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거지원서비스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45초

저출산 대응 공공서비스 관점에서 본 「토론토 출산지원센터」 현지조사연구 (A Field Study of 「Toronto Birth Centre」 in the Perspective of a Public Service Strategy Coping with Low Birth-rate)

  • 이연숙;박지영;김현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31-41
    • /
    • 2015
  • Korea has shown the lowest birth rate among OECD countries for over 10 years. This caused various social tensions and problems including negative impacts on national economy. To deal with these problems and to cope with future risk, diverse strategies must be actively explor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lineate the characteristics of Toronto Birth Centre in Canada which was established currently to support families. Field visit study was the major methodology which includes interview with a staff and walk-through guided observation accompanied by visual recording. As a result, the specific functions and the logic of utilizing the center along with its spatial characteristics were delineated. The result has significant implication in developing coping strategies to release the social tension. The birth center can be an efficient strategy to include as a public strategy to Korean Society who has suffered from long lasting lowest birth rate.

비주거 한옥의 제도적 지원 필요성을 결정하는 가치요인 분석 (An Analysis of Decision Factor about the Necessary for Governmental Support of non-Residential Han-ok)

  • 남상덕;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876-4883
    • /
    • 2013
  • 본 연구는 한옥보전 구역 내에서 비주거용 한옥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비주거한옥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근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주거한옥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비주거한옥의 가치를 평가하였다. 분석에는 로지스틱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비주거한옥에 대한 제도적 지원 필요성에 동의하는 경우 어떠한 가치요인을 중요하게 판단하였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거환경이 열악한 한옥의 활용, 한옥 외관상 가치, 지역의 생활복지 서비스 제공, 관광객 수용, 상업공간 제공, 역사성 부족, 한옥에 대한 개방성 강화 등의 7개의 요인이 비주거한옥에 대한 제도적 지원 필요성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재연구 - 재해구호의 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서정표;조원철;김계조;박종윤
    • 방재저널
    • /
    • 제15권2호
    • /
    • pp.109-123
    • /
    • 2013
  • 우리나라의 재해구호 행정은 "재해구호법"에 의거 자연재해로 인한 이재민 구호 위주로 되어있다. 따라서, 저출산 고령화, 다문화, 기후변화 등 사회 경제 환경적 변화와 함께 신종 복합재난의 빈발할 가능성이 상존해 있으므로 모든 재해에 대처할 통합구호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고령자, 외국인수의 증가로 인해 재해약자를 배려할 법 제도적인 정비는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그리고 구호금과 관련 재난지원금의 신속한 지원을 위한 제도상의 문제점, 재해구호기금과 재해의연금 활성화 등 재해구호재원과 관련된 해결해야 할 과제, 재해구호세트 중심의 경직된 재해구호물자 관리, 임시주거시설의 문제점, 구호교육 훈련 부족, 구호전문가 양성 소홀과 연구개발(R&D)의 저조, 자원봉사 활동의 문제와 관련된 재해구호 운영상의 한계 등으로 인해 구호서비스의 발전전략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재해구호서비스 증진을 위한 법과 제도, 구호재원과 구호물자, 그리고 구호운영 실태 등을 조사 분석하고 문제를 도출하여 구호업무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청소년의 거리생활 경험과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Youth's Street Life Experience and Multifaceted Support Policy)

  • 김웅수;배성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417-426
    • /
    • 2019
  • 본 연구는 가출 후 청소년의 거리생활 경험에 관하여 조사하고, 거리생활로 인한 범죄의 영향력 등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융복합적 지원정책에 대해서 탐색하였다. 본 연구조사는 청소년쉼터 이용청소년과 아웃리치 사업에서 만난 거리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59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가출 연령과 거리생활 연령을 비교해 볼 때에 가출 후에 적절한 서비스를 통한 개입과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에 가출청소년은 거리생활로 이어질 수 있다. 둘째, 거리청소년에 대한 정책은 청소년쉼터에 찾아온 아이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지원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청소년 지원 정책이 청소년 삶의 현장을 찾아가는 서비스와 욕구를 기반으로 문제해결을 돕는 융복합적 정책의 필요하다. 셋째, 거리생활 후에 비행행동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거리청소년은 거리생활을 위해서는 비행에 가담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마지막으로 거리생활 청소년은 생활비, 주거시설, 일자리 소개, 취업기술 훈련 등의 자립지원에 관한 서비스 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거리생활 경험 청소년의 개입은 주거, 노동, 교육, 복지 등의 융복합적 지원이 필요하다.

