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절수문

Search Result 24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Basic Survey for Optimum Frequency Estimation & Design Method of Detention Facilities (저류시설의 적정 수문량산정 및 설계기법 기초조사)

  • Seo, Kyu-Woo;Kim, Dai-Gon;Kim, Nam-Gil;Sim, Bong-Joo;Won, Ch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52-757
    • /
    • 2006
  • 유역 내의 지속적인 개발과 도시화로 유출량이 증가하면서 하도의 통수능을 초과하게 됨에 따라 제방을 증고하게 되고 특히 하류부로 갈수록 유량의 급격한 증가로 제방고를 높여야 하는 악순환이 반복되었다. 이에 따라 유역의 홍수량을 하도 이외의 유역 내에서 분담하고 하도 중심의 치수 대책이 아닌 유역 전체에서 홍수를 제어해야 한다는 유역종합치수대책이 중요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유출저감시설은 이미 개발된 도시유역의 홍수량을 조절하는 데 유용할 뿐 아니라 새롭게 개발이 시행되는 유역에서는 개발로 인한 홍수 증가량을 분담하는 수단으로써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일률적으로 임시 및 상시 저류지 등의 빈도설계를 통하여 개발 이후의 첨두유량이 개발 이전의 첨두유량 보다 크지 않도록 우수배제시스템을 설계하고 있으나 저류지와 같은 유출저감 시설을 유역출구에 설치함으로써 첨두유량만을 개발이전의 수준으로 유지할 뿐 여전히 유출량의 증가 및 홍수 도달시간이 빨라지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재해영향평가제의 법적 테두리안에서 개발사업으로 인한 증가된 홍수 저감대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몇가지 개선방안을 제시, 연구하고자 한다. 즉, 사업지구 하류하천 규모를 감안한 저류지의 적정 설계빈도의 채택과 저류지의 다목적 이용방안에 대해 검토하여 홍수재해로부터 안전하고 환경친화적인 개발사업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코자 한다.

  • PDF

A Study on Storage Analysis of Topyeong Stream Watershed by Washland Construction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토평천 유역의 저류량 분석)

  • Kim, Jae Chul;Yu, Jae-Jeong;Kim, Sangd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0 no.2
    • /
    • pp.39-51
    • /
    • 2008
  • In recent days, the cases of using wetlands in treating waste water, storm events, mining leachate, and agriculture effluents are increasing. But there is the lack of the data for wetlands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long term monitoring. Such an aspect makes the proper use of wetland impractical.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generating a long term hydrologic data, the time series of storage amount for Upo, Mokpo, Sajipo, and Jjokjibeol in Topyeong watershed is simulated using SWAT model. Based on the SWAT-Topyeong model involved in several scenarios for constructing new washlands in Topyeong watershed, the temporal behavior of new washlands is analyzed. It is also revealed that the constructed washland can affect the Upo in some degrees.

  • PDF

A Analysis of the Interior Flood Waters according to the Wash Board in Cheonggye stream using SWMM (SWMM을 이용한 물막이 판에 따른 청계천 유역의 내수침수 분석)

  • Jo, Bae-Goon;Bae, Deg-Hyo;Yoon, Seong-Sim;Tranh-An, Phu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52-185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청계천 물막이판 설치로 인한 유역의 내수침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강우시 청계천 유역내 수문열림으로 인한 양안의 복개박스와 하천 본류간의 유출거동 모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청계천 수문을 SWMM 모형의 위어 조건으로 고려하여 박스와 연결된 관망의 유출량을 지점별로 모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제 역류가 발생한 2009년 호우사상을 대상으로 물막이판 설치 전 후에 따른 청계천 본류와 양안 박스의 흐름 및 내수 침수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월류 발생 여부 및 지속시간의 경우 설치 전 후 동일하였으나 최대월류량 및 총 월류량은 설치 후 높게 산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거의 통수능 부족과 물막이판 설치로 인한 박스 내 수위 상승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실제월류 발생 사상의 추가적인 모의를 통해 물막이판 설치 영향을 구체적으로 평가하고자 하며, 박스 내 수위 조절이 가능한 물막이판을 설치함으로써 최적 물막이판 운영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n Flood Control Effect of Siphon Spillway by Reservoir Routing (저수지 추적을 통한 사이펀 여수로의 홍수조절 효과 분석)

