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선시대 중기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Costume Images of the Chosun Period′s Po for Men(Part I ) - Constituent factors, Type, Reflection of the Period - (조선시대 남자 포제에 나타난 복식이미지(제1보) -남자포제 이미지구성 요인 및 유형별, 시기별 복식이미지-)

  • Ju-Yeun Do;Young-Suk K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10
    • /
    • pp.1695-1706
    • /
    • 2001
  • 본 연구는 조선시대 남자 포제(포제에 나타난 복식이미지의 구성요인을 밝히고 남자포제 유형별(철릭, 답호, 직령, 도포, 창의, 주의), 시기별(전기, 중기, 후기) 복식이미지를 알아봄으로서 조선시대 남자포제가 가진 복식이미지를 밝혀 현대 전통복식 디자인에 응용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의복 자극물은 남자 평상복을 중심으로 하여 조선초기(1477년∼1543년)의 남자 포제로는 철릭, 답호, 직령 3점과 조선중기(18세기)는 도포, 창의 2점, 조선후기(17세기 후기∼20세기 초)는 주의 1점으로 하였고, 당 시대의 정화한 복식이미지를 살펴보기 위해 유물을 복원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이것을 모델에게 착장시켜 슬라이드로 제작한 후 자극물로 제시하였다. 의미지분척도외 구성은 자유언어연상법으로 형용사를 수집하여 23쌍의 형용사쌍을 구성하였다. 패널단은 대학생 남·여 총 600명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AS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분산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1. 조선시대 남자 포제의 요인구조는 품위성 요인(25.2%), 활동성 요인(l4.2%), 관할성 요인(37.9%), 현시성 요인(6.7%), 경연성 요인(5.7%)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 5개 요인의 전체변량 62.7% 중에서 품위성 요인, 활동성 요인, 관할성 요인이 전체변량의 50%를 넘어서 이 세 요인이 남자 포제에서 기본적으로 느껴지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2. 조선시대 남자 포제 유형별 복식이미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철릭은 가장 부자연스러운, 주름있는, 곡선적인, 부드러운, 특이한 이미지의 포제로 나타났으며, 답호는 가장 절제된, 직선적인 딱딱한, 특이한 이미지로, 직령은 가장 비활동적인, 답답한, 전통적인 이미지로 도포는 가장 품위있는. 관할한 이미지로 창의는 다른 포제에 비해 평범한, 단순한, 이미지로 주의는 가장 품위 없는, 일상적인, 활동적인, 단순한, 순수한 이미지의 포제로 평가되었다. 모든 남자포제가 전통적, 순수한 이미지의 포제로, 철릭을 제외한 모든 포제가 단순한 이미지로 나타나 조선시대 남자 포제가 공통적으로 가지는 이미지는 단순하고 순수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남자 포제의 시기별 복식이미지에서는 조선전기(철릭, 답호, 직령)의 포제는 관할성 요인이 높은 의례적인, 관할한, 특이한 이미지로 평가되었고 조선중기(도포, 창의)의 포제는 품위있는, 절제된, 풍성한 이미지로 평가되었으며, 조선후기(주의)의 포제는 활동적인, 단순한, 직선적인 이미지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대별 남자 포제의 이미지는 시대적 여건과 상황에 따라 변화되어 왔으며, 시대에 따라 추구하는 이미지가 달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조선시대 철릭의 바느질법 연구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 박물관 소장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 금종숙;고부자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25-26
    • /
    • 2003
  • 본 연구는 고려중기이후부터 조선시대에 왕이하 서인에 이르기까지 착용하였던 철릭에 대한 것이다. 철릭의 형태는 상하가 연결되고 허리에 주름이 잡혀 있으며, 소매는 단추로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구는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착장자의 신분과 용도를 살피고,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에 소장된 출토유물 중 측정이 가능한 68점을 실측하여 바느질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중략)

  • PDF

식해의 발효기술 및 생리기능성

  • 차용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2004.07a
    • /
    • pp.3-9
    • /
    • 2004
  • 조선시대의 젓갈 제조기술은 식염만을 침장원으로 하는 지염해를 주종으로 하였으나 동시에 일부 식해류도 있었으며 또한 젓갈의 액체만을 분리한 액젓을 조미 소재로 이용했다는 기록이 쇄미록, 증보산림경제(1766)에 기록되어 있다. 조선조 말기에 이르러서는 오주연문장전산고(1850년경), 규합총서(1815), 임원십육지(1827년) 등을 토대로 보다 구체적인 종류와 특히 조선조 중기까지 식해류의 대상으로 떠오르지 않았던 연체동물의 식해류가 소개되고 있다. (중략)

