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양 전이

Search Result 1,79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Relationship Between Tumor Angiogenesis, Stage and Prognosi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비소세포 폐암에서 종양 혈관신생과 병기 및 예후와의 관련성)

  • Lee, Won-Yeon;Kim, Chong-Ju;Shin, Pyo-Jin;Cho, Mee-Yon;Yong, Suk-Joong;Shin, Kye-Chul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50 no.5
    • /
    • pp.557-567
    • /
    • 2001
  • Background : Tumor angiogenesis is required for tumor growth and metastasi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nsity of angiogenesis and stage, nodal status, histologic type, metastasis and survival rate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Method : Formalin fixed, paraffin embedded surgical specimens of 45 patients who had surgically resected primary non-small cell lung cancers without pre or post 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were examined. The microvessel count(MVC) was demonstrat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CD31(platelet 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 PECAM). Results : Microvessel counts(MVCs) in stage IIIA and IIIB were higher than in stage I and II(p<0.05). The MVC in patients with lymph node metastasis was higher than that in patients without lymph node metastasi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However, in adenocarcinoma, the MVC in patients with lymph node metastas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seen in patients without lymph node metastasis(p<0.05). The MVC in adenocarcinoma was higher than that in squamous cell carcinoma(p<0.05). The difference between the MVCs of adeno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tage I and II or N0 stage(p>0.05). However, in stage IIIA and IIIB or N1~3 stage, the MVC in adenocarcinoma was higher than that in squamous cell carcinoma(p<0.05). MVC was more increased when metastasis developed within 12 months. In the same histologic type and stage, the duration of survival time in patients with high MVC was shorter than in patients with low MVC,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The survival rate in patients with high MVCs was lower than that in patients with low MVCs(P<0.05). Conclusion :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MVC correlated relatively well with pathologic stage, nodal status(limited in patients with adenocarcinoma), histologic type, postoperative metastasis and survival rate. However, in the same histologic type and stage, MVC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uration of survival. Therefore the assessment of the intensity of angiogenesi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may be helpful in predicting prognosis and in selecting patients for systemic adjuvant therapy of potential metastasis according to the results.

  • PDF

Short Term Result of Total en Bloc Spondylectomy in Spine Tumor (원발성 및 전이성 척추종양에 대한 전 척추 절제술의 단기 추시 결과)

  • Kim, Jae-Do;Jang, Jae-Ho;Park, Chan-Jae;Chung, Jae-Yoon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13 no.1
    • /
    • pp.37-42
    • /
    • 2007
  • Purpose: Because of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it is difficult to perform radical operation in spinal tumor. Numerous operations on primary and metastatic spinal tumor have been performed and among those total en bloc spondylectomy has produced decent clinical result.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have been analyzed based on five total en bloc spondylectomy on primary and metastatic spinal tumor.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one with primary and four with metastatic spinal tumors, from June 1997 to January 2006. Two of the four were originated form kidney. One was from breast and the other one was not identified. McAfee's 4 point scale, VAS and Frankel's classification have been used as clinical assessment of pain and neurological symptoms. Clinical assessment have been conducted for every 3 months after operation including local recurrence, bone union and complications. Results: Assessment of pain decreased from average of 3 before operation to 1.6 after operation in McAfee's scale and VAS decreased from average of 9.2 to 1.6. Neurological deficit after operation improved from C to D in Frankel's category. Local recurrence has been detected on metastatic adenocarcinoma of L4 during follow up. Conclusion: Total en bloc spondylectomy is evidently useful operational method for primary and metastatic spinal tumor since it completely decompresses spinal nerves, decreases axial pain immediately and improves the quality of remaining life.

  • PDF

Expression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N-myc Downstream Regulated Gene-1 in Hypopharyngeal Cancer (하인두암에서의 N-myc Downstream Regulated Gene-1 발현의 임상적 의의)

