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종분포

Search Result 4,52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Fish Fauna and Disturbance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 (오대산국립공원의 어류상과 어류교란)

  • Choi Jae-Seok;Choi Jun-Ki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9 no.2
    • /
    • pp.177-187
    • /
    • 2005
  • Fish fauna of mountain streams in the Odaesan National Park area was investigated from May to October 2004. A total of 2,580 individuals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into 26 species belonging to 9 families at the 25 sites. There were 8 Korea endemic species $(30.77\%)$, including Pseudopungtungia tenuicorpa, Silurus microdorsalis, Coreoperca herzi. Exotic species, Oncorhynchus mykiss was collected in this survey. Dominant species were Rhynchocypris kumgangensis $(37.17\%)$, and subdominant species was Rhynchocypris steindachneri$(23.02\%)$. Also Zacco platypus, Zacco temmincki, Oncorhynchus masou masou,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and Ladislavia tazanowskii were numerous. In spite of the geographical isolation by Taebaek-sanmaek, 8 species were introduced from the Han River systems to eastern water systems in Odaesan National Park.

Distribution and Northernmost Limit on the Korean Peninsula of Three Evergreen Trees (상록활엽수 3종의 한반도분포 및 자생북한계지)

  • Lee, Jung-Hyun;Choi, Byoung-Hee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0 no.4
    • /
    • pp.267-273
    • /
    • 2010
  • The distribution of three typical warm-temperate evergreen trees, Quercus acuta Thunb., 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and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were surveyed o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field and specimen investigations and the distribution maps of the three species were prepare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species correspond to the south coast floristic region in Korea, which includes the distributional areas of Jeju-do, Isl. Ulleung, the southern coastal areas, and the areas up to the islands around Incheon in the Yellow Sea. The northernmost limit of the distribution of Quercus acuta is Isl. Nap of Incheon in the west, and a new distribution was found at Isl. Ulleung in the East Sea; additionally, the limit of Neolitsea sericea is the Deojoek archipelago of Incheon. The northernmost limit of Machilus thunbergii is Isl. Daecheong of Incheon, which is the highest latitude among those of the three species. This distribution survey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Korea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limitation of floristic regions and as a bio-indicator of climatic change.

Investigation on Characteristics of Riparian Vegetation Distribution in Korean Rivers (국내 하천 수변식생의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Un Ji;Jiyoung J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23-523
    • /
    • 2023
  • 하천의 특성에 따라 활착하는 식생 및 형태는 다르며, 이러한 식생분포 특성은 다시 하천 수위와 유속 등에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식생과 하천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이를 하천환경을 개선하는 하천관리를 위한 정보로 도출하기 위해서는 하천에 서식하는 식생에 대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고 종합할 필요가 있다. 최근 기후변화와 강수 특성의 변화로 인해 국내 하천에서는 하천 규모와 위치에 관계없이 하도내 식생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하천 내 식생의 활착은 흐름저항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이는 홍수 발생시 통수능의 감소로 인해 결과적으로 홍수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수목 식생이 패치나 군락의 형태로 하천에 존재할 경우 적은 양으로도 흐름저항을 증가시켜 홍수피해 규모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식생이 흐름저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국내 하천에 서식하는 수변식생의 종별 특성과 패치와 군락 형태의 물리적 특성 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국내 하천에서는 패치나 군락 형태로 서식하는 수목 식생 중 버드나무가 우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하천에 분포하는 버드나무속 식생을 중심으로 입지 환경 및 군집 분포에 대해 조사하고 하천과 식생의 관계를 분석한 문헌들을 중심으로 그 결과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수변에 서식하는 버드나무 5종(왕버들, 선버들, 갯버들, 키버들, 버드나무)의 수목별 특성과 버드나무속의 특징, 연도별 하천별 버드나무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버드나무속은 종에 따라 개화기, 결실기, 수고 등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대체로 저수로 호안과 범람원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물환경정보시스템의 수변식생 자료(2014년부터 2021년, 2015년 제외)에 따르면 환삼덩굴, 쑥, 달뿌리풀이 매년 80% 이상의 출현률을 보이며 가장 상위에 존재하였으며, 버드나무속 식생 중에서는 버드나무(Salix koreensis)가 매년 60% 이상의 출현률로 가장 드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 Overview of Air Pallution Research in Korea (국내 대기오염의 연구현황과 전망)

