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직 거버넌스

Search Result 13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분산원장시스템 거버넌스 국제표준화 동향과 이슈

  • Kim, Jungduk;Kim, Jinuk;Yang, Insun
    • Review of KIISC
    • /
    • v.30 no.4
    • /
    • pp.61-67
    • /
    • 2020
  • 블록체인을 포함하는 분산원장기술은 신뢰할 수 없는 네트워크 상에서 공동으로 거래 정보를 검증하고 기록, 보관함으로써 원장의 무결성과 신뢰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제반 응용시스템이 실세계에서 적용되고 확산되기 위해서는 거버넌스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거버넌스란 특정 조직내에서의 지시와 통제활동이라고 할 수 있는데, 분산원장시스템의 경우, 다양한 조직 또는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으며 거버넌스 체계도 분산 또는 탈중앙화된 형태로 존재하므로 기존의 조직 거버넌스 체계와 다른 특성과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SO TC 307에서 진행하고 있는 분산원장시스템 거버넌스 표준화 활동을 소개하고 향후 전망과 대응방안을 검토한다.

분산원장시스템 거버넌스 국제표준화 동향과 이슈

  • Kim, Jungduk;Park, Jinsang
    • Review of KIISC
    • /
    • v.29 no.4
    • /
    • pp.55-60
    • /
    • 2019
  • 블록체인을 포함하는 분산원장기술은 신뢰할 수 없는 네트워크 상에서 공동으로 거래 정보를 검증하고 기록, 보관함으로써 원장의 무결성과 신뢰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제반 응용시스템이 실세계에서 적용되고 확산되기 위해서는 거버넌스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거버넌스란 특정 조직내에서의 지시와 통제활동이라고 할 수 있는데, 분산원장시스템의 경우, 다양한 조직 또는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으며 거버넌스 체계도 분산 또는 탈중앙화된 형태로 존재하므로 기존의 조직 거버넌스 체계와 다른 특성과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SO TC 307에서 진행하고 있는 분산원장시스템 거버넌스 표준화 활동을 소개하고 향후 전망과 대응방안을 검토한다.

정보보호 거버넌스와 블록체인 거버넌스 국제표준 주요 내용과 구현 이슈

  • Kim, Jungduk
    • Review of KIISC
    • /
    • v.32 no.4
    • /
    • pp.127-134
    • /
    • 2022
  • 조직 또는 기술경영에 대한 주요 의사결정(Directing)과 통제활동(Controlling)을 의미하는 거버넌스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면서 조직에서의 정보기술 또는 정보보호 활동에 대한 거버넌스 표준과 블록체인 또는 인공지능 등 혁신적 디지털 기술에 대한 거버넌스 표준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ISO/IEC JTC 1 SC 27에서 작업한 정보보호 거버넌스 지침(ISO 27014, 2nd 버전, 2020.12)과 ISO/TC 307에서 작업한 블록체인 거버넌스 지침(TS 23635, 2022,02)에 대한 주요 내용과 함께 국내에서 두 가지 거버넌스 체계를 구현하기 위한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슈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Process Governance Meta Model and Framework (프로세스 거버넌스 메타모델과 프레임워크)

  • Lee, JungGyu;Jeong, Seung Ryul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0 no.4
    • /
    • pp.63-72
    • /
    • 2019
  • As a sub-concept of corporate or organization governance, business governance and IT governance have become major research topics in academia.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process as a construct for mediating the domain between business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on process governance is relatively inadequate. Process Governance focuses on activities that link business strategy with IT system implementation and explains the creation of corporate core values. The researcher studied the basic conceptual governance models of political science, sociology, public administration, and classified governance styles into six categories.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series of metamodels. For examples, the traditional Strategy Alignment Model(SAM) by Henderson and Venkatraman which is replaced by the neo-SAM model, organizational governance network model, sequential organization governance model, organization governance meta model, process governance CUBE model, COSO and process governance CUBE comparison model, and finally Process Governance Framework and etc.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SAM and neo-SAM model is Process Governance domain inserted between Business Governance and IT Governance. Among several metamodels, Process Governance framework, the core conceptual model consists of four activity dimensions: strategic aligning, human empowering, competency enhancing, and autonomous organizing. The researcher designed five variables for each activity dimensions, totally twenty variables. Besides four activity dimensions, there are six driving forces for Process Governance cycle: De-normalizing power, micro-power, vitalizing power, self-organizing power, normalizing power and sense-making. With four activity dimensions and six driving powers, an organization can maintain the flexibility of process governance cycle to cope with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Process Governance competency model and Process Governance variables. The situation of the industry is changing from the function-oriented organization management to the process-oriented perspective. Process Governance framework proposed by the researcher will be the contextual reference models for the further diffusion of the research on Process Governance domain and the operational definition for the development of Process Governance measurement tools in detail.

