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좌심실 기능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1초

승모판 심장질환 환자에서 기관지 반응성에 대한 연구 (Bronchial Responsiveness in Patients with Mitral Valvular Heart Disease)

  • 김호철;김민구;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5호
    • /
    • pp.752-759
    • /
    • 1995
  • 연구배경: 심부전 환자에서 기관지 과민성의 여부를 확인하고 이러한 기관지 과민성과 혈역학적 지표사이의 상관관계를 알기위해 메타콜린을 이용하여 기관지 유발검사를 실시하였다. 방법: 1994년 3월부터 8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흉부 X선 촬영, 심에코도 검사, 심도자술로 승모판 심장질환이 진단되고 호흡곤란의 정도가 NYHA 기능적 분류 2인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PARI nebulizer I을 이용하여 메타콜린 용액의 농도를 올리면서 기관지 유발검사를 시행하여 최대호기 유속이 20%이상 감소를 보이면 양성반응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각각의 환자는 심도자술을 통해서 혈역학적인 지표와 기관지 과민반응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저 하였다. 결과: 1) 11명의 환자중 남자 2명 여자 9명이였으며 평균연령은 38.0세이였고 흡연력은 1명이외에는 없었다. 2) 각 환자의 호흡곤란 정도는 NYHA 기능적 분류 2였고 승모판 협착증만 있는 환자는 5명이였고 이외는 승모판 질환과 대동맥 판막질환이 동반되어있었다. 3) 환자들의 평균폐동맥압과 평균폐모세혈관 쐐기압은 각각 21.72mmHg(${\pm}8.55$), 15.45mmHg(${\pm}8.69$)로 정상보다 높았고 심장지수와 좌심실분획률은 각각 2.64L/min/m2(${\pm}0.41$), 61.81%(${\pm}7.21$)로 정상범위이였다. 4) 11명의 환자중 1명만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검사에 양성이었다. 결론: NYHA 기능적 분류 2인 승모판 심장질환이 있는 심부전환자 11명중 1명만 기관지 과민반응이 관찰되었으며 그 이유로 지속적인 심부전의 치료에 의한 간질성 폐부종의 소설로 인해 기관지의 반응성이 증가되지 않았다고 사료되며 NYHA 기능적 분류 3 또는 4인 승모판 심장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기관지 과민 반응에 대한 추후의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심장기능상태의 분류에 따른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장초음파의 심박출계수 상관관계에 관한 고찰 (The Study on the Correlation of the Ejection Fraction of Multi Gated Blood Pool Scan and Echocardiography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Cardiac Function)

  • 이동훈;박장원;남기표
    • 핵의학기술
    • /
    • 제19권1호
    • /
    • pp.57-61
    • /
    • 2015
  •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장초음파로 산출된 좌심실 심박출계수(Ejection Fraction : EF)는 높은 상관성을 가진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심장기능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채 모든 환자들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장의 기능상태에 따라 분류된 대상에 대하여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장초음파에서 평가된 심박출계수의 상관성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본원에서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장초음파를 모두 시행한 환자 중 유방암 진단을 받은 여자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감마카메라는 Infinia (GE healthcare, Milwaukee, USA)와 Ventri (GE healthcare, USA)를 사용하였으며, 체내 표지법으로 좌전사위상(Left Anterior Oblique, LAO)영상을 획득한 후, 전면상(Anterior View)과 좌측면상(Left Lateral View)을 각각 획득하였다. 영상분석은 좌전사위상에서 심박출계수가 50% 이상 70% 미만으로 평가된 환자 30명(연령: $58.27{\pm}13.48$)과 50% 미만의 환자 30명(연령: $53.70{\pm}8.45$)을 각각 정상군(Normal)과 비 정상군(Mild LV Dysfunction)으로 분류하여 SPSS ver. 18.0로 통계 분석하였다. 그룹 간 판독결과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문의에 의해 판독된 결과를 참고하였다. 정상군의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초음파의 심박출계수의 평균값은 각각 $66.43{\pm}5.80$, $60.50{\pm}4.93$로 심초음파의 값이 다소 낮게 측정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비 정상군의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초음파의 심박출계수는 평균값이 $41.93{\pm}7.58$, $41.70{\pm}11.4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01). 정상군간의 판독결과에서 30건 모두 동일한 판독결과를 보였으나 비 정상군간에서는 30건 중 8건에서 판독의 불일치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게이트심장혈액풀 검사와 심장초음파의 심박출계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 정상군간의 결과에 주관적인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심장기능상태 분류에 따른 결과를 인식하고 게이트심장혈액풀 스캔과 심장초음파를 상호대체 검사로 임상에서 활용한다면 보다 정확한 결과 값을 산출하여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관상동맥 우회로 수술 환자에서 심근의 탄성도 변화 (Improvement in Regional Contractility of Myocardium after CABG)