  • PDF

Record-Based Locality of Ulsan during the Joseon Dynasty: Focused on Ulsan Port (기록으로 본 조선시대 울산의 로컬리티: 울산항을 중심으로)

  • Kim, Seonmi;Song, Jung-So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20 no.1
    • /
    • pp.1-25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Ulsan locality during Joseon by searching and analyzing various records related to the Ulsan port including old literature, documents, and maps, and oral records relating to traditional knowledge, as well as extracting keywords arranged by the time series and space to reenact Ulsan Port and Ulsan during Joseon. The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Yeompo, which served defense and trade functions through Waegwan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Gaewoonpo, Seosaengpo, and Dosanseong, which underwent damage during Imjinwaeran and other wars in middle Joseon, and Bangeojin, which operated state-owned ranches and defense facilities including signal fires through to the latter half of Joseon, Jangsaengpo, which played the role of a whaling zone, and neahwang-naru, iron mine of Dalcheon, trying to reproduce the trajectory of the Ulsan during Joseon. Research on the locality transfiguration process of the port will help establish the locality of the entire Ulsan.

A Study on Pobeckchuck in the Middle period of Chosun Dynasty(Second) - Focusing on the History of Chosun Dynasty (조선시대(朝鮮時代) 중기(中期)의 포백척(布帛尺)에 관한 연구(硏究)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중심으로 -)

  • Lee, Eun-Kyung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16 no.3
    • /
    • pp.623-630
    • /
    • 2007
  • The remarkable fact regarding the History of Chosun Dynasty(from Jungjong- Youngjo) is that any slightest evidence can't be found that Pobeckchuck was used to measure clothes or various Pobecks. There remains the document that in the 22nd years of Myeonjong, Japan required that Pobeckchuck be used, but it couldn't be allowed because of the reason it was made in the former king. This fact raises the high possibility that Pobeckchuck could be the most trustworthy standardized ruler at that time, and in other point of view, it can be presumed that the measurement in the period of King Sejong continued to have been used until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length of one Chuck of Pobeckchuck at this time must have been equivalent to 46. 73cm of Pobeckchuck of Samchuck in the period of Sejong. In the History of Sunjo Period, many records on Pobeckchuck can be found, which fact seemed to have rectified the measurement system which was disordered by military revolt, though the reason is not clear. Also a record can be found that in the period of Sunjo, Chinese envoy required the Sunjo Regime to use Pobeckchuck for the measurement of copper pillar, which record supports the fact that Pobeckchuck is the standardized ruler. Another record that in the 26th period of Youngjo, Pobeckchuck of Samchuck was corrected according to the Kyeongkukdaejeon shows that the length of Pobeckchuck was 46.80cm at that time. Also, the record which rectified many rulers with the comparison of Hwangjong-chuck, Ju-chuck, Joryeki-chuck, Yongjo-chuck, etc. with one another reveals that the rulers used in the period of Sejong continued to have been used unchanged until in the period of Youngjo.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 and Cooking Methods for Emandoo during the Joseon Dynasty, with a focus on Euigwe and old literature (조선시대 어만두(魚饅頭)의 종류 및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 의궤와 고문헌을 중심으로)

  • Oh, Soondu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2 no.1
    • /
    • pp.1-12
    • /
    • 2016
  • This article examines the types and cooking methods of Emandoo as recorded in 15 royal palace studies and 8 old literature text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09). Early Joseon Dynasty kind of Emandoo one kind, two kinds of mid and late 15 kinds, a total of 18 paper was introduced. A Emandoo ingredient materials of a pheasant, chicken, beef, abalone, sea cucumber, etc. were used. Emandoo were able to see that the current 'mulmandu' form of life that icing on the water after the starch into a small thin sliced fish flesh. The size of a Emandoo made small clams. The use of 'Gocho (苦椒)' on Chojang(醋醬), starting with 'emandoo" of Muhsin jinchan Euigwe"(1848) Further study will be conducted on recipes and ingredients recorded in these Euigwe and old books in order to develop a standardized recipe to make Emandoo appealing to a global palate.