Water Governance and Basic Water Law (물거버넌스와 물관리기본법)

  • Lee, Seung-Ho;Kim,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85-389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물거버넌스 개념과 1997년, 2006년 물관리기본법안 분석을 통해 한국의 새로운 물관리 체제를 모색하는 것이다. 물거버넌스는 물관리정책과 계획의 수립, 시행, 평가에 있어 정부뿐만 아니라 일반 기업, 시민, 환경단체, 전문가 등 여러 이해당사자를 참여시키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거버넌스란 기존의 정부 주도의 정책 계획, 수립, 시행이 아닌 비정부 조직과의 타협, 협의, 논의를 통한 양방향 정책결정 과정을 뜻한다. 따라서 물거버넌스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다양한 이해당사자 참여를 통한 정책결정의 복수화 과정이다. 한국의 물거버넌스를 시행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요건은 이해당사자 참여를 우선 중앙, 지방정부에서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법, 제도 등을 통해 제도화하는 것이다. 환경부 주도로 입안된 1997년 물관리기본법안은 물관리일원화, 적정사용, 유역관리, 비용부담, 균형배분의 5원칙을, 2006년 물관리기본법안은 물관리일원화 대신 통합물관리, 적정사용 대신 수요관리를 삽입하여 5원칙을 제시하였지만 이해당사자 참여는 원칙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이해당사자 참여 원칙의 제도화가 없이는 위의 두 법안이 제시한 원칙의 적용과 시행이 어려움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다른 원칙은 다양한 이해당사자 참여를 통한 사회적 합의 없이는 시행이 쉽지 않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항들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물의 균형배분 원칙 관련, 만약 상류와 하류 주민 간의 합의가 없이 어느 한 이해당사자의 일방적 행위가 있을 경우 큰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물거버넌스을 실행하기 위해 중앙에 필요한 조직은 물이용 관련 물분쟁 발생 시 이를 조정하고 국가물관리계획을 수립하며 물관리 문제 전반을 총괄하는 조직이다. 1997년, 2006년 기본법안은 국가물관리위원회 설치를 제시하였고 2006년 기본법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위상, 운영, 역할 등에 대해 언급하였다. 하지만 국가물관리위원회는 물관련 중앙부처의 장, 지방행정조직의 장만을 포함하여 유역관리를 책임질 유역관리조직의 장에 대한 언급이 없다. 물거버넌스 실현을 위한 유역관리 시행이 바람직하기에 유역관리조직의 장도 국가물관리위원회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 기본법안 모두 국무총리실 산하에 위원회를 속하게 하였는데 이를 수정하여 대통령 직속기구로 규정하는 것이 국가물관리위원회가 정치, 행정, 재정적 압력에서 벗어나 일관성 있는 정책을 펼 수 있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또한 지방의 물문제를 물관리계획에 적절히 반영하고 대응방안을 수립, 시행하기 위해서는 정부 관료뿐만 아니라 지방의회 의원, 환경단체, 기업, 시민, 전문가 등의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유역위원회가 필수적이다. 또한 유역 관련 물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을 추진하는 유역관리청도 필요하다. 유역위원회와 유역관리청은 유역 내 여러 이해당사자들이 물관리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고 토론하며 합의점에 이르는 거버넌스를 수립할 수 있는 중요한 조직이다. 두 기본법안은 유역관리 원칙을 제시하긴 하였지만 유역관리 시행 관련 조직, 역할, 운영 등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었다. 한국의 물관리는 소득, 문화 수준 향상으로 인한 양질의 물공급에 대한 요구, 시민사회의 발전, 지방분권화 등 정치, 경제, 사회의 변화를 수용하고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여러 이해당사자의 참여와 합의에 바탕을 둔 물거버넌스 수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이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물관리기본법을 하루 속히 제정하여 제도적 기반을 갖춰 보다 효율적인 물관리시스템을 수립해야 한다.

  • PDF

A Study on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Implementing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정보보호 거버넌스 구현을 위한 핵심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Kim, Kun-Woo;Kim, Jung-Du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8 no.4
    • /
    • pp.97-108
    • /
    • 2010
  • Nowadays,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which is an integral part of corporate governance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protecting valuable business information assets. However, there are few organizations which have implemented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because of its abstract concept.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CSFs for implementing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Ten CSF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ISO/IEC 27014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Framework.