최근 지원주택 연구의 흐름과 특성 - 의료복지 데이터베이스의 2009-2016년 국제학술지를 중심으로 - (Recent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Supportive Housing Research - Focused on 2009-2016 International Research Articles of Medical Service Database -)

  • 박재현;이연숙;안소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1-12
    • /
    • 2017
  • In modern society, diverse vulnerable population, such as homeless, disabled, elderly and so on, have been prominently appeared with polarization of wealth because of radial biased economic development and urban sprawl. Housing acquisition is a difficult problem for the venerable population to get, so appropriate alternatives should be explored. In USA, under the 'Housing First' principle, supportive housing has been developed as a main alternative. Sharing this alternative experience is very valuable to promote future development including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neate the trend of supportive housing research. This research is conducted by content analysis technique, and data were recent 29 research articles dealing supportive housing, collected from medical service data base where supportive housing research has started and diffused. As results, overall trends and characteristics appeared that the main research field was Psychiatry/Psychology, and mostly, they were correlational research. Mainly, resident type was mentally ill, and the principal research method was secondary data analysis. In general, all the service programs were mostly essential, and the number of congregate housing type appeared dominantly. The modern supportive housing is a social intervention to cope with instability of future housing welfare.

미국 뉴욕시 서포티브주택 '더 크리스토퍼' 현장분석 연구 (A Field Study of Supportive Housing 'The Christopher' in New York, USA)

  • 이연숙;박재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19-30
    • /
    • 2015
  • As the number of homeless is increasing, there have been worries for social burden and social insecurity, along with crisis in human dign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a Supportive Housing (SH) project which is considered best practice in dealing with homeless problem. A field visit walk through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was utiliz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 As results, overall management, spatial and service characteristics were delineated, and its meaning and uniqueness were discussed, as well as, comparison with Korean conditions.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portive Housing were more realistically revealed through a current field case to inspire to explore housing for Korea. Besides current concerns were linked and implication to Korean adaptation was suggested. This study is unique in that SH of USA is firstly introduced in such details.

한국인의 세대별 복지태도지형 탐색 연구 (A Exploratory Study on Topography of The Welfare Attitudes among Korean People by Generation)

  • 김신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189-193
    • /
    • 2021
  • 이 연구는 한국인의 세대별 복지태도 지형에 대한 탐색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현재를 살아가는 한국인이 가지는 복지에 대한 태도 측면이 세대에 의해 어떻게 분화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묘사하는 데 집중하고자 한다. 분산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복지지출 확대에 대한지지', '사회서비스 대상(보편 vs 선별)', '교육지출 확대', '주거지원 확대', '양육 및 보육 지원', '청년사회활동지원', '실업 및 고용지원'에서 세대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비교(post hoc comparison)분석에 따르면, 모든 변수들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20-30대'와 '60대 이상' 집단 간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일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문제 해결의 1순위'의 경우 '20-30대'는 '양육 및 보육', '실업문제', 주거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으며, '60세 이상' 세대는 '빈곤문제'와 '노후생활문제', 그리고 '장애인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문제 해결의 2순위'의 경우, '20-30대'는 '양육 및 보육',과 '주거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으며, '40-50대'는 '빈곤문제'와 '노후생활문제', '60세 이상' 세대는 '건강 및 의료문제' 및 '장애인문제'와 근접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 지역에 독립 거주 중인 미혼 청년 가구의 월세 부담 및 거주성 비교 분석 (Incongruence Between Housing Affordabilit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of Young Renters Living Independently in Non-Seoul Metropolitan Area)

