공급자 외에 지역주민이나 이용자 등의 의견은 공청회등을 통한 의견 수렴을 제의하고는 계획 및 평가단계에서의 참여는 제도적으로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적지 않은 수의 교통계획 및 대안 선정 사업들이 제반 평가요인에 대한 불충분한 고려와 또한 지역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취소 또는 재고되고 있다. 따라서 교통 계획 및 평가 단계에서의 관련 의사결정자의 제도적 참여를 가능케 하고 사업과 관련된 제반 평가 요인을 평가틀 내에서 고려할 수 있는 다 판단 기준분석 평가방법 (Multiple 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s: MCDM)이 대두, 요구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제 방법 중 순위 선정 및 제반 평가요인의 고려에 장점을 가지고 있는 계층 분석법을 이용하여 교통사업의 대안선정에 있어 최적노선을 평가 선정하고자 한다. 본 사례를 통하여 다판단 기준 분석 평가방법의 도입 필요성 및 교통사업평가에의 유용성 및 적용성을 제시하고자한다.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onsideration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Housing (공동주택단지 내 주민교육시설의 건축적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 Ahn, Kyung-Hwan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1 no.2
    • /
    • pp.9-18
    • /
    • 2012
  • The trend toward more welfare living because of more leisure time has influenced the popularity of the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housing. According to the residents' increasing interests for well-being life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of the community facilities have been required in these day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se required changes and developments by analyzing the resident's using behavior of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housing focusing on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intends to examine the existing conditions and problems of educational and cultural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housing and to analyze the residents' using patterns such as frequency, preference and satisfaction and to comprehend the additional needs and requirements of the residents.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this research can be a basic data for the architects to design a resident-oriented educational and cultural community facilities.

농촌주민의 사회단체 참여와 농촌역할에 대한 인식

  • 조영숙;이한기;박은식;고정숙;조록환;황대용;강경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229-239
    • /
    • 2004
  • 1990년 중반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녹색농촌체험마을(농림부), 아름마을다꾸기(행자부), 새농어촌건설사업(강원도) 등 중앙부처 혹은 지방정부의 주도로 다원적 농촌발전과 주민참여를 중시하는 새로운 시범사업들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60∼70년대 산업화ㆍ공업화 위주의 정책으로 인해 농촌의 청ㆍ장년층이 도시부문으로 유입되었고, 80년대 이후 농촌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변화되었고, 농촌지역의 인구사회학적 구성의 변화로 농업ㆍ농촌의 신규 인력 대체가 어려워지면서 2000년 농촌인구 중 여성인구 50.2%, 65세 이상 노인인구 14.7%를 차지하는 즉 도시 노인 인구의 2.7배나 되는 인구구조를 이루게 되었다.(중략)

  • PDF

농촌주민의 사회단체 참여와 농촌역할에 대한 인식

  • 조영숙;이한기;박은식;고정숙;조록환;황대용;강경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99-116
    • /
    • 2004
  • 1990년 중반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녹색농촌체험마을(농림부), 아름마을가꾸기(행자부), 새농어촌건설사업(강원도) 등 중앙부처 혹은 지방정부의 주도로 다원적 농촌발전과 주민참여를 중시하는 새로운 시범사업들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60-70년대 산업화ㆍ공업화 위주의 정책으로 인해 농촌의 청장년층이 도시부문으로 유입되었고, 80년대 이후 농촌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변화되었고, 농촌지역의 인구사회학적 구성의 변화로 농업ㆍ농촌의 신규 인력 대체가 어려워지면서 2000년 농촌인구 중 여성인구 50.2%, 65세 이상 노인인구 14.7%를 차지하는 즉 도시 노인인구의 2.7배나 되는 인구구조를 이루게 되었다. (중략)

  • PDF

The strengthening of democratic control over the authority of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 the Corona era

  • Park, Jong-Ryeol;Noe, Sang-Ou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6
    • /
    • pp.145-154
    • /
    • 2021
  • While welcoming the distributing of the power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being promoted, to the city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 am very concerned that this will expand and amplify the powers concentrated in one central institution to 17 local institutions closer to the field. Until now,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Office of Education have served as co-cause providers as important reasons for hindering school education. The transfer of the authorit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highly likely to be deformed as soon as it results in the quantitative reduction of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existing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city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In the reality that no legal device for school autonomy has been established, it is highly likely that emphasizing the principle of school autonomy in our educational climate, which is deeply rooted in the vertical bureaucratic administrative culture, will end with a simple measure or stop at the level of imitation. Therefore, a more stable device is needed to check the authority of the city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to take over the authorit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is is also a system that is still required even when school autonomy becomes leg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the independent education committee, establish a local education committee in the city and province education office, and activate the resident participation system (resident proposal system, resident voting system, resident litigation system, resident audit request system).