  • 이태종;박원훈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1 no.1
    • /
    • pp.1-8
    • /
    • 1985
  • 국내 대기분야에 연구 발표된 논문중 국립환경연구소 초록집에 수록된 자료(1965 - 1984년)를 근거로 하여 국내 대기오염 연구 현황을 살펴보았다. 연구분야를 분류하였고, 연구분야별 논문분포, 년도별 $\cdot$ 분야별 논문분포 및 주요기관별 논문분포를 살펴보고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포도에 나타난 바로는 환경청이 설립된 1980년을 전후하여 연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대기오염절감 및 제거기술과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연구가 시급한 과제로 분석되어진다.

  • PDF

Data Analysis of Insulating Reliability Properties in Polymer for PCB (PCB용 고분자의 절연 신뢰도 특성 데이터 분석)

  • Park, Ge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289-29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인쇄회로기판(PCB)용 재료로 널리 사용되는 고분자에 대해서 와이블 분포 방정식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절연 신뢰도 특성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와이블 분포에 대한 분석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일반적으로 허용 절연 파괴 확률을 0.1[%] 이하라고 설정하였을 때, 첨가제 배합비를 5종으로 구분한 각 시편에 대해서 인가 전계의 허용치를 각각 계산할 수 있었다.

  • PDF

한국 연근해 황아귀의 분포특성

  • 박영철;안두해;차병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90-291
    • /
    • 2000
  • 우리나라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아귀류는 아귀과(Lophiidae)에 속하는 저서성 어류로서 황아귀, Lophius litulon(Jordan)와 아귀 Lophiomus setigerus(Vahl) 두 종이 알려져 있다. 황아귀는 주로 중국의 하북성, 산동성 연안, 한국 서해 및 제주도 서방 등 동중국해 북부 및 황해에 분포하고 아귀는 주로 동중국해 남부 및 필리핀근해 등에 분포한다(Seikai Regional Fisheries Research Laboratory, 1986). (중략)

  • PDF

Simulation of Packet Transmission Efficiency for Routing Algorithm on Torus-Networks (토러스 망에서 라우팅 알고리즘에 대한 패킷 전송 효율의 시뮬레이션)

  • 김현기;송호정;박준선;하기종;이천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6.05a
    • /
    • pp.10-14
    • /
    • 1996
  • 본 논문은 토러스 망의 패킷 전송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각 노드가 에지당 2개의 입·출력 큐를 가지는 라우팅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제시된 4가지 오름순차를 가지는 라우팅 알고리즘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하기 위해 도착분포와 서비스분포는 지수분포를 갖도록하여 교착상태가 없는 패킷 전송 효율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무교착 상태로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노드 큐의 크기를 알 수 있었고, 또한 입력 패킷 메시지의 분포에 따라 패킷의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한 버퍼의 크기를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동굴 환경에 따른 동물의 분포상에 관한 연구 - 백용동굴을 중심으로 -

  • 남궁준;김승태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9 no.30
    • /
    • pp.43-59
    • /
    • 1992
  • 동굴의 환경에 따라 동굴내부의 동물상은 차이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백용동굴을 중심으로 하여 환경에 따른 동물의 분포상태 및 동굴동물을 구분하였다 본 동굴의 동물상에 대하여는 과거에 남궁 준(1977.6, 1983.7), 남궁 준·백 남극(1979.12). 김 득수(1977.7, 1975.5), 남궁 준ㆍ조 규송(1989.8) 등에 의해 조사된 바 있고, 그 결과는 한국동굴보존협회의 "종합학술조사보고서(1979.12)", 한국자연보존협회 강원도 지부의 "강원도의 희귀자원 조사보고서 제4집(1987)", 강원도 평창군의 "백룡동굴 학술조사보고서(1989.12)"등을 통하여 모두 8강 24과 26속 28종의 동굴동물의 목록과 분포생태 등이 발표된 바 있다.(중략)