  • 이병일;팽진철;이동수;이재성;정준기;이명철;최흥국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24-230
    • /
    • 2005
  • 목적: 심근의 최대탄성도는 전부하 후부하에 독립적인 지표로서 SPECT를 이용하여 좌심실의 국소탄성도($rE_{max}$)를 비침습적으로 측정하였다. 게이트 심근 SPECT 영상에서 국소부피변화를 얻고, 요골동맥 긴장도를 측정하여 중심동맥의 압력 곡선을 얻어 측정한 최대탄성도를 관상동맥우회로 수술 전후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전후 관류 및 기능지표와 비교하여보았다. 대상 및 방법: 관상동맥우회로 수술이 결정되어 시행한 환자 21명(남:여=17:4, $58{\pm}12$세)을 대상으로 $^{201}TI$ 휴식기 영상과 디피리다몰 부하 $^{99m}Tc$-sestamibi 게이트 SPECT를 수술전과 수술 후 3개월째 시행하였다. 동시에 요골동맥으로부터 압력곡선을 얻었다. 기능과의 관계를 보기 위해서 관류와 심벽두꺼워짐을 탄성도와 비교하였으며, 심벽두꺼워짐이 20%미만일 때 수술 후 10%이상 호전되지 않는 기능이상 분절에 대해 수술 전후의 탄성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전 탄성도가 $2.41{\pm}1.64$ mmHg/mL에서 $2.78{\pm}1.83$ mmHg/mL 으로 수술 후에 증가하였으나, 관류와 심벽두꺼워짐과는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r=0.35, p<0.001). 관류 60% 이상의 분절에서는 $2.65{\pm}1.67$ mmHg/mL 이었으나, 관류나 낮은 분절의 탄성도는 $1.30{\pm}1.24$ mmHg/mL 였다. 심벽두꺼워짐이 40% 이상 되는 분절의 수술 전 탄성도는 $3.01{\pm}1.92$ mmHg/mL 였고, 기능이 조금 약한 부분인 40%에서 20% 사이의 심벽두꺼워짐 값을 가진 분절에서는 $2.40{\pm}1.19$ mmHg/mL로 심각한 기능이상을 반영하는 20%미만 분절의 탄성도는 $1.13{\pm}0.89$ mmHg/mL의 분포를 보였다. 수술 전 심벽두꺼워짐이 20% 미만일 때 수술 후 10%이상 회복을 보인 생존심근와 그렇지 않은 비생존심근사이의 수술 전후 탄성도는 $1.27{\pm}1.07$ mmHg/mL에서 $1.79{\pm}1.48$ mmHg/mL, $0.97{\pm}0.59$ mmHg/mL에서 $1.22{\pm}0.71$ mmHg/mL로 생존심근의 수술 후 값의 향상이 조금 더 높았다. 그러나, 심벽두꺼워짐의 정도가 탄성도 높아짐의 정도 사이에는 상관성이 없었다(r=0.007). 결론: 수술 전 $rE_{max}$는 관류와 심벽두꺼워짐과 상관성이 약하게 있었다. 기능이상이면서 생존능이 있는 심근의 탄성도는 수술 후 증가하였지만 심벽두꺼워짐의 향상과는 상관성이 없었다. 심근기능의 전부하 후부하에 독립적인 지표인 탄성도는 실제 부피의 증가와 연관되지 않으면서도 생존능이 있는 심근의 기준과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으므로 독립적인 매개변수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돼지에서 pCK-VEGF165의 심근내 주입에 의한 치료적 혈관조성 (Therapeutic Angiogenesis by Intramyocardial Injection of pCK-VEGF165 in Pigs)