  • Sohn, In-Kyung;Han, Nam-Soo;Shin, Yoo-Seob;Kim, Jang-Hee;Kim, Chul-Ho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27 no.1
    • /
    • pp.22-26
    • /
    • 2011
  • 목 적 : 두경부 암은 발생 순위에서 전체 6위에 해당하는 다빈도 암이나 최근 20여년 동안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두경부 암의 독톡한 특성상 생존률에서 뚜렷한 향상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하인두 암은 원발 부위의 점막하 침윤이 흔하며, 주변 림프절 전이와 원격 전이가 흔하고, 2차 원발 암종 발생이 흔하여 두경부 암 중에서도 가장 불량한 예후를 보이고 있는 악성 종양이다. 최근에 이러한 암을 치료하고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분자생물학적 접근법들이 많이 시도 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로 N-myc downstream regulated gene-1(Ndrg-1)이라는 유전자가 유방, 전립선, 방광 암 등의 타 악성 종양에서 종양의 전이 및 진행 양상과 관련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하인두 암에서의 Ndrg-1의 발현 양상을 살펴보고 이와 임상 양상과의 연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6년부터 2003년까지 수술 받은 하인두 암 환자 56명을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시행하여 Ndrg-1 발현을 확인하였고, 3명의 신선 조직을 대상으로 RT-PCR,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결 과 : Ndrg-1은 RT-PCR에서 정상 조직과 악성종양 조직 모두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발현되었다. 그러나 Western blot에서는 정상 조직에서 뚜렷한 증가 양상을 보여 타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고, 이는 불필요하며 비효율적인 mRNA수준에서의 발현이 있지만 최종적인 단백 산물 발현에서는 암종의 진행과 연계되어 악성 종양 진행군에서 발현이 억제되는 결과로 해석된다. 면역조직화학검사에서는 정상 상피조직에서 Ndrg-1 발현이 확인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불량한 예후를 가진 그룹에서 대체로 발현이 억제되는 악성 종양과의 역 연관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림프절 전이를 보인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결 론 : 즉, 림프절 전이가 없는 그룹에서 Ndrg-1이 종양의 전이에 관여할 것이라는 타 연구와 일관된 결과로 하인두 암에서도 그 역할이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라 할 수 있다.

Total en Bloc Spondylectomy in Metastatic Spine Tumor (전이성 척추종양에 대한 전 척추 절제수술 - 증례 보고 -)

  • Chung, So-Hak;Kim, Jae-Do;Jang, Jae-Ho;Park, Chan-Jae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12 no.2
    • /
    • pp.148-154
    • /
    • 2006
  • Purpose: Numerous operations on primary and metastatic spinal tumor have been performed and among those total en bloc spondylectomy has produced decent clinical result, This article introduce 1 case of metastatic spine tumor of C3,C4 who treated with total en bloc spondylectomy.

  • PDF

Chest Wall Metastasis from Unknown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A case report - (원발성 종양의 증거 없이 발생한 간세포암종의 흉벽 전이 -1예 보고-)

  • Kim, Hyuck;Yang, Joo-Min;Kang, Jung-Ho;Kim, Young-Hak;Chung, Won-Sang;Chon, Soon-H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7 no.9
    • /
    • pp.809-812
    • /
    • 2004
  • Chest wall metastases from malignant tumors are rare and the majority of them are from adjacent structures such as the breast, lung, pleura, and mediastinum. Paticularly, chest wall metastases from distant organs are an even rarer event. There are few reports of chest wall metastasis with obscure or absent primary tumor. A 51-year-old man was diagnosed with metastatic hepatocellular carcinoma after an operation for a palpable mass on his left upper chest wall, At that time, there was no evidence of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in the liver after various examinations. We report a case of chest wall metastasis from unknown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Extragonadal Intraabdominal Mixed Germ Cell Tumor with Liver Metastasis: Successful Treatment and Long-term Follow-up (간 전이를 동반한 복강 내 성선 외 혼합 생식세포종양: 성공적인 치료 및 장기간 추적관찰)

  • Park, Jinyoung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v.19 no.1
    • /
    • pp.25-31
    • /
    • 2013
  • 성선 외 생식세포종양은 비교적 드물어 모든 생식세포종양의 5% 미만을 차지한다. 주로 천미부생식세포종양이 골반부나 후복막으로 확장된 경우가 대부분이며, 후복막이나 복강 내에 발생하는 생식세포종양은 매우 드물다. 저자는 복부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18개월 된 여아에서 간 전이를 동반한 복강 내 혼합 생식세포종양을 치료하였다. 복부 초음파 및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복부 좌상사분역에 석회화, 고형 및 지방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낭성 종괴와 간에 1cm 크기의 결절이 관찰되었다. 종괴는 개복 후 제거되었으며, 병리조직학적으로 대부분의 내배엽동 종양과 적은 성숙 기형종으로 구성된 혼합 생식세포종양으로 진단되었으며, 간의 전이병변도 동일하게 진단되었다.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으며, 환자는 현재 수술 후 10년이 경과하였으나 재발의 소견은 없다.

Resistance to Cisplatin Renders High Metastatic Potential in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Line (Cisplatin 내성을 보이는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서의 전이 능력 증가)