A Study on How Urban Gardening Affect Citizens' Quality of Life and Social Capital in Deteriorated Neighborhood - Focus on the Residential Complex in Gojan 1-Dong, An San City - (노후 근린생활권 정원 활동이 지역 주민의 삶의 만족과 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경기도 안산시 고잔1동 연립주택단지를 대상으로 -)

  • Park, Ji-eun;Sung, Jong-Sang;Son, Y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1 no.1
    • /
    • pp.56-71
    • /
    • 2023
  • Citizens' needs for urban green spaces are on the rise due to improved quality of life and increased interest in environments. The garden is noteworthy because it is small in size, making it less controversial to create in the city, and it is adjacent to the residential area, improving citizens' daily environment. Moreover, recently gardens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tool for urban regeneration, such as being created in declining areas as part of a government project. Therefore, it is time to study the role and value of urban gardens in deteriorated areas in terms of space welfare.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hat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ffects of gardens, and many prior studies are limited to focusing the green space larger than a certain size (e.g., parks and forest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garden and gardening quantitatively, paying attention to social aspects such as life satisfaction and community of inhabitant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n old row housing complex in Gojan1-dong, Ansan-si, Gyeonggi-do. In there, some of the dwellers voluntarily created outdoor gardens and engaged in gardening for a long time. In addition, after the 2017 Gyeonggi-do Garden Fair, several gardens have been maintained and used by residents there. For the first step, the field trip was done to research the status of the garden in the area, and then, a survey was conducted on whether or not gardening has an impac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community of resident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test and ANOVA. As a result, residents who are engaged in gardening are more active in the "neighborhood exchange" and "resident participation" than those who are not engaged in gardening. In addition, if residents voluntarily create a garde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life" is higher than those staying in the garden which is constructed by the government. And a resident who is gardening in the complex shows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who garden outside of the complex.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garden has positive effects promoting "exchanges with neighbors",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and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It shows that it is important to ensure the right of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garden-making process as much as possible, and the garden's location should be paid attention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 of gardens.

A Study on Awareness Difference of Local Residents and Public Officials to River Projects (하천사업에 대한 일반인 및 공무원 인식차이 조사에 관한 연구)

  • Kang, Hyeongsik;Kim, Minseon;Cho, Sungchu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4
    • /
    • pp.1161-1170
    • /
    • 2014
  • This study aims to analyze civil society consciousness to river projects,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resident participation, and suggest development directions for river policy.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200 local residents and 100 public officials living and working in the river project areas. The result demonstrates the necessity of formulating river policy in a way that recognizes voices of various policy stakeholders, strengthens partnership among resident groups, and promotes a trend shift in river restoration to reflect residents' consciousness.

A study about Expert's Opinions for Establishing the Korean Disaster Prevention Village (한국형 방재마을 구축을 위한 전문가 의식조사 연구)

  • Lee, Ji-Hyang;Shin, Ki-Beom;Shin, Ho-Joon;Back, Min-Ho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13-113
    • /
    • 2011
  • 방재마을만들기는 지역방재개념을 도입하여 마을단위에서 자치단체와 주민들의 참여를 통해 지역자율 방재의식을 고취시키고, 마을에 조성되어 있는 환경적 영향을 고려하여 재해로 인한 취약요인을 조사하고 취약요인이 유사/인접되어 있는 마을을 대상으로 취약요인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재해예방사업의 추진이 필요하다. 방재시범마을만들기 구축사업의 계획범위는 동/리 행정구역 단위로 실질적인 생활권 단위로, 생활권 단위에서의 방재관련 사업의 패키지화를 통하여 지역의 자주적 방재역량이 향상되도록 하는 사업으로 현재 방재시범마을은 조성/운영중에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역방재 실무 담당자, 대학교수, 연구원 등 전문가를 대상으로 의식조사를 실시하여 현 실태조사를 토대로 한국형 방재마을 구축 방안에 대해 도출하고자 한다. 전문가 설문결과 현 지역의 방재대책은 전반적으로 미미하며, 구조적인 부분과 비구조적인 부분 모두 보강되어야함을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지역주민의 방재에 대한 관심부분은 상당히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방재마을이라는 사업의 이미지는 대부분의 응답자가 재해위험지구의 정비사업 혹은 지역단위의 종합적 방재대책이라는 의견이 다수였으며, 방재마을 전반에 대한 의견으로는 지자체의 추진의지, 방재마을관련 법 제도 정비, 사업예산의 지속적인 확보, 방재마을 홍보 및 주민참여 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의견이 있었다. 이러한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지자체의 추진의지가 어느 정도냐에 따라 사업의 형태를 갖추고 성공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사업이 추진될 수 있는 방안 및 사업의 안정적 확보방안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한국형 방재마을 조성을 위해서는 주민참여가 바탕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방재마을 사업을 시민들의 풀뿌리 방재활동과 연계하여 추진하는 것도 요구된다.

  • PDF

An Analysis of Reading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공공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운영 실태 분석 연구)

  • Lee, Jongmoo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7 no.2
    • /
    • pp.81-94
    • /
    • 2016
  •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in reading program of public libraries and provides some suggestions for the program development and management. For this analysis, I sampled and examined 350 news articles to reading programs done in the public libraries between 2013 and 2015. The result shows that 41.4% of the collected articles were the news about the reading programs in Seoul Metropolitan areas. While the articles about simple reading programs occupied 69.9%, the mixed activity programs reached a significant amount in total. In addition, 51.3% of program participants was under the elementary children and their parents, but only 9.0% program participants came from low socioeconomic status classes. 86 reading programs (28.4%) were designed for one-day events without a long-term policy. Based on such analyses, this study provides three suggestions: utilizing public relation teams and communicating mass media to advertize reading programs to local residents, developing systematic reading programs in users' needs, managing the reading programs for all kinds of local resi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