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간온도

Search Result 387,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Effect of alternative temperature on germination of sorghum, sorghum-sudangrass and corn seeds (온도의 변화가 수수, 수수X수단그라스교잡, 수단그라스 및 옥수수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 한흥전;양종성;안수봉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6 no.3
    • /
    • pp.174-178
    • /
    • 1986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treatments on germination of sorghum (cv. Pioneer 931), sorghum-sudangrass (cv. Pioneer 988), sudangrass (cv. Piper) and corn (cv. Suweon 19) in growth chamber. Each crop seeds were germinated under different day/night temperature of 10/5, 15/10, 20/15, 25/20, 30/25, 35/30 and $40/35^{\circ}C$ over 14/10 hour day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Germination of sorghum and sorghum-sudangrass were less affected by high temperature than those of corn and sudangrass. The optimum temperatures for germination were $20-40^{\circ}C$ for sorghum and $20-30^{\circ}C$ for corn. High temperature($40/35^{\circ}C$), however, resulted in great decrease of seed germination rates of seed germination rates of corn, while those of sorghum and sorghum-sudangrass shown high germination rates with the value of 95.8% and 89.9%, respectively. 2. Sorghum-sudangrass hybrid was shown to have a great tolerance to low temperature. Under low temperature($10/5^{\circ}C$) seed germination of sorghum-sudangrass was 80.0% but those of corn and sudangrass were 43.2% and 24.8% respectively. Germination rates of sorghum were decreased to about 68.8% at low temperature from a value of 98.1% at optimum temperature. 3. The days required to the seed germination of sorghum and sorghum-sudangrass hybrid were shortened by increasing of temperature. Under different temperature treatments, it was required 12 days ($15/10^{\circ}C$), 6 days ($25/20^{\circ}C$) and 3 days ($40/35^{\circ}C$) in sorghum but corn required 16, 7 and 3 days, respectively.

  • PDF

Effect of Wear Training on Temperature Adaptability of the Obese Children (비만아동의 온도적응성에 대한 착의훈련 효과)

  • Jeong, Woon-S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0 no.3 s.151
    • /
    • pp.407-411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obese children after a short-term wear training and education. A ten-week program was conducted on thirtee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six boys and seven girls in the 4th to the 6th grade. During the program, the children were instructed to measure daily ambient temperature and weight of their clothing.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sedentary children in 100$\%$ cotton short sleeved t-shirt (0.13clo) and T/C short pants(0.09clo) were observed in the climatic chamber of 23.0$\pm$0.5$^{circ}C$ and 50$\pm$5$\%$RH before and after program. During the experiment, internal ear temperature ($T_{ear}$), seven site skin temperatures,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heart rate, and subjective responses of thermal comfort and thermal sensation were measured every 5minutes. Mean skin temperature($T_{sk}$) and mean arterial pressure(MAP) were calculated. Obtained data a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mbient temperature and the total clothing weight. $T_{ear}$ and MAP were reduced in the post-program compared to the pre-program. The obese girls felt slightly warmer than the obese boys and the girls were likely to prefer lower ambient temperature in the post-program than the pre-program. It was concluded that the 10 week wear training is apt to be more applicable to the obese girls than the obese boys. However, a more comprehensive study including. diverse measurements of deep body temperature with a long-term training would be needed to clarify the improvement of temperature adaptability in the obese children.

Analysis of Climatic Factors during Growing Period of High-Quality Oak Mushroom(Lentinus edodes(Berk) Sing) (고품질 표고 생산 지역의 버섯 생산기간중 기후 분석)

  • 손정익;최원석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9 no.2
    • /
    • pp.115-119
    • /
    • 2000
  • Oak mushroom(Lentinus edoes(Berk) S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dible mushrooms, and its production has been rapidly increased due to nutritional and medicinal effects. In this study, climatic factors during the growing period of high-quality oak mushroom were analyzed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oak mushroom were discussed. Three places(Changheung, Puyo and Wonj) as mass producing areas of high-quality oak mushrooms and the 15 days of the growing period in 1997-1998 were selected. Major climatic factors for analysis were average air temperature, average relative humidity, ranges of daily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wind speed. During the period, th daily average air temperature was $7~20^{\circ}C$ with the diurnal air temperature($7~20^{\circ}C$) and nocturnal air temperature($0~-2^{\circ}C$). The relative humidity ranged between 50 and 70% with the range of daily relative humidity(40~60%). Wind velocity was 1~4m.$s^{-1}$, From th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growing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high-quality oak mushroom differed from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high productivity of oak mushroom;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wide ranges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low humidity and wind speed might affect the emergence of high-quality oak mushroom.

