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망분석

검색결과 441건 처리시간 0.025초

도시공원의 조망 여부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 송도 센트럴 파크를 사례로 - (The Effect of an Urban Park View on the Price of Apartment - A Case of Songdo Central Park -)

  • 정태용;백용준;손지현;유선빈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6호
    • /
    • pp.457-465
    • /
    • 2016
  • 세계 곳곳에서는 새로운 도시들이 계속 건설되고 있으며, 도시로 이주하는 사람들의 수 또한 급증하고 있다. 현재 약 54 퍼센트의 세계 인구가 도시에 살고 있으며, 2050년까지 66 퍼센트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도시지역 관리는 전지구적 지속 가능한 발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효과적인 도시지역 관리를 위해서는 도시 주민들에게 미학적, 정신적 그리고 보건적 혜택을 제공하는 도시 내 녹지지역의 유지관리가 핵심이다. 그러나 녹지지역의 경제적 가치 평가의 어려움으로 인해 사회에서는 이러한 녹지지역 혜택의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송도 센트럴 파크가 제공하는 미학적 혜택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공원 조망이 주변 아파트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헤도닉 가격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아파트 가격과 송도 센트럴 파크 조망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며, 조망이 있는 아파트의 가격이 조망이 없는 아파트의 가격에 비해 5 퍼센트 정도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송도 센트럴 파크와의 거리 또한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노년기 생산적 활동과 미래시간조망 간의 관계: 삶의 만족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roductive Activities on Future Time Perspective in Later Life: A Mediating Role of Life Satisfaction)

  • 배수현;김기연
    • 한국노년학
    • /
    • 제41권1호
    • /
    • pp.49-68
    • /
    • 2021
  • 본 연구는 활동적 노화의 관점을 바탕으로 노년기 생산적 활동과 미래시간조망에 간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제 7차 고령화연구패널(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2018)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55세 이상 고령자 6,756명의 생산적 활동, 삶의 만족감과 기대수명 기대감 및 일자리 기대감의 두 차원으로 측정한 미래시간조망의 관계를 복합표본 일반선형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생산적 활동은 삶의 만족감 및 미래시간조망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비경제 활동자에 비해 무급 가족종사자를 포함한 취업자일수록 삶의 만족감, 기대수명 기대감, 일자리 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생산적 활동과 미래시간조망 간의 관계는 삶의 만족감이 부분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경제 활동자에 비해 무급 가족종사자를 포함한 취업자일수록 기대수명 기대감 및 일자리 기대감이 높아지는데, 이는 높아진 삶의 만족감의 영향에 의한 결과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년기 생산적 활동이 활동적 노화의 목적인 노년기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미래를 긍정적으로 확장하여 조망하기 위한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년기 생산적 활동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주거용 건물에서의 투영법에 의한 조망의 정량적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View by the Projection Method in the Residential Buildings)

  • 김용이;김광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37-46
    • /
    • 2003
  •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view tells how surroundings and sky are showed, and requires understanding of visual perception and three dimensional information of buildings. The visual perception and the existing projection methods for view analysis a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visual perception on the size is determined by the visual angle, which can be described as a solid angle. The analysis of view by planar projection can be narrow-sigh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indow and the location of the viewpoint, which will cause the obstacles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window interfere the view. For the analysis of view by fisheye projection, the area around the focus point is calculated wider than other areas, and so the view ratio depends on the position of the focus point. When analyzing sky view by dividing the sky vault into the differential area, the distortion by projection can be minimized.

EDI 기술 동향 연구

  • 김완평
    • 정보와 통신
    • /
    • 제17권10호
    • /
    • pp.140-14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EDI개념을 간략히 알아보고 인터넷 환경에서의 EDI 기술 동향을 연구하였다. EDIFACT, MIME, XML/EDI, ebXML등의 표준화 작업을 간단히 소개하고 전통적인 VAN EDI, Web EDI, XML/EDI 메시징 시스템 유형 및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EDI 기술 동향을 조망한다.