  • 최재성;한웅;김동식;박진식;이종진;이동수;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5호
    • /
    • pp.323-334
    • /
    • 2005
  • 배경: 유전자 치료에 의한 치료적 혈관조성은 허혈성 심질환의 새로운 치료전략의 하나로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동물에서 pCK 플라스미드 벡터에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soform 165: VEGF165) 유전자를 삽입한 pCK-VEGF를 이용한 치료적 혈관조성의 효용성을 증명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총 21 마리의 돼지를 이용하여 좌전하행지동맥의 원위부를 결찰하여 심근경색 모델을 만든 후, 4주 후에 VEGF 유전자를 삽입한 플라스미드를 심근내에 주입하거나(VEGF군), 유전자 없이 플라스미드 만을 주입하였다(대조군). 실험 대상 동물군을 맹검하에 무작위로 VEGF군 및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7마리는 실험 도중 사망하였으며 결과적으로 VEGF군은 8마리, 대조군은 6마리가 최종분석에 이용되었다. 좌전하행지동맥 결찰 후 30일째에 심근 SPECT와 심장초음파검사를 시행하고 심근내에 플라스미드를 주입하였으며, 이로부터 30일째에 심근 SPECT와 심장초음파검사를 다시 시행하였다. 허혈부위의 심근관류의 변화는 심근 SPECT상의 $^{99m}Tc-MIBI$의 섭취 정도로 비교하였으며, 국소 및 전체 심근기능 및 심실리모델링 등은 심장초음파 또는 게이트SPECT 검사상의 수축시 심실벽비후화, 좌심실구출률(EF), 수축기말용적(ESV), 이완기말용적(EDV) 등으로 비교하였다. 혈관조성의 정도는 조직검사상의 미세혈관의 밀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미세혈관의 밀도는 VEGF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386\pm110/mm^{2}\;vs.\;291\pm127/mm^{2},\;p<0.001$), 분절의 관류 정도도 VEGF군에서는 관상동맥 결찰 60일째가 30일째에 비해 더 증가한 반면(플라스미드 주입 전, 후, $48.4\pm15.2\%\;vs.\;53.8\pm19.6\%,\;p<0.001$)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플라스미드 주입 전, 후, $45.1\pm17.0\%\;vs.\;43.4\pm17.7\%,\;p=0.186$), 그 변화량도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11.4\pm27.0\%$ 증가 vs $2.7\pm19.0\%$ 감소, p=0.003). 수축시의 심실벽비후화는 양 군 모두에서 플라스미드 주입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증가한 정도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심장초음파검사상 ESV은 양 군 모두에서 수술 전에 비해 관상동맥 결찰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VEGF군, $22.9\pm9.9\;mL\;vs.\;32.3\pm9.1\;mL,\;p=0.006;$ 대조군, $26.3\pm12.0\;mL\;vs.\;36.8\pm9.7\;mL,\;p=0.046$), EF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VEGF군, $52.0\pm7.9\%\;vs\;46.5\pm7.4\%$, p=0.004; 대조군, $48.2\pm9.2\%\;vs\;41.6\pm10.0\%$, p=0.028), EDV은 양 군 모두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플라스미드 주입 전과 후의 비교에서는 양 군 모두에서 심장초음파 및 게이트 SPECT검사상의 EF, ESV, EDV 값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VEGF165 유전자를 삽입한 플라스미드의 심근내 주입 후 허혈성 생존 심근 부위에 혈관조성이 일어나고 심근관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심근 기능이나 좌심실의 리모델링 경과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edtronic-Hall 기계판막의 임상경험 (Clinical Experience of Medtronic-Hall Valve)

  • 김종원;정성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1호
    • /
    • pp.1031-1036
    • /
    • 1998
  • 연구배경 : Medtronic-Hall 기계판막은 세계적으로 흔히 쓰이고 있으나, 우리 나라에는 그에 대한 임상연구가 되어 있지 않다 재료 및 방법 : 1986년 3월부터 1990년 5월까지 Medtronic-Hall 기계판막을 이용한 인공 심장판막 치환 환자 5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35세였고 남녀비는 17:33이었다. 결과 : 판막 병변의 원인은 류마티스성이 43례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38명의 환자에서 승모판 치환술을 7명에서 중복판막치환술을 그리고 5명의 환자에서 대동맥판막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술전 NYHA 기능 분류는 Class III 혹은 Class IV가 91.5%였지만 술후는 ClassI혹은 Class II가 87.2%로 호전된 양상을 보였다. 심장초음파 검사상 좌심방내경, 수축말기 및 확장말기 좌심실내경은 술후 모두 감소하였고 심박출률은 증가하였다. 술후 합병증은 출혈 3례, 저심박출 증후군 2례, 혈전색전증 1례, 전격성 간염 1례가 있었고 병원 사망례는 3례였다. 혈전색전증의 발생률은 1.5%/환자.년이었고 5년 생존률은 93.65$\pm$0.71%, 10년 생존률은 88.27$\pm$6.4%였다. 결론 : 이상에서 Medtronic-Hall 기계판막은 판막에 관련된 합병증 발생률이 낮고 판막의 내구성도 뛰어나며 혈역학적 수행능력이 타 기계판막에 뒤떨어지지 않는 판막으로 확인되었다.

