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거모델

Search Result 32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Meaning, Typology, and Characteristics of a Home in the Metaverse (메타버스에서 나타나는 주거의 의미, 유형 및 특성 연구)

  • Rhee, Jee Heon;Cha, Seung Hyu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3 no.4
    • /
    • pp.91-103
    • /
    • 2022
  • Home has significant meaning in the real world. In contrast, there's a lack of interest in homes in the Metaverse compared to other architectural spaces.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a home in the Metaverse based on meaning, typology, and characteristics of real-world homes. For this purpose, previous research and existing models of real- world homes were analyzed and case studies and a survey were conducted of homes in the Metavers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 model of home in the Metaverse is proposed based on physical, social, and personal models. Modifying one's dwelling, a refuge from the outside world, and self-expression/personalized space was also identified as the most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a home in the Metaver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future Metaverse virtual worl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etaverse service platforms.

A MODEL OF RESIDENTAL MOBILITY OVER FAMILY LIFESPAN ACCORDING TO SOCIOECONOMIC CLASSES

  • HyejungKim
    • Proceeding of Spring/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 /
    • 1993.09a
    • /
    • pp.21-27
    • /
    • 1993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인 각 가구의 주거 서어비스에 대한 다양한 수요가 나타난 주거 이동 주기를 규명하므로 수요자의 다양성에 의한 주택공급 정책의 접근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체계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틀을 형성하여 국토개발 연구원의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서울의 1620가구를 대상으로 하였고 SPSS와 LIMDEP을 이용하여 기초분석외의 판별분석, 로짓분석등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계층과 가족 생활 주기에 따라 주거 이동 동기와 주거 이동 형태가 달랐다. 하류계층은 강요된 이동동기가 많았고 수평 또는 하향 이동의 형태로 이동하였다. 중류 계층은 조정적 이동동기가 많았고 다른 계층에 비해 상향 이동이 많았다. 상류계층은 다양한 이동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주거 시설 수준 면에서 상향이동을 하였다. 주거이동주기 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모델이 개발되었고, 모델에 의해 사회계층에 따라 상이한 유형이 나타났으므로 수요자의 다양성에 의한 주택 공급 정책이 필요함을 제시사해준다.

  • PDF

A Study on Rural Housing and Housing Environment (농촌주택의 분석 및 농촌 주거 현황 연구)

  • Kim, Jin-Hy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11a
    • /
    • pp.422-42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1960년대 이후 농촌의 주거 환경을 농가 인구와 연령 비율 그리고 경지 면적의 변화를 조사하여 이와 함께 농촌 주택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문헌 조사를 통해 분석해 보았다. 농촌의 주거 요구는 도시의 그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농촌의 현실에 맞는 주거 모델은 아직 부족한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rend Analysis of Housing Design in the Model House (최근 모델하우스에 나타난 주거디자인 경향분석;판교 신도시 모델하우스를 중심으로)

  • Baek, Hye-Young;Kim, Kook-Sun
    • Proceeding of Spring/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 /
    • 2006.11a
    • /
    • pp.480-48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odel houses that have recently opened in Pangyone ara. Site visit and content analysis were adopted in this study. and the studied model houses developed by nine housing were of particular interest. The major findings indicated that convenience and safety through high tech-related features, environmentally friendly features in response to the growing attention of consumers to indoor air quality, aesthetic building facade and its various floor plan, and a wide range of consumers choice for interior finishes and materials. The new trends provides a flexible wall which makes it possible to manipulate the number of rooms according to the family preference.

  • PDF

Preferences and norms for multi-family dwellings of Korean households (집합주거 선호 및 규범에 관한 연구)

  • SeHwaYang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6 no.2
    • /
    • pp.21-31
    • /
    • 1995
  • 주택부족 문제의 효율적 해결방안의 하나로 보급되기 시작한 아파트는 다양한 문제의 표출에도 불구하고 '좁은 땅에 많은 주택 공급'이라는 한국 현실에 가장 적합한 주거유형으로 정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아파트를 비롯한 여러 유형의 집합주거가 어떤 계층의 가족에 의해 선호되고, 나아가 이상적인 주거유형 규범으로 인식되고 있는지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모델에 포함된 변인중 가장의 연령과 학력은 현재 거주하는 주거유형 및 집합주거 선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집합주거에 거주하는 가정일수록 높은 집합주거 선호를 보였다. 집합주거 규범에 관한 분석에서는 집합주거 선호 변인만 유의적인 영향을 주어, 집합주거를 선호하는 가정일수록 이를 한국 사회의 주거유형규범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Role of Community in Supply System of Housing Welfare Service (주거복지 전달체계에서 커뮤니티의 역할에 대한 탐색적 연구)

  • Park, Keun-Suk;Joo, Kwan-Soo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7 no.2
    • /
    • pp.103-111
    • /
    • 2016
  • The paradigm of the housing policy has been transformed from housing supply to housing welfare, from the policy of housing quantity expansion to the policy of customized housing welfare. The Housing Act was newly enacted to realize the new paradigm of the housing policy. The Act establishes the role of the Housing Welfare Centers in the housing welfare delivery system, but they have some difficulties in doing their role because of limited amount of centers and their manpower. The desirable and efficient model of housing welfare delivery system, therefore, is that the demand of housing welfare is discovered on local base, and that demanders can be provided housing welfare service connected to local governments or neighborhood housing welfare centers. To do so local communit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activated, and the needs of housing welfare service also be discovered. This study is a exploratory one on communities' role in housing welfare delivery system in spite of some limitations based on existing theories and studies, and is significant as a new trial.

"꿈의 디지털 주거문화 실현"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139
    • /
    • pp.20-24
    • /
    • 2002
  • 21세기 표준화된 정보화 주택의 기준이 마련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국토 및 국민생활의 디지털화를 추진해온 국가정책의 한 과제로 개발을 완료하고 일반에 공개된 $\ulcorner$수요대응형 인텔리전트 아파트 표준모델$\lrcorner$로서, 꿈의 디지털 주거문화를 총결산하고 집대성했다는 인텔리전트 아파트 표준모델은 대한주택공사, 삼성물산, 서울통신기술, 한국통신이 컴소시엄을 구성하여 지난 1999년 11월부터 국책과제로 진행, 결실을 맺게 된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Urban Residential Crimes using Eigenvector Spatial Filtering (아이겐벡터 공간필터링을 이용한 도시주거범죄의 분석)

  • Kim, Young-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2
    • /
    • pp.179-194
    • /
    • 2009
  •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rime incidences in urban neighborhoods is a reflection of their socio-economic environment and spatial inter-relations. Spatial interactions between offenders and victims lead to spatial autocorrelation of the crime incidences. The spatial autocorrelation among the incidences biases the interpretation of the ecological model in OLS framework. This research investigates residential crimes using residential burglaries and robberies occurred in the city of Columbus, Ohio, for 2000. In particula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incidence rates of residential crimes are accounted in OLS framework using eigenvectors, which reflect spatial dependence in crime patterns. Result presents that handling spatial autocorrelation enhanced model estimation, and both economic deprivation and crime opportunity are turned out significant in estimating residential crime ra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