  • PDF

국립공원 집단시설지구 자연경관관리를 위한 층고규제 합리화 방안 (A Study Identifying Improved Building Height Regulations for Managing Natural Landscape in Collective Facility Districts in and around National Parks)

  • 이관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8-56
    • /
    • 2011
  • 본 연구는 국립공원 내부 혹은 경계에 연접하고 있는 집단시설지구 내의 건축물 층고 규제 기준을 정량화 된 합리적 높이 기준으로 개선하는데 목표를 두고 진행되었다. 전국 국립공원의 집단시설지구 건축물의 높이를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주요 조망점으로부터 건축물 상단을 지나는 조망선이 배후산지의 몇 부 능선까지 도달하는지를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분석 결과로 내륙의 산악형 국립공원 내부 혹은 경계에 입지하는 시설지구와 배후 산지가 있는 해안형 국립공원내의 시설지구의 경우, 3부 능선 보전을 목표로 하게 될 때 최대 허용 건축물 높이를 8.82m로 산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층수로 환산하면 3~3.5층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건축물 최대 허용 높이를 규정하는 것으로 랏지, 코티지 등을 제외한 호텔 등의 숙박시설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해안해상형 중에서 배후 산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별도의 기준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모든 집단시설지구에 동등한 일률적 기준을 적용하게 되면 지역 특성을 고려한 경관관리가 어렵다는 점과 조망점의 위치, 조망점 선정방법의 차이, 조망각도 차이 등의 변수에 따라 기준 적용 편차가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향후 높이규정과 함께 각 지구별 경관계획에 의해 해당 지구의 자연환경에 적합한 차별화된 경관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미세먼지에 대한 낙관적 편향,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 미래시간 조망과 우울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ptimistic bias, subjective perception, risk perception, and future-time-perspectives in terms of particulate matter and depression)

  • 임현빈;이종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41-349
    • /
    • 2020
  • 이 논문은 미세먼지에 대한 낙관적 편향과 우울 관계에서 미세먼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 및 위험 인식, 미래 시간 조망의 순차 다중매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참가자 54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성변인인 낙관적 편향을 독립변인으로, 우울을 종속 변인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위험 인식', '미래시간조망'은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SPSS Macro를 사용하여 순차다중매개모형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낙관적 편향은 우울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보다는 미세먼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 미래시간 조망이라는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순차적으로 우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낙관성의 부족은 미세먼지 대기질을 더 심각하다고 보고하는 경향성 및 제한된 미래 시간관과 관련이 있었으며, 나아가 우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 미세먼지로 인한 정신건강은 물론 삶의 질에 좀 더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겠다.

워크플로우 및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의 새로운 조망 (A Fresh Look on Workflow and Workflow Management System)

  • 한동수;심재용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28권3호
    • /
    • pp.395-40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워크플로우와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을 프로그래밍 언어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워크플로우 관련 데이터, 워크플로우 제어 구조 그리고 응용 프로그램 기동 등 많은 워크플로우 특성이 분산 병렬 프로그램의 해당 항목과 비교되었다. 그 결과 비록 사소한 차이는 존재하였지만 놀랍게도 그들간에는 많은 유사성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관찰에 근거하여 본 논문에서는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을 분산 병렬 프로그램 개발 플랫폼으로 조망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에 관한 이러한 새로운 조망을 통하여 워크플로우 시스템 사용자는 보다 일관성 있는 관점에서 워크플로우를 바라볼 수 있으며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 설계자는 워크플로우 시스템 설계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워크플로우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워크플로우와 프로그램의 유사성은 워크플로우와 관련된 많은 분석 기법의 개발에 이미 개발된 프로그램 분석기법을 원용 할 수 있는 논리적 기반을 제공한다.

  • PDF

이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와 공감의 상대적 효과 (The Relative Effects of Emotion and Empathy on Altruistic Behavior)

  • 조명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652-665
    • /
    • 2021
  • 본 연구는 개인이 사회적 존재로서 지켜가야 할 이타행동의 가치에 주목하고 이를 예측하는 정서와 공감요인의 상대적 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이론들에 따르면, 긍정적 정서와 공감이 높은 사람들이 이타행동을 많이 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보다 현실적으로 구현할 수 있기 위해서는 이타행동의 예측요인들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탐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타행동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정서와 정서적/인지적 공감의 효과를 각각 심리적 안녕감, 우울감, 공감적 관여, 조망수용의 차원에서 확인해보았다. 학부생 32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타행동에 심리적 안녕감은 영향을 미친 반면 우울감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이타행동에 공감적 관여는 영향을 미치는 반면 조망수용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네 가지 요인들의 상대적 효과를 확인한 결과, 이타행동에는 공감적 관여, 심리적 안녕감 순으로 효과를 미치는 반면, 우울감과 조망수용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이타행동에 미치는 정서와 공감의 영향을 재검증하고 요인들의 상대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등을 함께 고찰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