  • 이현정;남상준
    • 토지주택연구
    • /
    • 제15권1호
    • /
    • pp.1-22
    • /
    • 2024
  • 본 연구는 독립된 주거생활을 영위하는 비수도권 지역의 청년(19-34세) 월세 가구를 대상으로 거주지 2곳으로 나뉘어 거주실태와 주거소비수준을 비교하였다. 조사대상 주거 독립 청년은 대체로 20대 중반의 대졸 이상 고학력 임금근로자로 1인 가구였고, 특・광역시에 거주하는 청년 가구 중 고학력자가 많은 반면 비특・광역시에서 임금근로 자가 많았다. 청년 가구는 원룸형의 아파트가 아닌 주택에 2년 미만 거주해 오는 무부채 가구로 주거복지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았다. 극소수만 이용 중인 주거복지서비스는 주로 공공임대주택과 주거복지 상담 및 정보 이용 서비스에 편향되었다. 또한 지역 주택시장의 차이로 비특・광역시보다 특・광역시 가구가 2배 더 많은 보증금과 약간 더 높은 임대료를 부담하였다. 주거비 지표 중 슈바베지수와 소득대비주거비에서 두 지역 모두 기준선(25%) 이상의 과부담 가구가 다수였고, RIR 30% 이상인 주거빈곤층도 상당수였다. 주거비 지표의 영향 변인으로 소득 증가와 주거 복지서비스 이용이 슈바베지수와 소득대비주거비를 감소시켰고, 추가로 비특・광역시에서 주택만족도를 증가시켰다. 한편 거주환경의 세부 요소들은 생활환경과 편의시설 요인으로 대별되었고, 생활환경 요인 중 치안 및 방범 상태, 주변 도로의 보행 안전, 대기오염 정도, 이웃과의 관계 4가지 요소만 지역 간 차이를 보여 특・광역시보다 비특・광역시에서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아울러 거주환경 지표로 주택 및 전체 주거환경 만족도는 생활환경과 편의시설에 만족할수록 상승하였으며, 공통 설명 변인으로 주택 만족도에서 주택규모와 노후주택 거주, 전체 주거환경에서 주택만족도가 추가되었다. 이처럼 주거 독립한 비수도권 청년에게 주거사다리의 첫 진입 단계인 월세 거주는 주거비 부담을 현저히 키우므로 이를 경감시키는 지원과 함께 생활환경과 편의시설을 개선하는 거주성 확보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실시간 객체 기반 정보가전들의 그룹 관리 모델 (Group Management Model of Information Appliances based on Real-Time Object)

  • 장재호;임정택;신창선;김남균;주수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03-130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킹을 통해 서비스를 수행하는 정보가전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하여, 가정 내에 산재한 정보가전들의 관리의 효율성 및 기기들의 확장성과 분산 투명성을 제공할 수 있는 그룹 관리 모델을 제안한다. 정보가전들의 그룹핑이 필요한 이유는 정보가전 기기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하고, 향후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는 기기들의 정보를 관리하여 다양한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적합한 정보가전들의 수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객체인 TMO(Time-triggered Message-triggered Object) 스키마를 기반으로 정보가전들을 구현하며, 이를 분산 객체그룹(Distributed Object Group)에 적용하여 분산 객체 관리 서비스와 실시간 서비스를 지원받도록 한다.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그룹 서비스를 통해 가정 내 주거 환경을 유지하는 정보가전들의 수행성을 시뮬레이션하여, 본 그룹 모델이 지원하는 서비스를 통한 정보가전들의 동작과 상호작용의 정확성을 검증한다.

  • PDF

미국의 노인을 위한 주거대안과 서비스의 특성을 통해 본 한국의 노인주거 정책에 대한 제안 (Suggestion on Senior Housing Policy with Consideration of the Features of Service and Housing Alternatives for the Senior of the U.S.A.)

  • 곽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6호
    • /
    • pp.81-95
    • /
    • 2003
  • While Korean traditional culture considers it necessary that children support their parents, a new trend of silver support is expanding by the recent social change, the increase of women's working, and the reluctance to support the old people. However, the number of silver welfare facilities in Korea is short for the demand with limited selections of them. Based on the situation, the following results of the study what kind of policies Korea service for the old people in the USA where early stepped into the aging society: 1. provide specific and proper social-supporting service and facilities with charge or free for the old people to be able to select one of them, according to economic, physical and psychological situation of the old people; rather to prepare service and facilities for all the old people. 2. increasing community service support for the home-staying old people 3. the development of support program for the family of the old 4. the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for the home-staying senior 5. prepare the housing alternatives for the senior would be home-lik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