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직의 성격특성

Search Result 9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eating alone'(honbob) lifestyle (직장인의 '혼밥' 유지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 Hye Jin Kwon;Younga Ju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4 no.4
    • /
    • pp.657-68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on 'eating alone'(honbob)and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lifestyle of eating alone for the need of a non-judgmental understanding on the new 'honbob' lifestyl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male and female workers in Seoul and Gyeonggi-do, who voluntarily eat alone over 70% of their meals per week with the minimum duration of 5 year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grounded theory proposed by Strauss & Corbin (1998) i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a paradigm model on the process of maintaining 'honbob' was derived. Based on categorical analysis, the causal condition was 'not trying to tune' and the central phenomenon was 'following the desire to set efficiency as the top priority. Contextual conditions were 'the atmosphere of fierce competition', 'weakening of organizational culture', 'diffusion of individualistic culture'.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personal trait and emotional experience', 'job characteristics of less organization culture'.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accepting internal conflicts', 'acting in autonomy', 'finding relationship through media', and 'distancing from superficial relationship'. The consequences were 'enjoying time for self-exploration', 'valuing self-care', 'becoming a epicurean conventionalist', and 'becoming aware of the need for balance'. The core category has been shown as 'self-oriented in accordance to priority of efficiency and being able to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social group'. The Such phenomenon passes through four different stages - first, the stage of weighing time efficiency while beginning hon-bob; second, the stage of conflict when one feels nervous and not free from others' view; third, the stage of adjustment to justify his/her 'hon-bob'; and the final stage of balance to perceive the importance of social group while going on 'honbob'. The study had the aim of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the new 'honbob' lifestyle through an in-depth exploration of office worker's 'honbob' experience and the process of maintaining 'honbob' so the society can better accept it and, further, to embrace co-existence of various cultures.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A Study of Power Perception between Supplier and Retail Buyer of Agricultural Products (농산물공급자와 대형소매업체 바이어간의 상호 파워 인식에 대한 연구)

  • 서성무;이은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2a
    • /
    • pp.123-166
    • /
    • 2003
  • Marketing channel is recognized as one of the society systems which have the character of functional organization. These organizations are related to each other for specialized and cooperative work. Channel members in distribution channel are striving to accomplish exchange through reciprocal action. Thus channel members exercise their power to take better position in exchange. There will be struggling between members about satisfaction and conflict during this power exercise. Now a days, buyers use more harsh power as large retail firms are increasing. This phenomenon is occurring in the distribution channel. However, there will be different phenomenon in case of agricultural products. Not like industrial product suppliers, agricultural product suppliers have various supply channels and many agricultural products are seasonal. It has also unstable amount supplies. There should be differentiated marketing in agricultural products. Relatively weaker powered suppliers have to strengthen comparative factors and also have to be technically specialized through assessed experience in order to establish strong product sales chain. Making a brand of agricultural product would be also a good idea to increase the product comparability. Channel members need to be recognized their specialized functions in order to make balanced distribution channel. There have to be conversion of concept of relation between suppliers and buyers from subordinate relationship to cooperative relationship.

  • PDF

An essay on appraisal method over official administration records ill-balanced. -For development of appraisal process and method over chosun government-general office records- (불균형 잔존 행정기록의 평가방법 시론 -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평가절차론 수립을 위하여 -)

  • Kim, Ik-Han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13
    • /
    • pp.179-203
    • /
    • 2006
  • This study develops the process and method of official administration documents which have remained ill-balanced like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un(the pro-Japanese colonial government (1910-1945)). At first, the existing Appraisal-theories are recomposed. The Appraisal-Theories of Schellenberg is focused valuation about value of records itself, but fuction-Appraisal theory is attached importance to operational activities which take the record into action. But given that the record is a re-presentation of operational activities, the both are the same on the philosophy aspect. Therefore, in the case that the process - method is properly designed, it can be possible to use a composite type between operational activities and records. Also, a method of the Curve has its strong points in the macro and balanced aspect while the Absolute has it's strength in the micro aspect, so that chances are that both alternate methodologies are applied to the study. Hereby, the existing Appraisal theories are concluded to be the mutually-complemented things that can be easily put together into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and its situation, in the terms of the specific Appraisal methodology. Especially, in the case of this article dealing with the imbalance remains official-documents, it is necessary to compromise more properly process with a indicated useful method than establishing a method and process by choosing the only one theory. In order to appraise the official-documents of the pro-Japanese colonial government (1910-1945), a macro appraisal of value has to be appraised about them by understanding a system, functions and using the historical-cultural evolution, after analysing Disposal Authority. From this, map the record so that organization function maps are constructed regarding the value rank of functions and detailed-functions. After this, establish the appraisal strategy considering the internal environment of archival agencies and based on micro appraisal to a great quantity of records remained and supplying other meaning to a small quantity of records remained for example, the oral resources production are accomplished. The study has not yet reached the following aspects ; a function analysis, historical decoding techniques, a curve valuation of the record, the official gazette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Chosun( the pro-Japanese government for 1910-1945), an analysis method of the other historical materials and it's process, presentation of appraisal output image. As the result, that's just simply a proposal and we should fill in the above-mentioned shortages of the study through development of all the up-coming studies.