  • PDF

승모판 협착증 환자에서 운동부하 심장풀스캔을 이용한 좌심실기능의 평가 (Exercise Radionuclide Ventriculography in Patients with Mitral Stenosis)

  • 이도연;심원흠;김한수;박승정;조승연;김성순;이웅구;김명진;최규옥;박창윤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8-64
    • /
    • 1992
  • We performed exercise radionuclide ventriculography to evaluate left ventricular (LV) function in 35 patients with pure mitral stenosis (MS). There were 6 males and 29 females ranging from 21 to 63 years of age (mean $37{\pm}10$ years). We also studied 8 healthy men as control group (mean age $27{\pm}5$ years). Each patients was evaluated at rest and during maximal exercise on an isokinetic bicycle ergometer. Peak filling rate (PFR), peak ejection rate (PER), ejection fracion (EF), end-diastolic volume (EDV), end-systolic volume (ESV), stroke volume (SV), and cardiac output (CO) were determined by the radionuclide techniqu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LV systolic dysfunction and reduced PFR were noted in patients with MS. 2) EDV as well as SV decreased with exercise in patients with MS. 3) No significant increase in EF during exercise compared to rest value was observed because it was caused by reduced EDV and SV during exercise in patients with MS. 4) CO increased with exercis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in patients with MS. 5) Patients with M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whether SF increased more than 5% druing exercise compared to resting state or decreased.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between these two groups. Patients with a fall in EF with exercise were older, had larger left atrial size, and had lesser decreased in ESV during exercise.

  • PDF

대혈관전위증에 대한 동맥전환술 (Arterial Switch Operation for Transposition of G rest Arteries)

  • 이호철;류한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278-284
    • /
    • 1996
  • 1989년 5월부터 1994년 5월까지 9명의 대혈관전위증 환자에 대해 동맥전환술을 시행하였다. 연령 분 포는 생후 3일에서 90일까지로 평균 30일 (21일)이 었고 환자는 전례 에서 술전 심초음파 검사로 진단되 었 다. 8례는 심실중격결손을 동반한 대혈관전위증이었으며 1례는 심실중격결손을 동반하지 않은 단순대 혈관잔위증 환아였다. 동반기형으로는 동맥관개존이 8례, 심방중격결손이 7El,대동맥축약이 1례였다. 관동백의 분지 형태는 Yacoub type A가 7례 (77 %), Yacoub type D의 형태가 2례 (23 %)였다. 폐동맥 재 건은 Lecompte 술식을 8례 에서 적용하였고 자가심낭편을 이용하였다. 사망율은 55 %였다. 수술후 1 ~2 일내 사망한 3례는 좌심실 기능부전과 발작성 폐동맥 고혈압이 원인이었고, 수술후 2~3주에 사망한 2례는 술후 감염에 의한 폐혈증이 주원인이었다. 평균 추적 기간은 17개월이 었고 추적관찰에는 심초음파 를 이용하였으며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대동맥 판 폐쇄부전이나 폐동맥 판 상부 협착은 발견되지 않았다. 수술에 따르는 여러 위험 요소들(저체중, 장시간의 체외순환, 체외 순환중 과도한 혈희석, 저체온, 술후 용적 부하, 과도한 \ulcorner\ulcorner\ulcorner사용) 중 술후 과도한 강심제를 사용했을 경우에서만 통계학적 유의성을 가지는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 PDF

가와사키병 환자의 혈청 interleukin-6, tumor necrosis factor-α, Adiponectin 치에 대한 연구 (Serum interleukin-6, tumor necrosis factor-α and adiponectin levels in Kawasaki disease)

  • 안정;김한규;손세정;홍영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1호
    • /
    • pp.41-47
    • /
    • 2010
  • 목 적 : 아디포넥틴은 혈관벽의 염증 반응을 억제시켜 혈관의 remodeling을 조절하는 내인적 조절 인자이다. 그러나 가와사키병에서 아디포넥틴의 역할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와 IL-6, $TNF-{\alpha}$, lipid profile, C 반응 단백 등 몇몇 parameter들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 아디포넥틴과 심기능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다. 방 법 : 실험군은 가와사키병으로 진단받은 총 22명의 환아(급성기 22명, 아급성기 환아 20명)를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총 31명(열성 질환이 있는 환아 13명, 건강아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군 모두에서 혈액 검사와 TDI를 실시하였다. 결 과 : C 반응 단백은 대조군에 비해 가와사키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아디포넥틴, IL-6, $TNF-{\alpha}$ 치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아디포넥틴과 C 반응 단백, 혈소판 수치 사이에 유의한 음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TDI로 측정한 수축기 심근 속도와 A 심근 속도가 급성기에서 아급성기,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심근 속도가 감소됨이 확인되었고, 아디포넥틴과는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 론 : 급성 가와사키 환아에서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가 낮을수록 염증 반응이 심하며 좌심실의 기능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인 동맥관 개존증 수술 후 좌심실 기능 저하의 위험 인자 분석 (Postoperative Left Ventricular Dynsfunction in Adult PDA)

