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이 변색

Search Result 10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Research for Investigation on the Browning of Paper due to the Corrosion of the Staples Used (스테이플러 철심에 의한 종이손상의 원인 연구)

  • Choi, Jungeun;Ha, Hyojin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29 no.2
    • /
    • pp.103-110
    • /
    • 2013
  • Since its development in the United Kingdom, the stapler has been used extensively to bind books. Staples comprising almost entirely of iron, first made in the early 1900s, are used to staple the cores of books. These staples change the colour of paper to brown and this browned paper ultimately crumbles. Basic research is being performed on solutions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paper in the area around the staples. In this study, the cause of this browning of paper in the area was investigated. SEM-EDS, optical microscopy and FT-IR were used to analyze a browned area of three paper samples. It was found that the browned area had shortened fibres. In addition, iron was detected in this area. The corrosion of this iron led to this area of the paper being partially covered by iron(III) oxide, the product of the corrosion, as determined by FT-IR spectroscopy.

Relationship between Discoloration and Flower Pigment after Pressing in Yellow-Colored Flowers (황색 꽃의 압화 후 변색과 화색소와의 관련성)

  • Byun, Mi Soon;Cho, Eun Jeong;Kim, Kiu Weon
    • FLOWER RESEARCH JOURNAL
    • /
    • v.16 no.1
    • /
    • pp.76-84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ause of discoloration after pressing yellow-colored flowers. Plant materials used were Lilium Asiatic Hybrids, Oncidium spp., Rosa hybrida, $Tulipa{\times}gesneriana$, Antirrhinum majus, Dianthus caryophyllus, Freesia hybrida, Zantedeschia elliottiana, Gerbera jamesonii, Helianthus annuus, and Ranunculus asiaticus. Thickness, ratio of length to width, and water content of petals did not considerably affect discoloration of pressed flowers. Expression of yellow color in petals was caused by carotenoids in Lilium Asiatic Hybrids, Oncidium spp., Rosa hybrida and $Tulipa{\times}gesneriana$, by flavonoids in Antirrhinum majus, Dianthus caryophyllus, Freesia hybrida and Zantedeschia elliottiana, and by coexistence of carotenoids and flavonoids in Gerbera jamesonii, Helianthus annuus and Ranunculus asiaticus. Carotenoids that expressed yellow color in petals affected significantly on discoloration in pressed flowers containing carotenoids alone or both carotenoids and flavonoids. However, discoloration was hardly ever found in yellow-colored species as affected by flavonoids. Dark treatment was effective for almost perfect preservation in color of pressed flowers, while light treatment resulted in severe discoloration.

Changes in Extractives of Blue Stained Woods and Its Pulping (청변목재의 추출물함량 변화와 펄프화특성)

  • Cho, Nam-Seok;Lee, Jong-Kyu;Jeong, Sun-Wha;Pashenova, Natalia;Hop, P.T.B.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8
    • /
    • 2003
  • 변색목재의 화학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처리전.후의 유기용매추출물 함량에 있어서 소나무재 및 리기다소나무재 공히 노화 및 변색균처리포 그 함량이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는바, fatty acids와 sterols 은 3주간 노화처리로 10.6-11.2%, 변색균처리로 36-41.1%의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다. triglycerides도 3주간 노화처리로 5.68-9.4%, 변색균처리로 38.5-40.0%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다. resin acids의 경우 3주간 노화처리로 6.1-11.3%, 변색균처리로 36-41.5%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변색목재의 펄프화와 관련하여 소나무재 및 리기다소나무재의 크라프트펄프화결과, 알칼리펄프화에 비하여 펄프수율이 2-3% 높아졌다. 최적펄프화조건으로 활성알칼리농도 20%에서 펄프수율이 46.9-47.8%, reject율이 3.21-3.52%로 낮았다. 변색균처리한 목재도 활성알칼리 20%에서 펄프수율이 비교적 높은 43.5-45%를, reject율이 1.3-1.45%로서 변색균처리 모두에서 현저히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Museum Exhibit's Color Change by Lighting (조명에 의한 박물관 전시물의 변색 측정에 관한 연구)

  • Kim, Hoon;Kim, Hong-Bum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0 no.5
    • /
    • pp.43-51
    • /
    • 1996
  • An appropriate lighting standard for the museum is needed to minimize the deterioration of the exhibits by the light.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the standard, a system to measure the color change of the artifacts as a function of the radiation energy frequency was constructed. Xenon lamp is used as a light source, and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samples through serveral cut-off filters. Measuring the colors of the samples under each filters, color change of the samples is estimated for each frequency ranges of radiation energy. As a result, natural dyes show severe color change in a short time, but traditional papers shows relatively small color change. Using measured results, color change due to other light sources can be calculated and this will be the base of the standard.