  • PDF

라이너 Premix 보관조건에 따른 반응성 비교

  • 홍윤택;장시권;이덕범;박병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04a
    • /
    • pp.215-220
    • /
    • 1997
  • 본 연구는 추진제 연소관 내부에 도포 되는 내열재 라이닝 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해 라이너 Premix 반응성을 실험하고 그결과를 토대로 Premix 저장조건을 설정하였다. HX-계열의 Bonding agent를 사용하는 LH-2, LH-5, LH-6 라이너를 선택하여 각각 20, 30, $40^{\circ}C$하에서 5주간 저장후 경화제와 경화촉매를 주입하고 초기점도를 측정하여 반응성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Bonding agent로 HX-868을 사용하는 LH-5, LH-6 라이너가 HX-752를 사용하는 LH-2보다 반응성이 빠르며, 경화제와 경화촉매로 DDI와 T-12를 사용하는 LH-5 라이너가 IPDI와 $Fe(AA)_3$를 사용하는 LH-6 라이너 보다 반응성이 빠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저장온도와 기간에 따른 반응성을 토대로 공정 적용시 급격한 점도 상승에 의한 작업의 불안정성을 피하기 위해 일정 점도를 초과하지 않는 라이너 Premix 저장조건을 설정하였고, 향후에는 Bonding agent로. HX-868을 사용하는 LH-5, LH-6 라이너는 보다 공정성이 양호한 HX-752로 바꾸어 주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 PDF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s effect with renewable energy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축냉시스템 설치사례 사례 분석)

  • Song, Hyun-Ah;Sun, Sang-Jin;Lee, Hu-Y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076_1077
    • /
    • 2009
  • ‘09년 국가정책의 가장 큰 주제 중 하나는 "저탄소 녹생성장"이다. 그러나 지구온난화는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어, 최근 100년동안 지구평균온도는 $0.75^{\circ}C$ 상승하였다. 이는 또 다른 환경문제를 야기하는 한편, 전력공급 측면에서 냉방부하가 점점 더 늘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다행히도 주간의 전력사용을 최소화하고 냉방할 수 있는 시스템 즉 축냉시스템이 보급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어 산학연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축냉시스템의 원리, 지원제도, 보급실적 및 보급효과에 대해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 PDF

성지곡수원지 부근 산공풍의 기단변질과정에 관한 수치실험

  • Kim, Ik-Yeong;Lee, Bu-Yong;Hwang, Su-Jin;Kim, Hae-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9-156
    • /
    • 2007
  • 부산의 대표적 큰 계곡인 성지곡수원지는 남쪽으로 부산의 최대 도심인 서면을 향해 열려 있고, 그 이외의 삼면은 높은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그래서 성지곡-서면-남항 일대는 낮에는 해풍이 곡풍(남풍)의 형태로 불고, 야간에는 산풍이 육풍(북풍)의 형태로 불고 있다. 이렇게 형성된 국지풍 순환의 규모와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계곡 입구와 도심인 서면 부근에 자동기상관측장치를 설치하여 특별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결과 주간에는 서면 부근의 기온이 성지곡 입구보다 낮았고, 야간에는 이와 반대로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대체로 $3^{\circ}C$ 내외였다. 이것은 주로 지표면 가열의 의한 기단변질의 결과로 판단된다. 관측 일에 확인된 도로표면온도는 낮에 약 65도까지 상승하였으며 야간에도 30도 정도의 고온이 유지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현장관측으로 확인된 기단변질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2차원 대류모델을 이용한 수치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치실험의 결과 낮에는 지표로부터 약 $150W/m^2$이상의 현열이 보급됨이 확인되었다. 야간에도 $10W/m^2$ 내외의 현열이 대기 중으로 보급되어 성지곡 수원지에서 발원된 냉기류를 가열시키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The Shading Effect and Wind Velocity Variation of Greenhouse with Fan & Pad System (FAN & PAD시스템 온실의 풍속변화 및 차광효과)