The Leadership in Korean Confucianism and its Modern Characteristics : Chíjìng(持敬) to Zhìzhì(至治), the Leadership Wisdom (한국 유학의 리더십과 그 현대적 특징 - 지경(持敬)에서 지치(至治)로, 지혜의 리더십 -)

  • Kim, Dong-Min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23
    • /
    • pp.7-65
    • /
    • 2008
  • The object of this essay is to apply the Leadership Theory, current interest in Asian Philosophy, to Korean appliance. This is to associate contemporary Leadership Theory with Chosun Confucianism in order to discover the Korean Leadership Prototype, and seek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for modern usage. The essay uses two analysis models. The tools used for the methodology consists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 as one axis and ruling out the roles in order to develop the discussion as the other axis. First axis is the process of the leader setting the identity and strengthening the ability to successfully deploy his/her leadership. The second axis is comprised of four specific fields where the leadership is deployed. The four sectors are Self Sector, Relationship Sector, Team Sector and Community Sector. Core values of each sector have been set up and specific competences have been presented. In the Self Sector, $zh{\grave{i}}x{\bar{i}}n$(治心) and $ch{\acute{i}}j{\grave{i}}ng$(持敬) have been set as core values and $l{\grave{i}}zh{\grave{i}}$(立志) and $sh{\acute{i}}x{\bar{i}}n$(實心) as their competences. In the Relationship Sector and Team Sector, circumstances(時宜) and $sh{\acute{i}}sh{\grave{i}}g{\bar{e}}ngzh{\bar{a}}ng$(實事更張) were set as core values, accordingly. Lastly for the Community sector, the core value, 'Ideal Leader and the Visions of and Ideal Community', was conceptualized as '$m{\grave{ui}}m{\acute{i}}nzh{\grave{i}}zh{\grave{i}}$(牧民至治)'. The leadership is then expanded from the Self Sector to the final stage through its processes. Through this research, it can be found out that the Korean Leadership Model is not rigid to just cover a specific point in time or situation, but embraces many contemporary leadership concepts, thus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rehensive leadership theory.

The Landscape Meaning and Literary Group Culture Carved in Danguedae and Samgaeseokmun of Imshil (임실(任實) 단구대(丹丘臺)와 삼계석문(三溪石門)에 새긴 의미경관과 단구구로회(丹丘九老會)의 아회(雅會)문화)

  • Lee, Hyun-Woo;Lee, Jung-Han;Rho, Jae-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29 no.4
    • /
    • pp.170-181
    • /
    • 2011
  • This Research will explore the meaning indicated in the landscape meaning and feature of literary group culture, focusing in Gurujeong(九老亭: pavilion for nine elders) and Samgaeseokmun(三溪石門: stone gate in three valleys) located in Dundeok-myun, Imshil-gun, and will seek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by studying the cultural landscape spread out in the area. The place where Gurojeong and Samgaeseokmun is located is the meeting point of the three valleys, Dunnam stream, Osu stream, and Yul stream, which is the main location to view the beautiful scenery, which has the nickname as the dwelling place of a celestial being. Especially, based on the description of old maps, "Samgae(three valleys)" and "Samgaeseokmun" possesses significance as a landmark and show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landscape structures of low hills. Dangugurohwe(丹丘九老會: nine elders gathering on the dwelling of a celestial being) originated from Hyangsangurohwe(香山九老會: gathering of nine elders on a fragrant mountain), where Baekgeoi(白居易) of China was one of the main people. This group was organized by nine elders over the age of 60 desiring to view the scenery of Doyeonmyeong. The group enhanced the literary spirit on the low hill, erecting a tower, and enjoying the beautiful scenery changing every season with scholars from the same region. This phenomenon seems to have been formed upon the positive response to gatherings of elders, which were prevalent in the Joseon Dynasty. If the internal idea pursued by the group was "longevity," the external idea pursued can be summarized as "the spirit the respect for the elders." Naming the groups as 'Dangudae(place where the celestial being lives), Guseondong(valley of seeking a celestial life), Bangjangsan(mountain of a high priest), and Daecheondae(place of communicating with God) was likely a device to introspect oneself and symbolize one's life process. Furthermore, the reason Samgaeseokmun, which is an imitation of Choi, Chiwon's work, was built near Soyocheo, was probably to yearn the celestial land and based on the desire to follow Choi, Chiwon, who was the most self-fulfilling being presumed to have become a celestial being by practicing the pursuit of freedom, escaping from the reality. After tracing the symbolizing meaning of the four letters carved in the left side of the stone wall of Dangudae, the conclusion that this place was not only a place for literary gatherings of the nine elders of Saseong(four families), but was a place where the celestial being dwelled could be inferred. Corresponding with Dangudae and Gurojeong, which are places where the order of human and nature is harmonized and where its meaning associated with the location intensifies, arouses strong bond, can be said to be the symbol of the traces of celestial beings where the spirits of attachment to a certain place is embedded. The acts performed in Dangugurohwe were those of traditional leisure including strolling, viewing the scenery, drinking, composing poems, and playing instruments, and sometimes listening to stories, tea ceremony, prayers, and fishing were added, which indicates that the gathering had a strong tendency towards pastoral and hermit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