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절마비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4초

검사기기에 따른 굴절력 측정의 임상적 평가 및 신뢰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Clinical Assessment and Reliability Analysis of Measurement with Diverse Autorefractors)

  • 김태훈;권영석;예기훈;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93-298
    • /
    • 2006
  • 본 연구는 임상에서 완전자동 및 자동굴절검사기를 자각적 굴절검사와 비교하여 그 유효성과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106명(212안)을 대상으로 조절마비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굴절검사를 실시하였으며, 106명의 피검사자를 7일과 14일에 걸쳐 각각 재 측정하여 회차 별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자각적 굴절검사와 자동굴절 검사기기별로 측정된 구면굴절력을 대응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 PDF

고관절 질환환자의 중심동요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stural sway characteristics of various hip disorders)

  • 강창수;신승헌;민병우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27-140
    • /
    • 1995
  • 인간이 자연스럽게 선 자세를 취하는 경우, 그 신체의 균형은 주로 시각과 전 정미로계, 소뇌 및 근고유감각의 정보에 의하여 미세하게 조절된다. 그러나 일단 편마비, Parkinson's Disease, 골관절 질환, 실명등의 평형기능을 지해하는 장해를 받데 되면, 정상 적인 자세제어는 곤란하게 된다. 이러한 장해를 진단.치료해 가는 데에 재활의학에 있어서는 관절가동역 Test, 거수능력 Test, 일상생활동작 Test등의 평가방법이 이용되고 있고, 골관절 질환에 있어서는 방사선사진에 의존도가 높다. 그러나 어느 방법을 선택하든지간에 의사나 실제로 검사를 하는 검사자의 주관에 의한 것이 많고, 또 어느 정도 가능한가라는 정성적 판단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객관적이면서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찾아서 위의 방법과 병행하는 것이 진단에 있어서 더욱 신뢰성을 높이고, 환자 자신도 병의 진행과정과 치료효과를 쉽게 이해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자세조절 증진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증례 보고- (Effects on Walking & Balance upon Improvement of Postural Control Therapy for Hemiplegic Patient)

  • 이진환;민동기
    • PNF and Movement
    • /
    • 제11권2호
    • /
    • pp.119-126
    • /
    • 2013
  • Purpose : The neurologically impaired patients have sensory, motor, cognition, perception problems which cause reduction of body schema, balance control and postural control provoke disfunction.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was to evaluate effects on gait&balance upon improvement of postural control for left hemiplegia. Methods : This study has performed single subject design from March to April 2013 for 6 week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67years old female patient with left hemiplegia. Timed Up and Go (TUG) test and Functional Reach (FR) test were used as evaluation tool. The subject was treated 5 times a week for 30 minutes each. Results : The result is that the walking velocity was decreased, the ability of gait was improved than before the training. The length of FR was increased from 8.33cm to 22.67cm.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reatment improves subject's ability of walking in this study.

다리 움직임을 동반한 복부 드로우-인 기법이 뇌졸중 환자의 배가로근 두께와 몸통 조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bdominal Draw-in Maneuver with Leg Movements on Transversus Abdominis Thickness and Trunk Control in Stroke Patients)

  • 강정일;문영준;정대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87-294
    • /
    • 2020
  • 다리 움직임이 몸통 주위 근육에 효과적인 변화를 줄 수 있다는 근거를 바탕으로 다리 움직임을 동반한 복부 드로우-인 방법이 뇌졸중 환자들의 배가로근 두께와 몸통 조절 능력에 변화를 알아보고, 효율적인 복부 드로우-인 기법에 있어서 임상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18명을 표본 추출하여, 기존의 복부 드로우-인 기법을 적용한 집단을 실험군I(n=9)로, 다리 움직임을 동반한 복부 드로우-인 기법을 적용한 집단은 실험군II(n=9)로 무작위 배치한 후 사전 검사로 초음파를 활용하여 마비측 배가로근의 두께를 측정하였고, 몸통 조절 능력은 몸통 손상 정도 평가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4주 간, 주 4일, 1일 1회, 30분씩 중재 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사후검사를 사전검사와 동일하게 재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내 배가로근 두께 변화 비교에서는 두 집단 모두 복부 드로우-인 동작 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몸통 조절 능력에서도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그러나 두 집단 간 배가로근 두께와 몸통 조절 능력 변화 비교에서는 몸통 조절 능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따라서 집단 간 배가로근의 두께는 차이가 없었지만, 다리의 움직임을 통해 자동 반사적인 골반 움직임이 나타나 복부 주위의 근육들에게도 효율적인 수축 반응이 나타나 더 효과적으로 몸통 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혼합치열기 뇌성마비환자의 상악전돌에 대한 교정치료 : 치험례 (ORTHODONTIC APPROACH TO THE CEREBRAL PALSY PATIENT WITH MAXILLARY PROTRUSION IN THE MIXED DENTITION : A CASE)

