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졸참나무

검색결과 359건 처리시간 0.04초

식장산 산림식생유형과 세천계곡부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Secheon Valley Area and Forest Vegetation Types in Mt. Sikjang)

  • 황선미;윤충원
    • 환경생물
    • /
    • 제25권3호
    • /
    • pp.249-259
    • /
    • 2007
  • 식장산의 현존식생과 입지환경을 고려한 식생조사구 총 114개소를 설치하여 식생구조를 분석한 결과 산지림유형, 계곡림유형, 인공림유형의 3개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총 23개의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식생 분포는 사면상부와 능선부에 신갈나무군락이, 남사면에는 소나무군락과 굴참나무군락이 각각 분포하였으며, 신갈나무군락의 점유 면적이 34,213ha로 전체 면적의 31.9%로 가장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었고 계곡림은 좁은 면적에 매우 많은 군락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계곡림 유형에서는 졸참나무, 갈참나무, 물푸레나무, 고로쇠나무, 까치박달, 산딸나무 등의 수종들의 층위별 중요치가 높았다. 종다양도는 인공림유형의 물오리나무군락이 0.2191로서 가장 낮았고, 계곡림 유형의 종다양도지수가 약 0.9로서 가장 높았다.

일본 관동지역 2차림지대의 기상환경과 식물군락에 관한 연구 (Climatic Perturbation and Plant Livestock of a Secondary Forest in Kantou Area, Japan)

  • 이성기;안영희;이갑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0
    • /
    • 2004
  • 산지 개발로 인한 일본의 미나미아키가와 유역의 훼(Table Omitted)손 예정지에서 실시한 식물상의 조사 결과, 98과, 231속, 315종, 29변종, 8품종, 총 352분류군의 고등식물이 조사되었다. 이 가운데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11과, 12종, 2변종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지의 대부분은 삼나무와 편백나무의 조림지로 장기간의 시간적인 경과에 의해 일부 인공 조림지를 비롯하여 주변부에서 물참나무 군락, 졸참나무 군락, 온대성 낙엽 활엽수 맹아림 등의 전형적인 2차림으로 발전하였다. 이와 같은 전형적인 2차림의 산림 군락들은 금후 빠른 속도로 본 조사지역의 잠재자연식생이라 할 수 있는 일본젓나무-솔송나무림 혹은 삼나무림 및 너도밤나무림으로 자연스럽게 정상천이로 복원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조사 검토된 자료는 우리나라 남부의 지리산부근과 유사한 기상조건을 지니는 것으로 추후 한국과 일본간의 식생변이 비교에 기여될 것으로 사료된다.

속리산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I) -소나무림 보존계획-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Sokri(I) - The Conservation Planning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

  • 이경재;임경빈;조재창;류창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3-32
    • /
    • 1990
  • 속리산지역 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분석 및 보존대책을 위하여 20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l0$\times$10m 방형구 5개씩 설치)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에 대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방법과 DCA ordination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classification과 DAC ordination방법에 의한 군집분리가 명확하지 않았다. 추정된 천이과정은 교목상층에서는 소나무$\longrightarrow$졸참나무, 쇠물푸레나무, 갈참나무, 팥배나무, 산벚나무$\longrightarrow$서어나무, 까치박달나무의 순이었고, 교목하층에서는 개옻나무, 생강나무$\longrightarrow$쪽동백, 당단풍, 노린재나무$\longrightarrow$비목나무, 덜꿩나무의 순이었다. 속리산지역 소나무림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방해극상적인 생태적 관리방법에 의해 교목하층에 자라고 있는 활엽수를 제거하여야 한다.

  • PDF

춘천시 봉의산근린공원의 식생관리방안을 위한 식물군집구조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for Vegetation Management Planning of Bonguisan Neighborhood Park, Chuncheon City)