  • PDF

Building SOA Governance relating with EA Governance (EA 거버넌스를 고려한 SOA 거버넌스의 구축)

  • Choi, Jong-Sup;Kim, Hee-Taek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230-235
    • /
    • 2007
  • 현대의 조직은 급격한 업무 환경의 변화와 극심한 경쟁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보기술에 상당부분 의존하고 있다. 업무 체계가 다양하고 복잡해지면서 이들 체계 간의 연계를 효과적으로 하여 조직의 전략들 달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또한 업무의 민첩성과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보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전사적 아키텍처(EA)와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가 각광을 받고 있으나, 이들은 일회성 프로젝트로 추진하여서는 섬과를 얻을 수 없으며,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뭐하여 EA 거버넌스와 SOA 거버넌스가 필요하다. 이들 간의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고려하며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를 설명하였다.

  • PDF

국내 대기업들의 IT 거버넌스 분석: 비교 사례 연구

  • Jo, Hang-Jeong;Song, Chan-Hu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816-826
    • /
    • 2008
  • IT 거버넌스(Governance)는 IT 관련 의사결정에 있어서 기업 내부 주체들의 권한과 책임, 의사결정 조직체계와 프로세스, 의사소통 방법, 의사결정 실현 체계, 조정과 통제, 그리고 의사결정에 대한 사후 평가 등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IT가 기업 경영의 필수 인프라로 인식되고, 기업의 경쟁력 제고의 핵심 역량으로 자리잡으면서 IT 거버넌스의 중요성은 점차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IT 거버넌스를 분석하였다. 4개의 국내 대기업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바탕으로, 이들 기업들이 어떤 조직 체계와 과정, 의사소통 체계, 그리고 성과 측정 방법 등을 가지고 IT 관련 의사결정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국내 대기업들은 IT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IT 서비스 계열사를 이용하여 IT 기능을 아웃소싱하고 있었으며, IT 관련 최종 의사결정은 IT 전문 조직이 아닌 비즈니스를 담당하고 있는 경영자들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기업들의 IT 서비스에 대한 계약과 성과 측정은 서비스 수준 협약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국제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과 균형성과 기록표 등도 널리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 대기업 내의 IT 서비스 전문 기업들의 미래 역할 정립과 정부 기관이나 공기업들의 IT 거버넌스 체계 확립에 있어서 벤치마킹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국내 대기업들의 IT 거버넌스 체계의 효율성 등을 측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 PDF

A Study on Collaborative Governance: Focusing on the Cultural Heritage Guardians (문화재지킴이 정책의 협력적 거버넌스 운영 체계 연구)

  • Jang, Youngki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4 no.1
    • /
    • pp.184-205
    • /
    • 2021
  • Governance is valued as a new concept and principle of social operation and public policy management, and its influence is gradually expanding. Among the various governance theories being put into practice and in case analysis studies, collaborative governance embracing various governance concepts has been found to increase interdependence and responsibility beyond participation and compromise, and create new public values by integrating and utilizing optimal social coordination forms. In the field of cultural assets, governance-related research is also being conducted for the efficiency, sustainability, and scalability of public policy enforcement. This study explored the government's role (promotion, arbitration, and condition creation) in collaborative governance, focusing on the "Cultural Heritage Guardians" to understand how collaborative governance operates in the cultural heritage sector. Regarding governance policies in the cultural asset sector, the cultural asset guardians highlighted the status, role, and characteristics of policies by examining their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private-led, horizontal public-private cooperation, collaborative governance, policy introduction, solidarity, professionalism, resource/knowledge imbalance, cooperation precedence, etc., facilitate increased participation. The government has accordingly proposed measures to establish comprehensive legal stability centered on cooperation; strategic reorganization of dedicated organizations; strengthened, supportive intermediate organizations; and individual and multi-party consultative bodi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sortium Blockchain Governance Framework (컨소시엄 블록체인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Jin-Sang;Kim, Jung-Du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8
    • /
    • pp.89-94
    • /
    • 2019
  • Due to the limitations of public and private blockchain, several organizations are implementing consortium blockchain systems. In order for an organization to conduct business using blockchain, it must consider 'blockchain governance' factors, such as decision rights, accountability and incentives over on-chain and off-chain,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s strategy and objectives. If an organization conducts business without blockchain governance, it cannot achieve its strategy and objectives systematically, effectively and efficiently, and cannot comply with internal external requirements such as the expectations of stakeholders and laws. However, as businesses using consortium blockchain expand, there is no research on consortium blockchain governance. Thus, in this study, the consortium blockchain governance framework, including functions, roles and responsibilities, was developed to help organization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conduct business using consortium blockchain. In addition, to review the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consortium blockchain governance framework, the framework was reviewed through an advisory committee consisting of experts on blockchain and governance over two occasions. As a result of the review, components of the consortium blockchain governance framework, including functions, roles and responsibilities, were considered complete and relev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