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거생활

Search Result 1,00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the Elderly Housing in Korea : In Reference to the Comparison of Research Trends Among Korea , Japan and the U.S.A. (한국의 노인주거연구의 경향 - 한국과 일본, 미국의 연구 경향 비교를 중심으로 -)

  • 최정신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7 no.2
    • /
    • pp.45-56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장래에 이루어질 노인주거연구의 주제를 예측할 수 있도록 일본, 미국, 한국의 노인주거연구의 경향의 차이를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세나라에서 1940년대부터 1990년대 현대까지 발표된 노인주거연구에 대한 학술지와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세 나라에서 전체 772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이를 발표된 연도와 주제에 따라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일본과 미국의 연구 경향의 특징을 별도로 발표한 후속 연구이다. 일본에서는 1950년대에 노인주거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어 80년대 후반에 절정을 이루었으며, 그 이후로 서서히 관심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일본에서의 주요 주제는 노인홈과 노인시설내의 주 생활조사, 3대 동거 주택, 유료노인홈과 노인시설의 소비자 문제등이다. 미국의 경우, 노인주거의 연구는 일본보다 빠른 1940년대에 시작되어 70년대와 80년대에 걸쳐서 다른 때보다 더 많은 연구가 발표되었다. 주요주제는 1970년대부터 80년대에는 노인주거와 노인시설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80년대 이후에 노인주거의 연구방법과 노인주택정책방향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다. 한국에서의 노인주거에 대한 연구는 세나라 중에서 가장 늦은, 197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80년대 후반 이래로 그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한국에서 가장 관심이 있는 연구대상의 하나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기혼자녀와 노부모와의 동거주택에 대한 주제이다. 이상 세나라의 연구주제에서의 차이점은, 한국과 일본에서는 모두 노인주거와 연구방법 분야에는 비교적 관심이 적은 반면, 미국에서는 3대동거주택에 대한 관심이 적은 것이다. 일본과 미국 두나라에 비하여 한국에서는 노인주거 연구에 있어서 아직까지 다양한 주제를 발견하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한국에서는 노인주거에 대한 구체적인 개발이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아서 노인주거에 대한 경험도 많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앞으로 한국에서도 노인주거가 개발된다면 그 후에는 보다 다양한 연구주제가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된다. 예를 들면 노인거주시설의 질적인 비교, 특수한 형태의 노인주거에 대한 요구, 노인주거내의 주생활조사나 평가, 노인을 위한 설비의 디자인 등에 관한 연구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PDF

Conflicts and Compromises due to Legal Limitations among the Residents of Folk Villages With a focus on the residents of old houses in Y village of K (민속마을 거주자의 법적 제약으로 인한 충돌과 절충 K지역의 Y마을 고가옥 거주자를 중심으로)

  • Son, Dae Wo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2 no.4
    • /
    • pp.74-95
    • /
    • 2009
  • Folk villages have higher historic and cultural values than other villages and contain considerably many traditional elements today. In Korea, there are seven folk villages that are under the protection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Unlike other kinds of tangible cultural assets individually appointed according to the act, those folk villages are protected by the act in entirety including the houses and auxiliary structures inhabited and used by the villagers. Since the act covers the entire villages, the residents are not allowed to repair or renovate their structures and accordingly suffer from huge limitations in everyday life with housing life under the biggest restrictions. Being appointed as a folk village is positive from the perspective of preserving the village. However, it is negative to the villagers because of the limitations to their housing lives. While common people lead a convenient life by the introduction of high technologies in modern society, they do not get to benefit from such technologies for the cause of preserving the traditional culture. Upon the appointment, they are subject to all sorts of building regulations and under hug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those regulations across many different aspects of life including housing life. Thus the residents of folk villages do have many complaints about the act. It is only natural that there occur conflicts between the state, which tries to preserve the traditional culture according to the act, and the residents, who pursue convenience in life. At the same time, it is natural too that the residents have the desire to pursue convenience in daily life. Thus they renovate their houses illegally. The government agencies are aware of that, however, it is not right for them to enforce the act and restrict their daily lives. Their tacit approval of such illegal renovations is the product of compromises between the residents' right to their private property and the state's policies of cultural asset protection. The residents try to renovate their houses within the limit that will not call for legal restrictions from the government agencies. The government allows for renovations as long as they are within the minimum limit. It is the result of efforts for the state and the residents to stitch up and compromise their own complaints.