  • 이은석;한봉호;김종엽;이학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7-33
    • /
    • 2024
  • 본 연구는 춘천시가지 중심에 위치하고 시민들의 휴식 및 여가공간으로의 활용도가 매우 높은 봉의산근린공원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활용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봉의산은 삼국시대부터 춘천의 중심으로 산림이 지속적으로 훼손되었으며 현대에는 무분별한 도시개발로 생태계의 고립과 단절이 심화되었다. 봉의산근린공원의 현존식생 유형별 면적비율을 보면, 신갈나무는 28.5%, 신갈나무-졸참나무는 2.1%, 소나무는 15.6%, 소나무-신갈나무는 15.9%, 박달나무는 1.6%, 아까시나무는 5.9%, 잣나무는 1.6%이었다. 신갈나무는 남서, 북서, 남동사면에 분포하고 소나무는 동쪽과 남동사면 능선부에 분포하고 박달나무는 북동쪽의 계곡부, 충원사 북쪽 급경사지에 분포하였다. 식물군집은 총 6개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소나무군집(군집 I)과 상수리나무-아까시나무군집(군집 V)은 장기적으로 참나무류림으로 천이가 예상되었고, 신갈나무군집(군집 II)과 졸참나무-신갈나무군집(군집 III), 박달나무군집(군집 IV), 잣나무군집(군집 VI)은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고려한 목표식생 및 관리방안은 ① 자연경관 보전 및 개선형(소나무군집) ② 생태적 천이 순응형(낙엽참나무류군집) ③ 특이군락 보전형(박달나무군집) ④ 휴양 및 체험형(잣나무군집) 등 4가지 유형별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봉의산근린공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관리체계를 일원화하고 특히 생태적 보전 가치가 높은 소나무군집과 박달나무군집을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관리해야 할 것이다.

월출산국립공원 미왕재-천황봉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Miwangjae to Cheonwhangbong in Weolchulsan National Park)

  • 추갑철;김갑태;조현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4-121
    • /
    • 2006
  • 월출산국립공원 능선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미왕재-천황봉 구간 능선부에 방형구 ($2000m^2$) 11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11개 조사구는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때죽나무군집, 신갈나무-소나무군집 등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미왕재-천황봉 구간의 능선부는 대부분이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 지역에서 때죽나무, 소나무 등의 침엽수와 낙엽수종들이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산벚나무와 회잎나무; 졸참나무와 화살나무; 팔배나무와 화살나무, 함박꽃나무; 당단풍과 회잎나무; 철쭉과 회잎나무, 화살나무와 생강나무, 밤나무, 비목나무; 싸리와 산철쭉; 밤나무와 함박꽃나무; 함박꽃나무와 비목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철쭉과 화살나무; 싸리와 밤나무; 국수나무와 함박꽃나무; 산철쭉과 비목나무; 회잎나무와 함박꽃나무; 쇠물푸레와 사람주나무; 산벚나무와 조록싸리; 조록싸리와 비목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2.3225{\sim}2.7721$ 범위로 다른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났다.

월출산국립공원 월각산-도갑재 지역의 산림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the Region from Wolgagsan to Dogabjae in Weolchulsan National Park Korea)

  • 김갑태;추갑철;김정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2-129
    • /
    • 2006
  • 월출산국립공원 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월각산-도갑재 지역에 14개의 방형구 ($2000m^2$)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14개 조사구는 굴참나무-소나무군집, 신갈나무-상수리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월출산국립공원 월각산-도갑재지역은 대부분이 굴참나무, 소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등이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는 굴참나무와 소나무가 부분적으로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소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점점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굴참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등의 참나무류의 상대 우점치가 점차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 "상관관계에서는 굴참나무와 리기다소나무간, 때죽나무와 먹갈나무 및 상수리나무간, 리기다소나무와 비목나무 및 소나무간, 생강나무와 진달래간 자귀나무와 쪽동백나무간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감나무와 떡갈나무간, 굴피나무와 비목나무간, 노린재나무와 상수리나무간, 때죽나무와 쪽동백나무간, 리기다소나무와 생강나무 및 쇠물푸레 그리고 진달래간, 상수리나무와 자귀나무간 등의 수종들간에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1.2430{\sim}1.2892$로 나타났다.

지리산 서부권역 천연림의 산림피복형별 생태적 해석 및 종다양성과 지형조건 특성에 근거한 천이경향 추정 (Ecological Interpretation and Estimation of Successional Trend by Characteristics of Species Diversity and Topography for Forest Cover Types in the Natural Forest of Western Jirisan)