Conservation Treatment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rmor and Helmets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Armor and Helmets from the Mid- and late Joseon Dynasty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갑주(甲冑)의 보존처리와 구조적 특징 - 조선시대 중·후기 갑주를 중심으로-)

  • Park, Jinho;Park, Jihye;Hwang, Jinyoung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 /
    • v.26
    • /
    • pp.35-66
    • /
    • 2021
  • This study conducted scientific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n four suits of armor and two helmets from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Based on the findings, it identifi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rmor from the middle and late Joseon Dynasty. Since a suit of armor is made of composite materials consisting of both organic and inorganic elements, conservation treatment was conducted to the extent that the stable condition of each material remained unaffected by the other materials. The process took place in the sequence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removal of contamination, stabilization and reinforcement, repair of damaged parts, and storage. The armor and helmets had suffered severe damage, but were safely repaired and partially restored through the conservation treatment. The findings from the conservation treatment revealed the materials used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rmored skirt from a two-piece set of armor from the middle Joseon period and for the two suits of overcoat-style armor, suit of vest-style armor, and helmets from the late Joseon era. It also allowed the investigation of the production methods of the armor and helmets.

A Consideration about the funeral Supplies for Carriage in the late of Joseon Period (조선 후기 국장용 운반 상구고(喪具考))

  • Park, Jong-mi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39
    • /
    • pp.191-217
    • /
    • 2006
  • The chief mourners do their best to carry the dead and various things related to him in the departure of a funeral procession. "Sejongsillok" and "Gukjooryeui" had already written the national funeral supplies for carriage in detail in the early of Joseon period. But they were the standard book of national ceremony. The Ilbang of Gukjangdogam made the national funeral supplies for carriage in the late of Joseon; Daeyeo, Gyeonyeo, Yoyeo, Chaeyeo, Gaja etc. "Gukjangdogamuigye" explained these in detail; size, materials, made-place etc. I used "Gukjangdogamuigye" published in the late of Joseon to explain the national funeral supplies for carriage. Because Kingdom's ceremony in Joseon was representative to the country, it couldn't depend on an individual taste. King was the symbol of a nation and the star tin point of the political power at that time. So its ceremony was to show people the representative example as a national ceremony. The national funeral supplies for carriage carried the dead of King and various things related to him. Gukjangdogam managed them carefully. People thought that the mean of these things was equal to King's authority at that time. So these weren't the mere national funeral supplies for carriage, the symbolic instruments equal to King.

A Funda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Web-based Three-dimensional Authoring Environment for e-Learning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e-Learning을 위한 전통건축물 저작환경 구현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 "조선시대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의 디지털콘텐츠 개발"을 중심으로 -)

  • Hwang, Sun-Hwie;Kwon, Young-Sook;Choi, Jin-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353-360
    • /
    • 2007
  • 최근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문화콘텐츠산업의 비중은 날로 커지고 있으며 디지털 컨버젼스의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사회적 요구에 즈음하여 정부의 지역문화 콘텐츠 육성 의지에 부합하는 전통건축물의 e-Learning을 위한 웹 기반 저작도구의 구현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전통건축의 복원 및 재현은 전통적인 전수방식에 의존하거나 다분히 현상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어, 우리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전통건축물에 대한 저변의 확대와 보편적이고 대중적인 이해를 돕기에는 한계가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전통건축에 관련한 교육자료는 대부분 고서(古書)나 텍스트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인 점을 감안할 때, 시각적이고 인터랙티브한 e-Learning 시스템의 연구는 필수적이라 할 것이다. 연구의 범위로서는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의 진행 중 사업인 문화원형복원사업인 "조선시대 탐라순력도의 디지털콘텐츠 개발"의 내용을 토대로 하며, 조선 중기인 17세기 제주도의 주심포계 전통건축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1) 17세기 중엽 제주도의 주심포계 전통건축물에 대한 가구구조의 형성관계 및 그 형상을 디지털화하기 위한 데이터 체계를 제안하고, 2) 이에 따른 웹 기반의 가상전시 및 e-Learning 콘텐츠를 위한 시스템 구축의 프로토타입을 제시하며, 3) 상기 제시한 데이터 체계에 근거한 사용자 중심의 전통건축물 재현을 위한 3차원 저작환경 및 그 인터페이스를 제시한다. 이 결과로 전통건축물의 형성원리를 이해하고 전통 양식에 근거한 창의적 저작이 가능한 환경을 제시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저작물 및 디자인 협업, 전통건축 유지보수 분야 등에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불어 제안된 내용에 근거한 향후 연구로 전통건축물에 대한 일관되고 통합적인 관리방안과 그 실현수단에 대한 논의를 비롯하여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방안 및 그 부가가치에 대한 논의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