주상복합 시스템 도입한 아파트로 차별화

  • Kim, So-Jin
    • 주택과사람들
    • /
    • s.205
    • /
    • pp.62-65
    • /
    • 2007
  • 사업부지 내의 조경, 녹지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고층으로 건축하면 쾌적한 친환경 주거지를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상복합 건축공법을 적용하고 각종 부대시설과 철저한 보안 시스템, 첨단 설비가 결합된다면 이상적인 아파트 주거 공간이 탄생한다. 편의성과 고급화, 첨단화를 지향하고 주거생활의 편리성을 극대화한 주상복합형 아파트에 대해 알아본다.

  • PDF

농촌생활지표에 관한 조사 연구 - 교육 및 교양부문을 중심으로 -

  • 조영숙;이한기;박은식;고정숙;조록환;황대용;강경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0-161
    • /
    • 2003
  • 농촌생활 전반에 대한 생활수준 진단과 농촌주민들의 의식과 욕구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미래 농촌생활의 모습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종합적인 지표 및 표준화된 실태에 관한 통계자료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 생산되고 있는 공식통계 중 농촌생활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는 자료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농촌생활연구소에서는 1994년 농촌생활지표를 인구 및 사회, 식생활, 건강생활, 주거 및 환경, 가정경제, 교육 및 교양, 여가생활, 가족생활 등 8개 부문을 기본틀로 하여 1994년, 1999년 두 차례에 걸쳐 $\boxDr$농촌생활지표$\boxUl$ 집을 발간한 바 있고, 2000년부터는 이들 지표 중 기존 통계자료 이용이 불가능한 82종의 지표항목에 대해 3년 주기로 직접조사를 통해서 자료를 생산하게 되었다. 여기서는 2002년에 조사한 주거 및 환경. 가정경제, 교육 및 교양부문 중, 교육 및 교양부문의 조사결과를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Luminous Environment for Standard Illuminance in Residential Areas (주거공간의 실내공간별 조도기준을 위한 빛환경 연구)

  • Lee, Jung-Eun;Choi, An-Seop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9 no.3
    • /
    • pp.1-9
    • /
    • 2005
  • Light is an important environmental element for people to live and do creative activities in residential areas. Especially, people are used to live under artificial light in artificial interior surroundings for the most times. Currently, the lighting quality of residential areas has been improved, but it still does not reach to the recommended level because the luminous environment of present residential areas is only based on the life behavior which puts its priority to clear vi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proper standard illumination must be used for various uses and purpose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ssence of light in residential areas, and the luminous environment for apartments was measured This paper finally established well-coordinated standard illuminance, derived from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luminous environment from these cases.

김해시 동지역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지역별 시간에 따른 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 Bong, Sang-Hun;Park, Heung-Jae;Jeong, Seong-Uk;Kim, Seo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500-50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김해시 동지역을 중심으로 생활형태별로 상업지역, 주거지역, 도로지역, 공단지역으로 구분하여 Tenax TA로 3시간 간격으로 포집하여 일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를 GC/MS를 이용하여 정량분석하여 생활형태별 일간 농도변화를 관측하였다. 생활형태별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는 도로지역, 공단지역, 상업지역, 주거지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에 따른 농도 변화는 오존전구 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반응이 빠른 낮시간보다 밤시간에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 PDF

Single-Person Household Needs with a Focus on Interior Planning (실내계획측면에서의 1인 가구 주거요구 분석 연구)

  • Choi, Han Hee;Kim, Mi Jeong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24 no.6
    • /
    • pp.163-170
    • /
    • 2015
  • 우리나라 1인 가구는 대부분 다인가구로의 전환 이전에 잠시 거치는 거주형태로 인식되어 불안정한 상황이다. 그러나 오늘날 만혼, 비혼 등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와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가족의 형태가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거주형태도 다인가족 중심에서 1인 또는 2인 등 소단위로 분화되면서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다인 가구에 중심으로 형성된 기존의 주거시장에서는 이러한 급속도의 변화를 수용할 수 없어 여전히 소형 주거는 많은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하는 열악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현 사회현상에 주목하고 1인 가구를 위한 주거 계획 시 실내환경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1인가구의 생활유형과 실내공간에서의 요구 사항들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을 구성하였으며 실제 1인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결과, 현재 1인가구들이 거주하는 소형주거에서는 식사공간, 수납공간 등이 미비하여 공간 만족도가 매우 낮게 나타나는 등 무계획적 원룸형태 공급으로 인한 문제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단순히 숙식을 위한 물리적 공간 공급이 아니라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계획적 평면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공간이라는 하드웨어와 1인 주거 간의 커뮤니티 활성화, 고령사회를 반영하여 다양한 연령대 1인 주거를 위한 사회화 프로그램 개발 등 소프트웨어 적 고려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물리적, 심리적 전환기에 있는 우리나라 주택시장의 새로운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