  • PDF

Nitrogenous Constituents in the Extract of Crabs caught in the Korean adjacent Sea (한국 근해산 주요 게 종류의 함질소엑스분에 관한 연구)

  • 한영실;이동수;김순임;변재형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2 no.4
    • /
    • pp.469-480
    • /
    • 1996
  • Nitrogenous constituents in the extract of 3 species of raw and boiled crabs, tenner crab (Chionoeretes opilio elongatus), horsehair crab (Erimacrus isenbecki), and blue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caught in the Korean adjacent sea,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ir compositions with the sex and the tissues, body meat, leg meat, and viscera. The crabs contained about 3% of the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in the tissues, meat and viscera. The free amino acid compositions were commonly featured a high content of arginine, taurine, proline, and glycine regardless of the differences in species and tissues. Free amino acids and quarternary bases were greatly increased in hot water extraction while nucleotides were slightly diminished. Glycine betaine and trimethylaminoxide were accounted for above 30% of the total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Arginine, taurine, proline, glycine, glycine betaine, and trimethylaminoxide which abundant in the meats and viscera of the crabs were estimated to greatly contribute directly or indirectly toward appearing the characteristic crabs taste.

  • PDF

토양환경정보시스템 '흙토람'

  • Hong, Seok-Yeong;Kim, Lee-Hyeon;Choe, Eun-Yeong;Jang, Yong-Seon;Hyeon, Byeong-Geun;Son, Yeon-Gyu;Park, Chan-Won;Song, Gwan-Cheol;Lee, Ye-Jin;Kim, Myeong-Suk;Jeon, Sang-Ho;Ha, Sang-Geon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3 no.1
    • /
    • pp.27-40
    • /
    • 2011
  • 토양정보는 식량생산, 지속적인 토지이용 계획, 종다양성 평가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자료이다. 우리나라 토양조사의 역사, 다양한 축척의 토양도 구축과 토양검정, 토양도와 토양검정 자료의 특성, 농업환경변동 모니터링을 통한 일반농경지 및 취약농경지 토양, 토양정보의 전산화에 따른 토양데이터베이스와 토양정보시스템 소개, 구축된 토양정보의 활용과 향후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40여년 동안 수행되었던 국책 토양조사사업 결과 두 종류의 토양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었는데, 다양한 축척의 토양도(1:250,000, 1:50,000, 1:25,000, 1:5,000)를 GIS DB로 전산화한 수치토양도 DB와 필지 단위로 조사된 화학성 위주의 토양분석 성적을 구축한 토양비옥도 DB이다. 흙토람(http://soil.rda.go.kr)에 서 제공하는 토양전자지도는 총 111종으로 토성, 경사, 지형, 모재, 배수등급, 자갈함량, 유효토심 등 토양 GIS 주제도 50종, 사과, 배, 마늘, 수박 등 작물 재배적지 61종이고, 82종의 토양통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에는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령에 따른 경작형태 및 오염원별 농경지 토양의 이화학성 및 농업용수 수질 조사 자료를 GIS DB로 구축하여 공간적인 분포와 시계열적인 변화를 분석하는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농업환경변동 정보는 농업환경자원 인벤토리를 기반으로 일반농경지의 화학성과 농업용수의 수질, 토양 미생물 등의 공간적인 분포와 시간적인 변화 정보를 전문가 그룹에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는 자연자원의 분포와 변동 정보를 바탕으로 보다 일반적이고 알기 쉽게 가공하여 일반인들에게 농업환경과 자연자원 보전의 중요성을 이해시키는 정보로 제공할 예정이다. 기존의 토양정보와 농업환경정보를 통합하여 컨텐츠를 보다 내실있게 하고 정보 수요자별로 손쉽게 목적에 맞는 접근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이끌어 가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