  • 이석건;이종원;이현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0.10b
    • /
    • pp.36-39
    • /
    • 2000
  • 온실용 FAN & PAD 시스템의 설계, 시공 및 운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FAN & PAD 온실의 내부풍속변화와 차광에 따른 냉방성능을 실험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FAN & PAD 시스템 온실의 내부풍속은 지면높이 80cm에서는 0.35㎧-1.25㎧ 범위에서 불규칙한 변화를 보였으며, 지면높이 210cm에서는 0.63㎧-1.06㎧ 범위에서 다소 규칙적인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PAD측 풍속은 지면높이 80cm에서는 평균 0.2㎧, 지면높이 210cm에서는 평균 1.16㎧로 규칙적인 변화를 보였다. 2. 주간(10:00-18:00)에 외기온이 28.2$^{\circ}C$-35.1$^{\circ}C$(평균 31.5$^{\circ}C$)범위에서 변화할 때 FAN & PAD 온실의 내부온도는 외기온보다 평균 2.4$^{\circ}C$-2.7$^{\circ}C$정도 낮게 나타났으며 무차광시 냉방효과가 최고 3.2$^{\circ}C$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roduction of Vinegar Using Deteriorated Deastringent Persimmons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저온저장 중 품질이 저하된 단감을 이용한 식초의 제조)

  • 홍정화;이기민;허성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5 no.1
    • /
    • pp.123-128
    • /
    • 1996
  • 저온저장 중 품질 열화가 일어난 단감의 산업적 이용성을 증진하기 위한 감식초의 가공조건을 조사한 결과, 연화된 단감을 폐쇄하여 종초 10%와 알코올 4%를 첨가한 후 발효온도 3$0^{\circ}C$에서 2주 이내에 산도 4%이 상인 감식초가 발효되었으며, 15$^{\circ}C$에서 3주간의 숙성 조건에서 식초 고유의 향미가 형성된 반면 포도당과 초산의 첨가는 최종 제춤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얻었다. 연화된 단감의 열처리 효과는 잡균에 의한 오염 가능성을 제거시킬수 있었기 때문에 품질의 안정화를 위한 필수적인 공정으로 볼 수 있었다. 종초에서 분리된 산생성 균주의 생육과 산생성능을 조사한 결과, AH-1은 발효초기에 증식한 반면 AH-2는 발효 푸기에 증식하면서 산을 생성하였다. 따라서 이런 균주들이 서로 어우러져 최종적인 감식초의 품질을 결정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감식초의 유기산 성분은 대부분이 acetic acid로 구성되어 있었고, 그 다음은 $\beta$-galac-turonic acid였다. 그리고 tanin 함량은 시판제품에 비하여 16~44mg% 정도 적게 나타났다.

  • PDF

Studies on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Responses of Barley I. Growth Analysis of Barley Varieties under the Constant Temperature Condition (대맥의 물질생산에 관한 기초적연구 I. 일정한 온도환경조건하에서 생육한 대맥품종의 생육해석)

  • Chang-Hwan Cho;Wan-Sik Ahn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1 no.1
    • /
    • pp.65-70
    • /
    • 1976
  • To evaluate growth pattern of barley, dry matter productions of two barley varieties with different winter habits were compared under same temperature and day length conditions.

  • PDF

OUTGASSING OF GFRP, CFRP AND GRAPHITES

  • 최상철;정광화;홍승수;서인용;신용현;이상균;임종연;임인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00.02a
    • /
    • pp.38-38
    • /
    • 2000
  • 저온유지장치에서 요구되는 도달압력은 초전도 코일의 냉각시스템과 저온유지장치의 벽 사이의 진공단열조건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으며, 기체에 의한 열전도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5$\times$105Torr 이하의 진공도가 요구된다. 저온유지장치 내에서 진공 단열재로 사용되는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GFRP)과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CFRP)의 기체 방출률을 측정하였다. 고출력 토카막 방전동안 graphite limiter 표면의 온도는 200$0^{\circ}C$ 이상이며, 플라즈마로 유입되는 불순물의 양을 줄이기 위해 많은 시도를 하고 있다. 상온에서부터 약 100$0^{\circ}C$까지 승온에 따른 방출기체의 양 및 성분 분석, annealing 후 공기 중에 약 2주간 노출 후 기체 방출률과 성분을 분석하였다. 총 기체 방출량은 10$0^{\circ}C$ 근방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600^{\circ}C$부터는 graphite의 종류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분포를 보이며, 최대 방출률은 약 20$0^{\circ}C$~30$0^{\circ}C$ 부근에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