  • Ko, Suhyeon;Kim, Jaeyoung;Lee, Giha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4 no.11
    • /
    • pp.55-63
    • /
    • 2013
  • Agricultural small dam reservoirs in Korea are vulnerable to flooding because of insufficient flood control capacity and deterioration such that reservoir water level is likely to rise rapidly and a large amount of water release quickly to downstream without flood warning. In this study, we performed hydrologic analysis to estimate design flood(200 years return period ${\times}1.2$) and also evaluated the effect of siphon spillway as a structural countermeasure for flood control and mitigation by applying reservoir routing to the Jipyeong reservoir, located in Sangju,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design flood was calculated at $284.3m^3/s$, and water level and water release decreased by 40cm and $91m^3/s$, respectively.

Hydrological Stability Analysis of the Existing Soyanggang Multi-Purpose Dam (소양강 다목적댐의 수문학적 안정성 검토)

  • 고석구;신용노
    • Water for future
    • /
    • v.28 no.3
    • /
    • pp.187-195
    • /
    • 1995
  •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an alternative to improve current capacity of flood control for the existing Soyanggang multi-purpose dam which was constructed 20 years ago as a largest dam in Korea. The newly estimated value of th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PMP) is 760.0 mm which is based on the hydrometeorological method. The peak inflow of 1000 years return perio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was 13,500$m^3$/s. However, the newly estimated peak inflow of the PMF is 18,100$m^3$/s which is 1.34 times bigger than the original one. In order to adopt the newly estimated PMF as a design flood, following four alternatives were compared; (1) allocation of more flood control space by lowering the normal high water level, (2) construction of a new spillway in addition to the existing one, (3) raising the existing dam crest, (4) construction of a new dam which has relevant flood control storage at the upstream of the Soyanggang multipurpose dam. The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se alternatives resulted in that the second alternative is most economical and feasible. So as to stably cope with the newly estimated PMF by meeting all the current functions of the multi-purpose dam, a detailed study of an additional spillway tunnel has to be followed.

  • PDF

The estimation of parameter using muskingum model in nak-dong river basin incorporating lateral inflow (측방유입량을 고려한 낙동강 유역의 머스킹검 매개변수 추정)

  • Jung, Chan-Yong;Jung, Young-Hun;Kim, Hyoung-Seop;Jung, Sung-Won;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270-2275
    • /
    • 2008
  • 수문학적 하도추적법의 하나인 Muskingum 모형은 미 육군공병단(U.S. Army Corps of Engineers)에 의해서 미국 Ohio 주의 Muskingum 유역에 홍수조절계획으로 처음 사용되었으며 모형의 구조 및 입력자료의 단순성에 비하여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모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38년 McCarthy에 의해서 개발되었고 구간내 총저류량은 prism 저류와 wedge 저류로 구분하여 prism 저류는 유출량에 wedge 저류는 유입량과 유출량의 차에 직접 비례한다는 가정하에 추적식을 개발하였다. 이후 지속적인 연구가 이뤄져 1985년 O'Donnel은 측방유입량(lateral inflow)을 상류단의 유입량에 비례하는 형태로 3-매개변수 muskingum 모형을 제안하여 추적계수의 결정을 선형대수(linear algebra)에서 동차(homogeneous)연립방정식 해를 구하는 Cramer 법칙인 matrix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사상으로부터 측방유입량이 고려되고 추적계수 결정에 있어서 직접 계산이 가능한 O'Donnel(1985)이 제안한 3-매개변수 muskingum 모형을 적용하였다. 추적계수들의 결정은 직접 matrix 기법을 적용하였고 적용대상은 낙동강 유역의 낙동 지점을 상류단으로 구미 지점을 하류단으로 선정하였다. 홍수사상은 낙동강 유량측정 조사사업 2005년${\sim}$2007년 보고서에 수록된 수문자료를 선정하여 관측치와 계산치를 비교하였고 홍수사상에 적용하여 수문곡선을 추정하였으며, 각각의 매개변수가 추적구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관측치와 계산치의 적합도 검증은 평균제곱근오차(root mean squar error; RMSE)와 모형 효율성 계수(model efficiency; ME)를 산정하여 분석하였으며, 하도 구간내 저류량은 대상구간에 대한 유입량과 유출량의 가중합에 비례한다는 선형모형을 적용하였다.

