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좌약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OMZ염의 약물동태 및 직장좌제 개발연구

  • 이계주;권광일;황성주;박성배;심상호;이창현;심창구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77-177
    • /
    • 1994
  • 좌제중에서 OMZ의 분해는 1차 반응적이었으며, 안정화제로서는 arginine이 가장 좋아서 arginine을 10 mg 첨가한 Witepsol H15 좌약과 PEG 4000좌약의 분해속도 상수는 각각. 3.89$\times$10-3day$^{-1}$, 8.67$\times$$10^{-3}$ day$^{-1}$이어서, arginine 비첨가 Witepsol Hl5기제 (k = 00.11 day$^{-1}$, PEG 4000기제( k = 0.48 day$^{-1}$)의 경우보다 훨씬 양호하였으며, 35$^{\circ}C$, 75%RH에서 장기보존시험 결과 Witepsol H15 좌제와 PEG 4000 기제는 각각 k = 3.63$\times$$10^{-4}$ day$^{-1}$, t190% = 291 8 days와 k = 3.69$\times$$10^{-4}$ day$^{-1}$ 및 t90% = 282.1 days이었으며, 좌제로부터 약물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은 arginine의 첨가, 원료약품 입자의 미세화, 적절한 계면활성제의 첨가 그리고 지용성 기제량의 감소등으로서 이들은 약물의 용출을 증가시켰다. 실험한 좌약의 bioavailability는 경구용 캅셀이 17%, 지용성좌제 44.9%, 수용성좌제 41.0%로서 좌제가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p<0.01), 지용성좌제에 SLS나 EDTA를 첨가하였을 때에는 각각 29.7%, 32.7%로서 이들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 보다 유의성 있게 낮았다(p<0.01). 또한 직장점막 자극시험결과 부작용을 관찰할 수 없었으며 간초회통과 회피율은 수용좌제에서 28.9%, 지용성좌제에서 33.6%로 나타나서 OMZ의 투여경로는 직장좌제가 유용한 한가지 투여방법이 될 것임을 시사하였다.

  • PDF

좌약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자기물질 충전재에 대한 연구 (Mossbauer Research of the Magnetic Filler for Suppositories)

  • 도태성;김응찬;남효덕;최세곤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0-442
    • /
    • 1997
  • The properties of magnetic suppositories used in medicine has been tested with M ssbauer spectroscopy methods.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magnetic rectal suppositories containing parmadine and fine-dispersed ferrite powder BaO.nFe$_2$O$_3$as a magnetic filler. According to the data on the value of effective magnetic field on $^{57}$ Fe nuclei in ferrite magnetic sublattices, the stoichiometric n-number equals approximately 5.5; this vague corresponds to the composition range of optimal magnetic properties.

  • PDF

좌약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자기물질 충전재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Magnetic Filler for Suppositories by Mossbauer Spectroscopy)

  • Do, Tae-Sung;Nam, Hyo-Duk;Park, Se-Gon;Kim, Eng-Chan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9권2호
    • /
    • pp.73-75
    • /
    • 1998
  • Mossbauer spectroscopy methods are discussed when applied to test the properties of magnetic suppositories used in medicine.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magnetic rectal suppositories containing parmadine and fine-dispersed ferrite powder (BaOㆍnFe$_2$O$_3$) as a magnetic filler. According to the data on the value of effective magnetic field on $^{57}$ Fe nuclei in ferrite magnetic sublattices, the stoichiometric n-number equals approximately 5.5; this value corresponds to the composition range of optimal magnetic properties.

  • PDF

자원봉사자에 의한 아로마 복부경락마사지 제공이 입원 뇌 병변 장애환자의 변비완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bdominal Meridian Massage with Aroma Oils by Volunteers on the Relief of Constipation in Hospitalized Disability Patients with brain lesions)

  • 김태임;남미정;방영이;연영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267-2277
    • /
    • 2012
  • 본 연구는 배변 문제가 있는 뇌 병변 장애 입원 환자에게 자원봉사자들이 주 3회의 아로마 복부경락마사지 중재(7분/1회)를 4주간 적용하여 변비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설계는 단일군 전후설계의 원시실험연구이며, 연구대상은 5개월 이상 입원중이며 배변문제가 있는 뇌 병변 장애환자 38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11년 5월 9일부터 6월 19일까지 총 6주간 이었다. 변비완화 효과는 좌약 또는 관장 적용 횟수, 배변 횟수, 배변 양으로 측정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SPSS 19.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의 경과에 따라 좌약 또는 관장횟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1.03, p=.361). 둘째,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배변 횟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2.14, p=.133). 셋째,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배변 양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F=3.56, p=.033). 시점 간을 비교 분석한 결과 사전시기 보다 중재 1-2주(p<.05)와 중재 3-4주(p<.01)에 배변 양이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자원봉사자에 의한 주 3회의 아로마 복부경락마사지는 입원 뇌 병변 장애 환자의 변비완화에 효과가 있는 비 침습적인 간호중재라고 결론지을 수 있으며, 간호실무 현장에서 아로마 복부경락마사지 중재를 적용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와 지침을 제공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추후 본 연구결과의 확산을 위해 다양한 대상자에게 반복 연구를 실시하여 경험적 증거를 축적할 것을 제언한다.

생존분석을 이용한 복부마사지와 하지관절운동의 뇌병변 재활환자 배변완화시기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Abdominal Massage and Lower Extremity Exercise using Survival Analysis in Rehabilitation Patients of Brain Injury)

  • 김영지;신동순;김성림;박규옥;도나령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2호
    • /
    • pp.25-32
    • /
    • 2023
  • 뇌손상 환자는 초기 재활 단계에서 가장 흔한 소화장애로 변비가 발생하며 예후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관영양하는 뇌손상 환자의 재활 치료 입원, 전동 직후부터 배변 습관을 사정하고 복부 마사지와 하지 관절 운동을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설계는 뇌손상 환자에게 배변 간호 중재(복부 마사지와 하지 관절 운동)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시차 연구이다. 연구결과, 배변 횟수는 실험군의 배변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p=.030), 좌약 사용은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사용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4). 변비 완화 시점은 실험군은 1.73일, 대조군은 4.61일로 두 군간 변비 완화 시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뇌손상 환자에게 재활 초기부터 배변을 완화시키고 변비를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는 복부 마사지와 하지관절 운동이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