  • 정상훈;황광모;김지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537-546
    • /
    • 2014
  • 본 연구는 지리산 서부권역의 천연림을 대상으로 7가지로 분류된 산림피복유형(신갈나무 순림형, 신갈나무-졸참나무림형, 중생혼합림형, 구상나무-신갈나무림형, 들메나무림형, 졸참나무림형, 서어나무림형)별로 생태적 특성을 설명하고, 각 유형별로 천이경향을 추정하였다. 고도가 높은 능선에 분포하는 신갈나무 순림형과 구상나무-신갈나무림형의 종다양성지수가 가장 낮게 나왔으며, 계곡에 주로 분포하는 중생혼합림형과 들메나무림형의 종다양성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성과 지형조건을 바탕으로 추정한 산림피복유형들의 천이경향은 다음과 같다. 1) 능선부의 신갈나무 순림형과 구상나무-신갈나무림형은 신갈나무-구상나무림형으로, 2) 능선부과 산복부 사이의 신갈나무-졸참나무림형은 신갈나무-서어나무-까치박달림형으로, 3) 산복부의 졸참나무림형은 졸참나무-신갈나무-서어나무림형으로 천이가 진행 될 것이라 예상된다. 4) 주로 계곡에 분포하고 있는 중생혼합림형, 들메나무림형, 서어나무림형은 현재의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남부지역 졸참나무의 임분 특성에 따른 물리·역학적 특성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Quercus serrata according to Stand Characteristics in Southern Region of Korea)

  • 원경록;홍남의;이광수;정수영;유병오;박용배;정성호;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659-665
    • /
    • 2014
  • 목재의 조직, 물리, 역학적 특성은 토양조건과 기후변화 등의 환경적 인자에 의해서도 바뀌게 됨으로 남부 세 지역의 임분 특성이 목재의 재질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별 조직, 물리, 역학적 특성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의 졸참나무임지에 대해 임분 특성과 목재특성을 평가 분석하였는데 이들 간에는 대부분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남부지역의 졸참나무는 온대에서 난대로 기후가 변화하는 난대 지역의 산림자원으로 본 목재재질특성 분석결과 유용한 산림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울진군(경북) 불영사계곡지역의 현존식생 및 식생구조 (Actual Veget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the Bulyeongsa Valley Area in Uljin-gun(Gyeungbuk))

  • 강현미;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0
    • /
    • 2008
  • 울진군(경북) 불영사계곡은 자연생태계가 뛰어나고 금강소나무가 분포하는 곳이나 최근 국도 확장에 따라 자연생태계 정밀조사가 필요한 곳이다. 이에 불영사계곡 일대의 식생분포 및 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99개 조사구(단위면적 $100^2$)를 설치하고 식생분포 및 구조를 파악하였다. 상대우점치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울진불영계곡 일대의 식생은 소나무가 광범위하게 우점종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적으로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이 소나무와 경쟁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존식생조사 결과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는 군락은 소나무군락으로 전체 대상지의 47.75%를 차지하였고, 녹지자연도 분석결과 등급 8이 전체의 69.14%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울진 불영계곡 일대의 식생은 소나무가 광범위하게 우점종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적으로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이 소나무와 경쟁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릉(光陵) 삼림(森林)의 식물군집구조(植物群集構造)(I)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소리봉(蘇利峯)지역의 식생분석(植生分析)-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in Kwangnung Forest(I)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y of Soribong Area by the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 이경재;조재창;이봉수;이도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2호
    • /
    • pp.173-186
    • /
    • 1990
  • 광릉(光陵) 소리봉(蘇利峯)지역 삼림의 식물군집구조분석(植物群集構造分析)을 위하여 46개소에 조사지(1개조사지당 $10{\times}10m$ 방형구(方形區) 5개씩 설치)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에 대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방법과 4종류의 ordination(PO, PCA, RA, DCA) 방법을 적용하였다. Classification에 의하여 갈참나무-서어나무군집, 서어나무-갈참나무-소나무군집, 갈참나무-서어나무-까치박달나무군집, 까치박달-갈참나무군집 등 4개의 group으로 조사지가 분리되었다. Ordination에 의한 조사지분석에서는 DCA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4개의 group으로 분리되었다. 종에 대한 두 기법분석에 의해 추정된 천이과정(遷移過程)은 교목상층(喬木上層)에서 소나무${\rightarrow}$신갈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서어나무, 팥배나무${\rightarrow}$까치박달나무, 물푸레나무, 층층나무의 순이었고, 교목하층(喬木下層) 및 관목층(灌木層)은 진달래, 개옻나무, 참싸리, 병꽃나무${\rightarrow}$참개암나무, 생강나무${\rightarrow}$고추나무, 작살나무, 괴불나무의 순이었다. 환경인자(環境因子)의 ordinationqnstjr에 의하면 소나무군집에서 까치박달나무군집으로 갈수록 토양산도, 유기물함량, 전질소함량, 치환성양이온함량등의 토양성질들이 양호하여졌다. 서어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등은 까치박달나무, 층층나무와 상이한 niche에 존재함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