  • PDF

A time rivers outflow interpreting according to an agriculture reservoir operation (농업용저수지 운영에 따른 시기별 하천유출 해석)

  • Oh, Seung-Tae;Kim, Jin-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3-177
    • /
    • 2007
  • 현재 농업용수 이용량은 158억$m^3/yr$로 우리나라 전체 수자원이용량의 48%에 해당되며 하천유지수량을 제외하였을 경우 61%에 해당된다. 농업용수의 이용은 노후화된 농업수리시설과 관리기술 부족 등의 원인으로 이용효율이 낮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황을 뒷받침해 줄 측정 및 조사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농업용수의 물관리 연구는 장기간의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의 획득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실제 현장에서의 물관리 상황을 조사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다. 이러한 자료의 축척은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농촌공사에서는 2000년에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이동저수지 유역을 종합시험지구로 선정하여 운영하게 되었다. 이동시험지구는 경기도 용인시, 평택시, 안성시, 사이에 위치한 전형적인 농촌지역이다. 저수지와 양수장 시설이 복합적으로 운영되어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지구로 농업용수의 물관리 연구 수행을 위해 적합한 지역이다. 이동시험지구에 강우계, 저수지 수위계, 하천 수위계, 수로 수위계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유지 관리 및 자료수집을 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농촌지역 수문자료를 축척하고 있다. 이동시험지구의 운영은 농업용수 물관리와 관련된 체계적이고 신뢰성 있는 장기간의 수문자료를 축척하고 축척된 현장 자료의 분석을 통해 물관리 기초자료를 계량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농업용 저수지의 용수공급 운영에 따라 하천에서의 유출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농업용저수지가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시험지구 덕성교 하천수위관측지점의 하천유출율은 65 %, 재인교 하천수위관측지점의 경우 하천유출율은 60 %를 나타내었다. 이동유역의 경우 상류에 저수지가 있으며 저수지의 시기별 저수상태와 강우량에 따라 유출에 영향을 받고 있다. 1월에 상류 저수지의 저수상태가 만수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예년에 비하여 많은 강우가 발생하여 저수위 조절 차원에서 인위적으로 방류한 양이 많았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두 지점의 1월 유출이 100 % 이상인 것은 동절기 하천 결빙으로 인한 유량파악이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1월의 하천수위는 계측기에 기록된 수위값으로 유량을 산정한 것이다. 3월, 10월, 12월의 유출이 많은 것은 전월말 발생한 강우의 영향으로 크게 나타났다.

  • PDF

Reproducing water flow using 3D game engine (3D게임엔진을 이용한 물 흐름 재현)

  • Woochul Kang;Eun-kyung J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32-432
    • /
    • 202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의 안동하천연구센터(Andong River Experiment Center, REC)는 다양한 하천 관련 실규모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3개의 수로를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의 주목적인 실증 실험 계측 결과를 기반으로 3D 게임엔진을 이용하여 물 흐름을 재현하기 위해 A1 수로를 대상구간으로 설정하였다. 실증 실험의 경우 2개의 수문 개도율 조건에서 ADV와 ADCP를 활용하여 계측된 유량 및 유속 결과들을 비교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영상 데이터로 부터 표면유속(LS-PIV)을 산정하였다. 3D 게임 엔진은 렌더링 엔진, 물리 엔진, 오디오 엔진, UI 시스템, 게임플레이 프레임워크 등이 잘 융합된 소스코드들과 개발자들이 이용하기 쉬운 방식으로 변환된 툴(tool)로 제공하여 현실 세계를 가상 세계에 시각화하여 구현하는데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흐름 재현이 가능한 수리/수문 모델링의 경우 특정한 목적으로만 이용가능하고 연산에 소용되는 시간 때문에 실시간 흐름재현이 어렵지만, 3D 게임엔진을 이용하는 경우 다양한 목적과 여러 분야와의 고려가 동시에 가능하며 연산의 단순화를 통해 실시간 흐름 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리얼 엔진의 Niagara Fluids와 Fluid flux 툴들을 활용하여 하천실증실험 시설 일부 구간에 대해 물 흐름을 재현하였다. 먼저 하천실험실증시설을 드론과 RTK-GPS를 이용하여 촬영된 결과를 정합하여 3D 게임엔진 기반 흐름 재현을 위한 지형 기초 자료를 구축하였다. 지형 계측 결과를 기반으로 A1 수로 전체 구간을 대상구간으로 설정한 이후 수문 조절을 통해 흐름 조건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며, 실제 흐름에 대한 계측 결과를 기반으로 재현된 흐름을 대상으로 material 값의 조정(방향 X, Y값을 RGB값으로 변환한 뒤 벡터 길이 값으로 환산)을 통해 0~100 사이 값을 이용하여 유속을 표현하였다. 최근 가상공간 (i.e. 디지털트윈) 관련 시장 성장이 매우 빠르고 다양한 사업에서 해당 기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물 흐름의 디지털 트윈화를 위한 수단으로서 3D 게임 엔진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만 실제 하천의 적용과 하천관리를 위한 실용화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와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Estimation of equivalent rainfall by water level for Hwanggang dam in North Korea using hydrological model calibrated based on satellite images (인공위성 영상을 기반으로 보정된 수문모형을 이용한 북한 황강댐 수위별 상당강우량 산정)