  • 김종수;조안나;김지연;정태성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3-46
    • /
    • 2014
  • 뇌성마비로 인하여 협조를 얻기가 어려운 일부 혼합치열기 환자의 심미적, 기능적 개선을 위한 구내 고정성 장치의 사용은 대체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와 같은 문제를 보이는 환자의 근본적인 원인인 근육 조절의 불균형을 바로잡는 재활훈련과 함께 이동된 위치에서 치열의 안정적인 적응을 위하여 구강주위 근육훈련이 병행되어야 한다.

두 사례에 의한 수부 스프린트 효과 (The EFFECT of HAND-SPLINT for 2 CASES)

  • 채수경;김호봉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23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손 기능에 문제가 있는 환자들을 중심으로 splint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기초조사로써 2명의 환자를 제주 한마음병원(Case1, 2)에서 2001년 6월부터 11월까지 조사하였다. 2명의 환자는 다음과 같다. i) 사례 1 : 뇌성마비 아동(4세, 남, 오른손)으로 한쪽 손목과 엄지손가락에 강직으로 인하여 잡기 기능에 제한이 있는 편마비 아동이다. ii) 사례 2 : 전기화상(56세, 남, 왼손)으로 4-5번째 손가락의 M.P joint와 I.P joint에 관절운동 제한으로 완전하게 주먹을 질 수가 없다. 연구를 위하여 손 기능의 평가는 표준화가 되어있는 Jebsen-hand function test, Total passive Motion(TPM)을 사용하였으며, 환자들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을 사용하였다. i) 사례 1 : 두 가지 splint를 적용하였다. 즉 낮 동안에는 splint 1, 밤 동안에는 splint 2를 6시간 이상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작업치료는 시행하지 않았다. ii) 사례 2 : 이 환자에게는 작업치료가 끝나는 동시에 splint. 3을 6시간 이상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M.P joint와 I.P joint의 관절 변화를 조절하도록 특별히 고안된 splint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사례 1의 Jebsen-hand function test시 초기에는 측정을 할 수가 없었으나, splint착용 후 크고 가벼운 물건 옮기기(44.15), 크고 무거운 물건 옮기기(42.66), 적목쌓기(44.63), 먹기 흉내내기(54.47) 등에서 처음 동작만 도와주면 측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진전을 보였다(그래프1), 사진(착용 전과 착용 후). 사례 2의 경우 Jebsen-hand function test의 적목쌓기와 먹기 흉내기가 가장 높았으며, 글씨 쓰기가 가능했다. 손의 관절가동 변화에서도 splint 착용전의 측정치와 착용 후 관절 가동 범위의 변화 폭이 약 $30_{\circ}$이를 보여주었다(그래프 2), (그래프3). 결론적으로 손 기능 회복에 직접적인 재활 치료뿐만 아니라, 치료 후에도 splint를 착용하여 가정에서도 계속적인 치료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손의 기능회복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각 환자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적절한 splint를 제작해 줄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 기초조사를 시작으로 하여 더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splint가 손 기능 회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에 대하여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경직환자를 위한 착용형 손 재활로봇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arable Hand Rehabilitation Robot for spasticity patient)

  • 김대희;윤성조;박용식;전광우;박성호;전정수;서갑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5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2호
    • /
    • pp.21-24
    • /
    • 2014
  • 본 연구는 뇌손상(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뇌성마비 등)으로 인하여 손의 능동적 움직임이 결여되어 발생하는 관절의 구축, 근육의 단축, 근육의 탄력성 저하 등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인체 역학적 모델에 따른 과학적 설계를 기반으로 환자의 손 기능 회복을 위하여 로봇 기술과 스마트폰의 융합을 통한 재활 로봇 보조 치료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일반적인 근 경직을 치료하는 방법을 응용하여 IT 기술과 로봇기술을 융합하여 치료사들의 부담을 덜어 주고, 환자들에게 오랫동안 정확한 운동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하나의 구동기로 2자유도의 움직임을 조절 할 수 있는 링크 매커니즘과 링크의 길이를 조절하여 신전(extension)과 과신전(Hyperextension)의 범위 조절이 가능하도록 로봇 플랫폼을 설계하였다. 또한 환자의 재활정도 및 상태에 적합한 운동속도, 운동반복횟수 등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등의 개인 맞춤형 재활훈련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시야 가림막을 활용한 자세 조절 훈련이 중등도-중증 뇌성마비 아동의 머리 조절, 몸통 조절, 앉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Effects of Postural Control Training Using a Visual Blind Board on Head Control, Trunk Control, and the Sitt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Moderate to Severe Cerebral Palsy: A Pilot Study)