  • PDF

Dyeing and Photochromic Properties of Golden Yellow Reactive Dyes (Golden yellow 반응성 염료의 염색성 및 광변색 특성)

  • Lee, Jung-Jin;Kim, Hyun-Sung;Shin, E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32-32
    • /
    • 2011
  • 염료의 포토크로미즘은 빛을 받았을 때, 염료의 분자구조가 변환되어 흡수파장이 달라지고 결과적으로 원래 색과 다른 색상을 나타내는 현상을 말한다. 대부분의 Golden yellow 색상을 나타내는 아조계 반응성염료는 Trans-Cis 간의 이성질체 전환을 통해 포토크로미즘 현상을 나타내며, 가역적으로 복색되기는 하지만 상업적으로 많은 문제와 불편을 초래한다. 한편 pyrazolone계 아조염료는 azo form 보다는 hydrazone form으로 더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로인해 상대적으로 Trans-Cis 이성질화가 잘 일어나지 않아 포토크로미즘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에서는 3종의 pyrazolone계 golden yellow 반응성 염료를 합성하고, 합성한 염료를 면직물에 염색하여 염색성 및 견뢰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아조계 golden yellow 반응성 염료 4종을 선정하여 역시 염색성과 견뢰도 특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7가지 염료의 광변색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포토크로미즘 평가방법인 ISO 105-B05법 및 이전 연구에서 제안된 광변색 평가방법을 사용하였다. ISO 105-B05법은 표준청색염포가 grey scale 4등급이 되는 시간을 구한 다음 이 시간의 1/4시간동안 조사한 후 포토크로미즘을 평가하는 것이며, 후자의 경우는 4시간동안 광조사된 시험편을 측색하고 시간에 따른 복색되는 정도를 평가한다. 합성한 pyrazolone계 염료들은 394-408nm의 최대흡수파장은 나타내었다. 7종의 yellow 반응성 염료들은 모두 면직물에 우수한 염색성 및 build-up성을 나타내었으며, 대체적으로 양호한 견뢰도를 얻었다. 또한 광변색 특성 평가결과 모든 염료들은 ISO 평가방법에 대하여 non-photochromic 특성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광변색 평가 결과 일부 염료들에 있어서 photochromic 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평가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 PDF

Detection of Discolored or Decayed Wood in Landscape Woody Plants by Internal Electric Resistance Measurements (내부 전기저항의 측정을 통한 조경수목의 변색 및 부후목재의 탐색)

  • 송근주;한심희;하태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1
    • /
    • pp.17-25
    • /
    • 2001
  • 본 연구는 조경수목의 목질 내부의 상태 진단과 변색 및 부후 부위의 탐색을 통하여 병든 부위를 조기에 제거. 병의 확산 방지 및 효율적인 예방관리를 위해 Shigometer의 이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지는 충남 천안시 성환흡 수향리에 위치한 연암축산원예대학으로 하였으며, 대학 구내에 식재된 조경수를 대상수종으로 하였다. 대상수종은 침엽수 7종과 활엽수 16종으로 총 23종을 선정하였다. 조사한 조경수목의 내부 전기저항치는 수종별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평균 내부 전기저항치가 500k$\Omega$이상인 수종은 은행나무, 섬잣나무, 소나무, 단풍나무, 중국단풍. 홍단풍이었으며, 개체간 차이와 측정 깊이에 따른 차이도 심하지 않았다. 그러나 메타세쿼이아, 수양버들, 자귀나무, 회화나무는 200k$\Omega$이하의 낮은 내부 전기저항치를 나타냈다. 측정 깊이에 따른 변화가 심한 수종은 전나무, 메타세쿼이아, 수양버들, 느티나무, 튤립나무, 목련, 일본목련, 핀오크, 벚나무등으로 이들은 측정 깊이에 따라 전기저항치가 갑자기 하락하는 부위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전기저항치가 갑자기 하락하는 부위의 목재는 부후되어 있었다. 결론적으로 Shigometer는 가시적인 피해증상이 나타나기 전 초기단계에서 목재의 변색 및 부후 부위를 찾아내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WHITENING EFFECT OF BLEACHING AGENTS ON TETRACYCLINE-STAINED RAT TEETH (테트라싸이크린에 의해 변색된 백서 치아에 대한 표백제의 표백 효과)