  • Kim, Jin Gyeom;Hwang, Euiho;Kang, Kimook;Yu, Wansik;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91-291
    • /
    • 2022
  • 북한의 황강댐은 우리나라와 북한이 공유하고 있는 대표적인 하천인 임진강 상류에 존재하는 댐으로서 팔당댐의 약 1.5배의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하류로의 발전방류와 함께 유역 외 지역인 예성강 지역으로 방류량의 일부를 도수시키며 이를 통해 예성강 1, 2호 발전소에서의 발전을 실시하고, 생활, 공업, 농업용수를 예성강 유역에 공급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2009년 9월 6일 임진강 상류 황강댐에서의 대규모 방류로 인해 경기도 연천군 일대에 홍수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임진강 하류에 군남홍수조절지를 설치하고 상류의 필승교 수위표를 이용하여 홍수경보체제를 운용하고 레이더 강우와 수문모형을 이용한 감시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나 황강댐 운영현황이 불확실함에 따라 정확한 예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미계측 지역의 홍수예보를 위해 산정한 상당상수량이란 저수지의 현재 수위로부터 특정 수위까지 도달하는데 요구되는 강우량을 말하며 강우예보 시점에서 저수지의 최대 수위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홍수예경보 수단이다. 미계측 유역인 임진강 상류 황강댐 유역의 상당강우량을 산정하기 위해 인공위성영상에서 획득한 댐 수위의 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보정된 황강댐 상류의 수문모형을 이용하였으며 현재 댐 수위로부터 주요 수위(방류개시수위, 상시만수위, 계획홍수위)에 도달하게 되는 상당강우량을 산정하였다.

  • PDF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mjin River basin by the verification of the Jangheung Dam discharge (장흥댐 방류량 검증을 통한 탐진강 유역 유출 특성 변화 연구)

  • Park, Jun Su;Seol, Myung Su;Kim, Su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51-351
    • /
    • 2022
  • 현재 우리나라는 기후변화가 심화되고 강우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자연 재해와 홍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댐이나 보 운영의 고도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댐의 경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상류와 하류에서 홍수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기도 하며, 방류 조절에 따라 담수 유입으로 인한 해수의 염도 변화나 수질 오염 등의 결과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효율적인 댐 운영을 위해서는 방류량에 대한 지속적인 검증 측정이 필요하며, 유역 내 상하류 유출 특성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탐진강 유역에 위치한 장흥군(별천교)관측소와 장흥군(예양교)관측소를 대상으로 가동보 운영과 식생영향, 취수영향, 공사에 따른 수위-유량관계 변화를 분석하였다. 탐진강 최상류에 위치한 장흥군(별천교)관측소의 경우 2013년 이후 유량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2021년 하류 가동보 수문 운영 조건과 수중식생 영향, 취입보 운영 조건에 따른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유량측정을 실시하여 수위-유량관계의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탐진강 하류에 위치한 장흥군(예양교)관측소는 기존 설치되어 있던 상하류 가동보에 대해 철거공사가 금년 진행되었으며, 이에 따른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유량측정을 통해 흐름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추가로 저평수기와 홍수기에 장흥댐 수문 방류량에 대한 검증 측정을 수행하여 고시된 방류량과 실측된 방류량을 각각 적용하여 탐진강 유역 유출 특성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탐진강 유역 하천 내의 보 운영과 식생, 취수, 공사영향에 따른 모니터링과 유량측정을 통해 신뢰도 높은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생산된 유량자료는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장흥댐 수문 방류량에 대해 실제 측정된 방류량을 유출 분석에 적용한 결과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정상적인 상하류 관계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