  • 김건우;이민구;함석찬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1-40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tural control training using a visual blind board, on head control, trunk control, and the sitt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moderate-to-severe cerebral palsy. METHODS: Ten children with moderate to severe cerebral palsy participated in this study. Postural control training with a visual blind board was given for 40 minutes per session, 3 times a week for 4 weeks (12 session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head control, trunk control, and sitting abilities were quantified using the head control scale, Korean version-trunk control measurement scale, and the sitting part of the Korean version-gross motor function measure-88, respectively. RESULTS: Postural control with the visual blind board significantly improved the head control ability of children with moderate to severe cerebral palsy (p = .015). Their trunk control abilities als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intervention (p = .016). However, their sitting abil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change.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postural control training using a visual blind board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head and trunk control abiliti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Further studies with suitable sample sizes and control groups are needed to reach a conclusion about the use of postural control training with visual blind boards for improvement of postural control of children with moderate to severe cerebral palsy.

알칼리 처리 및 가열, 저장에 따른 진주담치의 마비성 패류독 성분 특성 및 제독 (Detoxification and Paralytic Shellfish Poison Profile with Heating, Storage and Treatment of Alkaline in Blue Mussel, Mytilus edulis)

  • 장준호;윤소미;이종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2-218
    • /
    • 2006
  • 독화된 진주담치 (blue mussel, Mylilus edulis)를 pH 처리, 온도별 저장 그리고 가열에 의한 마비성 패류독의 독성과 독조성 특성 변화는 다음과 같다. pH 3으로 조절한 시료가 14.1 MU/g$(100\%)$으로 가장 높은 독성이 검출되었고, pH 5는 12.9 MU/g$(92.1\%)$, pH 7은 9.0 MU/g$(63.8\%)$으로 검출되었으나, 마비성 패류독은 독성이 불안정한 알칼리 조건인 pH 9에서는 3.6 Mu/g$(25.5\%)$, pH 10은 0.8 Mu/g$(5.7\%)$으로 독성 이 검출되었다. 저장기간 동안의 독성은 pH(3, 5, 7, 9) 그리고 온도(30, -5, $20^{\circ}C$)에서 5일$(19.9\~65.3\%)$까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5일 후부터 30일까지는 약간의 독성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더 높은 온도에서 저장에서는 독성이 더 빨리 감소하였다. 대부분의 성분인 C군(C1, C2)과 GTX1,2,3,4, STX 그리고 dcSTX으로 8개의 성분이 검출되었고, 8개의 독성분 중에서 GTX1,4, STX 그리고 dcSTX는 모든 가공 조건에서 독성이 감소함에 따라 제일 먼저 감소하였다. 독성이 기준 독성치(4 MU/g)보다 3배 이상이더라도 마쇄된 패류 육에 pH를 알칼리 (pH 7이상)로 처리하고, 10분의 가열에 의해 독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수중에서 회전조절과 장애물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전정기능과 균형조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lance Control and Vestibular Function by an Aquatic Rotation Control and the Obstacle Avoidance Underwater with Hemiplegia Patients)

  • 권혜민;김수현;김현진;오석;최지호;김태열
    •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3-50
    • /
    • 2010
  • Purpos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ffect of an aquatic rotation control and obstacle avoidance when conducted underwater on hemiplegia patient's balance ability and vestibular function. Methods : Twelve hemiplegia patients participated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I) with standard physical therapy and an aquatic group(II) with an aquatic rotation control, obstacle avoidance and standard physical therapy as well. The aquatic group trained using a Halliwick rotation control and obstacle avoidance through 3 times per week over 6 weeks. For all subjects, vestibular function, their balance, the change of electrooculogram (EOG), the change of accelerometer axis and torsiometer according to visual sense, vestibular sense with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 (GVS) or not during leg close stance were measured. Results : The EOG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0.05) were both significantly lowered. The chang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trajectory range of motion of trunk and spine with torsiometer when leg close stand (p<0.01) and leg close stand with GVS (p<0.01). The centre of gravity accelerated, there were reduced significantly difference X and Y axis of accelerometer during the closing of the leg without vision (p<0.05). There were reduced significantly difference X and Z axis of accelerometer during the closing of the leg with GVS (p<0.05). There were reduced significantly difference X and Z axis of accelerometer during the closing of the leg and close eyes with GVS (p<0.05). Conclusion : The balance ability, vestibular system and postural control is im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