  • 차대원;김진국;손동섭;조대윤;양기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5
    • /
    • pp.377-385
    • /
    • 2001
  • 배경: Cisplain과 같은 세포돗성 약제에 대한 내성은 폐암 치료 실패의 중요한 원인이다. 이러한 항암제에 대한 내성의 발생기전은 복잡하고 아직 완전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불량한 예후의 원인으로 생각된다. 특히 약제 내성이 발생한 환자의 경우 기존의 종양의 급속한 성장뿐 아니라 새로운 전이 병소가 급속히 발생 및 진단됨은 약제 내성을 가진 종양이 전이에의 용이성을 획득하는게 아닌가 의심케한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Cisplatin에 내성을 지닌 비소세포폐암 세포주 H460/CISm이 전이 능력을 Cisplatin에 민감한 비소세포폐암 세로주 H460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약제 내성 세포주를 확보하기 위하여 H460세포에 cisplatin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처리한 후 배양하였다. H460 세포와 H460/CIS 세로에서의 혈관신생인자와 성장관련인 자의 발현양상, gelatin zymography 분석 그리고 in vivo 실험으로 nude 마우스에서의 자발적 전이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H460 세포를 이식한 마우스에 폐에서는 종양이 형성되지 않았으나 H460/CIS세포를 이식한 마우스 10마리중 8마리에서 종양이 형성되었다. 또한 H460/CIS 세포주에서 전이 관련 유전자로 알려진 angiopoietin-1,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matrix metalloproteinase 2 등이 더 발현되었고, 전이의 침습성을 유발하는 gelatinase의 활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여구 결과를 통해 cisplatin에 내성을 가진 비소세포폐암세포에서 전이 능력이 증가될 수 있다고 여겨지며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초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수술 전 항암약물요법의 타당성에 대해서 이야기 하기 위해서는 많은 임상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Predictors of Distant Metastasis in Adenoid Cystic Cancer of Salivary Gland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의 원격 전이 예측인자에 관한 연구)

  • Kim, Kang Woo;Kim, Yeon Soo;Oh, Kyoung Ho;Park, Min Woo;Cho, Jae-Gu;Baek, Seung-Kuk;Woo, Jeong-Soo;Jung, Kwang-Yoon;Kwon, Soon Young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30 no.1
    • /
    • pp.1-4
    • /
    • 2014
  • 배경 및 목적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은 느린 성장 속도와 늦은 원격 전이를 특징으로 하는 드문 상피성종양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임상 병리학적 변수를 통해 선양낭성암종의 원격 전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0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본원 이비인후과에서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으로 진단되어 치료 받은 44명(남자 19명, 여자 25명)을 대상으로 원격전이를 유발하는 위험 인자를 조사하였다. 8명의 환자는 배제 기준에 따라 제외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54세였다. 환자의 병리 보고서, 종양의 크기, T 병기, 수술 절제연의 종양 존재 유무, 신경 조직 침습, 림프절 전이가 조사되었다. 결 과 15명의 환자가 원격전이가 있었으며 21명은 원격 전이가 없었다. 원격 전이를 유발할 수 있는 여러 인자들을 비교하였을 때, 원격 전이는 수술 절제연의 종양 세포 잔존(p=0.014), 종양의 크기(p=0.038), 진행된 T 병기(p=0.024)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관성이 있었다. 림프절 전이와 신경 조직 침습은 원격 전이와 연관이 없었다. 결 론 종양의 크기, 진행된 T 병기, 수술 후 절제연의 종양 세포 잔존은 원격 전이의 예측 인자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에 해당하는 환자의 경우 더욱 철저한 관리 및 경과 관찰을 요한다.

Gomisin A Inhibits Tumor Growth and Metastasis through Suppression of Angiogenesis (Gomisin A의 신혈관형성 저해를 통한 종양 성장 및 전이 억제 효과)

  • Kim, Do-Yoon;Yu, Ho-Jin;Yoon, Mi-So;Park, Joo-Hoon;Jang, Sang-Hee;Lee, Hwan-Myu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2 no.9
    • /
    • pp.1224-1230
    • /
    • 2012
  • Cancer chemotherapy drugs command a large share of the market, and the development of new therapeutics with high efficacy and specificity is an active area of study. Recently, the development of cancer therapeutics from natural products targeting angiogenesis has drawn attention due to conventional chemotherapeutics showing serious side effects and resistance in cancer cel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armacological efficacy of Gomisin A, an active ingredient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tumor growth and metastasis. Administration of Gomisin A at 10 and 100 ${\mu}g/ml$ reduced tumor growth in vivo by $80.5{\pm}8.1%$ and $96.2{\pm}2%$, respectively, compared with positive tumor controls. Treatment of Gomisin A in normal and various tumor cell lines did not exert significant toxicity. Mice treated with Gomisin A at a concentration of 10 and 100 ${\mu}g$/head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umor-induced angiogenesis of $151{\pm}16.9%$ and $98.5{\pm}29.5%$, respectively. Furthermore, tumor metastasis analysis reveal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Gomisin A at a concentration of 10 and 100 ${\mu}g$/head inhibited tumor metastasis by $13.5{\pm}8.56%$ and $58.3{\pm}9.12%$, respectively. In addition, Gomisin A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adhesion of the B16BL6 cells to the extracellular matrix.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Gomisin A inhibits tumor growth via suppression of angiogenesis and tumor metastasis inhibition, without cellular toxicity. The pharmacological efficacy of Gomisin A suggests that it may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cancer dru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