  • Shin, Dong-Ho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4 no.2
    • /
    • pp.364-371
    • /
    • 1999
  • 본 연구는 테트라싸이클린에 의해 변색된 백서 치아에 대한 3 종 표백제의 표백효과를 비교하고 표백제의 침투 깊이 (법랑질 두께)에 따른 표백효과의 차이를 판별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30 마리의 웅성 백서에 매일 2주 동안 테트라싸이클린 용액을 복강내 주입하였다. 디스크 형태의 32개 백서 치아 표본을 16 시간 동안 자외선으로 조사하여 변색을 야기시켰다. 대조군은 생리 식염수에 보관하였으며 실험군은 3종 표백제(Opalescence, Rembrandt, NiteWhite)에 하루 5회씩 2주간 노출시켰다. 치아 색상을 표백전, 표백 1일, 3일, 5일, 7일, 9일, 11일, 및 14일에 각기 기록하여 치아내 변색부와 정상 색상간의 색상차 (${\Delta}$E)를 판독하였다; 대조군 - 9.78, 9.17, 9.36, 9.65, 9.40, 9.99, 10.57, 11.36; Opalescence - 10.08, 7.63, 6.72, 6.04, 5.10, 4.87, 4.89, 4.27; Rembrandt -9.83, 11.27, 9.55, 8.36, 7.75, 6.94, 7.11, 7.04; NiteWhite - 10.44, 9.92, 7.58, 6.80, 5.45, 5.05, 4.73, 4.01. 표백된 모든 치아들의 색상이 밝아졌다. (p<.01) 테트라싸이클린이 주입된 56개 백서 치아를 3 일간 자외선에 조사한 다음, 3가지 유형의 표백제 침투깊이를 설정하였다. 설측 상아질과 순측 법랑질을 통한 침투 (DN), 순측 법랑질만을 통한 침투 (RE), 1.0 mm 두께의 사람 법랑질로 피개된 순측 법랑질을 통한 침투 (HE). 표본들을 Opalescence로 하루 5회씩 1주일 및 4 주간 표백한 후 횡단하여 치아 색상을 측정하였다. 표백되지 않은 치아들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치아내 변색부와 정상 색상간의 색상차 (${\Delta}$E)는 다음과 같았다. 대조군 - 11.67; 1주 DN 군 - 13.55; 1주 RE군 - 12.80; 1 주 HE군 - 12.07; 4주 DN군 - 7.48; 4주 RE군 - 7.50; 4주 HE군 - 11.69. 4주 DN군과 4주 RE군의 색상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p<.01)

  • PDF

Fungal Distribution and Varieties Resistance to Kernel Discoloration in Korean Two-rowed Barley (국내 육성 2조 겉보리 변색 종실에서의 곰팡이 분포와 품종 저항성)

  • Shin, Sang-Hyun;Seo, Eun-Jo;Choi, Jae-Seong;Kang, Chun-Sik;Lee, JungKwan;Park, Jong-Chul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19 no.3
    • /
    • pp.183-187
    • /
    • 2013
  • Barley kernel discoloration (KD) leads to substantial loss in value through downgrading and discounting of malting barle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fungal distribution and varieties resistance to KD in Korean two-rowed barley. Several fungal organisms including Alternaria spp., Fusarium spp., Aspergillus spp., Epicoccum spp. and Rhizopus spp. were isolated from Korean two-rowed barley representing KD. The symptoms of KD were brown and black discolorations of the lemma and palea.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fungal species was Alternaria spp. which exhibited 69.1% and 72.2% in 2011 and 2012, respectively. Epicoccum spp., Fusarium spp., and Aspergillus spp. were also detected. Fusarium spp., primary pathogen of barley head blight, were rarely occurred in the 2011 and their occurrence increased to 4.7% in 2012. Twenty cultivars of Korean two-rowed barely were evaluated to KD. The average percentage of KD was 8.0-36.0% in 2011 and 5.2-36.6% in 2012. Two cultivars ('Sacheon 6' and 'Dajinbori') showed KD of 6.2% to 8.8% and determined resistant, however 'Samdobori' and 'Daeyeongbori' demonstrating KD of 22.2-36.6% were highly susceptible. 'Jinyangbori', 'Danwonbori', 'Sinhobori' and 'Kwangmaegbori' showing KD of less than 15% were moderately resistant cultivar.

Electrospinning for Smart Acid-Sensitive Fiber Webs (지능형 산-감응 섬유웹을 위한 전기 방사)

  • 소정현;이선화;정재윤;윤기종;조재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259-260
    • /
    • 2003
  • Smart 재료는 외부의 환경에 따라 재료 스스로 주어진 자극을 판단하여 응답할 수 있는 재료를 말한다. 기존의 재료들이 갖는 수동적 응답 기능을 넘어서 생물체처럼 환경에 반응한다는 점에서 뛰어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변색성 염료도 이러한 smart 재료 중의 하나로 광, 온도, 화학물질, 전기장 등의 외부 환경 조건의 변화에 따라 색상이 바뀌게 할 수 있다. 대부분의 변색성 염료는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섬유나 필름에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는 항상 내구성이나 안정성 등에서 문제점을 갖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