  • 윤태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0호
    • /
    • pp.785-791
    • /
    • 2000
  • Left ventricular dysfuction is common in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s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heart diseases with chronic left ventricular volume overload. We speculated postoperative changes of left ventricular volume and unction in patients with patent ductus osus(PDA) who had underwent surgical repair at ages older than 16 years. Factors influencing postoperative left ventricular volume and function were also analyzed. Material and Method: From August 1989 to August 1999 thirty-siz adult patients with PDA 28 females and 8 mal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ir age ranged from 16 years to 57 years(mean :32 years). Types of surgical repair were division with primary closure in 22, division with patch closure in 6, internal obliteration using cardiopulmonary bypass in 4 and ligation in 4. Aortic clamping was combined during surgical repair in 22(61%) and cardiopulmonary bypass was used in 8(22%) Two-dimensional echocardiography studies were performed in 34(94%) preoperatively and in 25(66%) immediate postoperatively to assess postoperative changes of left ventricular internal dimensions. left ventricular volume and ejection fraction. Duration of postoperative follow-up ranged from 1 month to 99 months (mean:22 months) and 10 patients underwent 16 echocardiographic evaluation during this period Result :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left ventricular systolic dimensions(LVIDs) were 42$\pm$8.0mm and 42$\pm$8.3mm left ventricular diastolic dimensions(LVIDd) were 64$\pm$10.0mm and 56$\pm$7.4mm left ventricular end systolic volumes(LVESV) were 62$\pm$19cc (z=1.87$\pm$0.06) and 59$\pm$24cc(z=1.78$\pm$0.08) left ventricular end diastolic volumes(LVEDL) were 169$\pm$40cc(z-1.17$\pm$0.1) and 112$\pm$29cc(z=0.85$\pm$0.1) and ejection fractions(EF) were 66$\pm$6.7% and 48$\pm$12.6% respective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values in LVDIDd(p=0.001) LVEDV(p=0.001) and EF(p=0.0001)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LVIDs and LVESV. Postoperative depression of ejcection frac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z-score of preoperative LVESV and LVEDV by univariateanalysis while LVEDV only was significant risk factor for postoperative LV dysfunction by multiple regressioin analysis ($\Delta$LVEF=-13.3-4.62$\times$LVEDV(z), p=0.001) During the follow-up periods ejection fractions become normalized in all except one patients. Conclusion ; Left ventricular function is usually deteriorated after the surgical correction of PDA in adult age and preoperative LVEDV is a major determinant of postoperative LV function.

  • PDF

소아에서 심장 주기 시간 변화에 따른 조직 도플러 지표들의 변화양상 (Variation of parameters according to cardiac cycle length, evaluated by TDI in children)

  • 이창현;김재광;진형승;박기영;김봉선;한명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3호
    • /
    • pp.339-345
    • /
    • 2009
  • 목 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소아에서 고식적 심초음파와 조직 도플러 영상을 이용하여 측정한 지표들의 심장 주기 시간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 법 : 2006년 7월부터 2007년 6월까지 강릉아산병원에서 심장초음파를 시행한 해부학적으로 정상 심장을 가진 총 18명의 소아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심첨 4방 단면도에서 이완기 승모판 유입 최고 혈류 속도 E, A와 승모판륜의 외측 끝단 및 심실 중격 끝단에서 조직 도플러 영상으로부터 s',e',a'과 함께 각각의 심장 주기 시간을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연속된 6-18 심장 주기 동안 이루어졌으며, 심장 주기 길이와 각 지표들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평균 나이는 $3.6{\pm}0.5$세(남:여=8:10)이었다. 심장 주기 시간과 Lat s', Lat a', Sep s', Sep e', Sep a'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심장 주기 시간과 E/A, Lat e'/a', Sep e'/a'은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1). 그러나 E, Lat e'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229, 0.221). 결 론 : 본 연구로 심장 주기 시간의 변화에 따라 좌심실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들이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소아에서 정상치를 결정함에 있어 이러한 변화를 고려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