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초 활성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31초

윤작작물 잔류물의 제초활성 및 작물에 대한 선택성 (Herbicidal Activity of Rotation Crop Residues on Weeds and Selectivity to Crops)

  • 로미즈 우딘;변종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1호
    • /
    • pp.1-6
    • /
    • 2010
  • Allelopathic activity of rotation crop residues to common weeds and selectivity of crops were studied for developing an alternative weed control strategy in upland organic farming. All rotation crop residues with various ratios suppressed weed growth, but the growth of crop species stimulated a little when those were grown with the mixture of rotation crop residues except a few crop species. Among the rotation crop residues used in this study hairy vetch was the most effective, followed by Chinese milkvetch, barley and rye in suppression of weed growth. The 90:10 (crop:soil, v/v) treatments incorporation rate of crop residues such as hairy vetch and Chinese milkvetch suppressed completely the growth of all weed species test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rop residues on suppression of weed growth reduced to 90% when the incorporation rates decreased to 60% [60:40 (crop:soil, v/v). It was noticed that broadleaf weed species were more susceptible to rotation crop residues than grass weed species. In the influence of crop residues on the crop growth, no growth inhibition was found in red pepper, lettuce and perllia at any incorporation rates, but tomato, cucumber and corn were slightly inhibited in a few cases at their highest incorporation level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rotation crop residues especially hairy vetch and Chinese milkvetch have high herbicidal effects against weeds without inhibiting the growth of crop species.

벼 재배에서 imazosulfuron+fentrazamide 합제의 제형 및 처리시기에 따른 제초활성 (Herbicidal efficacy of various formulations and application timings of imazosulfuron+fentrazamide mixtures in rice)

  • 강광식;원옥재;박수혁;엄민용;황기선;서수정;변종영;박기웅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1호
    • /
    • pp.17-22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formulations and application timings of imazosulfuron+fentrazamide in rice field. Weeding efficacy of imazosulfuron+fentrazamide SC (75+300 g a.i./ha) was more than 95% except Bidens tripartita. The efficacy of this formulation was not related to its formulations but was highly related to application timing. Herbicide application before 5 days after transplanting was best timing to get a maximum weed control. Systemic application before and after transplanting was much higher than single application for weed control. Second leaf stage of Echinochloa spp. and sulfonylurea resistant Monochoria vaginalis was controled over 90% in the imazosulfuron+fentrazamide SC (75+300 g a.i./ha). Based on these data, imazosulfuron+fentrazamide can be applied to provide effective weed control especially in the field infested with herbicide resistant M. vaginalis.

Benzobicyclon 혼합제의 제형 및 처리시기가 제초활성 및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mulation types and application timing of benzobicyclon-mixture on weed control and phytotoxicity of rice)

  • 원옥재;정종휘;송재은;박수혁;황기선;한성민;변종영;박기웅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4호
    • /
    • pp.311-316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wo different formulations and application timings of benzobicyclon+penoxsulam+pyrzaosulfuron-ethyl (BPP) in rice field. BPP granule (GR) and tablet (TB) controlled more than 90% of four weed species 10 and 15 days after sowing in direct seeding when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BPP TB was highly effective to control herbicide resistant Scirpus juncoides and Monochoria vaginalis both 10 and 15 days after transplanting (DAT). BPP GR controlled 94.0 and 96.5% of S. juncoides and M. vaginalis, respectively 10 DAT, but its efficacy decreased to 88.5 and 49.8% respectively 15 DAT. When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no visual injuries were detected at 255 and 510 g a.i./ha of BPP. The yield of rice increased in both BPP GR and TB in transplanting and direct seeding rice cultivation when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Based on these data, early application (10 DAT) of BPP GR and TB can be applied to provide effective weed control, especially in the field infested with herbicide resistant weed species.

Correlation Between food Processing-Associated Stress Toleranc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in Food Pathogens

  • Woode, Benjamin Kojo;Daliri, Frank;Daliri, Eric Banan-Mwine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3-108
    • /
    • 2020
  • 최근 최소한으로 가공된 안전한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식품가공 업체에서는 식품안전을 강화하고 유통기한을 연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가공공정 중 허들기술(hurdle technology)을 적용하고 있다. 한편, 연구에 따르면 식품에 함유된 병원균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공정 및 방법들은 식중독세균들의 스트레스 적응 메커니즘을 촉발시켜 심지어 후속 치료로 부터 교차 보호를 준다. 또한, 항생제와 제초제 사용과 같은 일상적인 농장 관행은 항생제 내성을 가진 병원균의 생성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는 식품 처리과정과 관련된 스트레스에 내성을 가질 수 있고 가공 식품에서 생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 리뷰에서는 식품가공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항생제 내성의 상관관계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항균성 화합물 및 기타 식품 처리 관련 스트레스에 대한 교차 보호 수단으로서 시그마 인자(sigma factors), SOS 반응 경로(SOS response pathways) 및 유출 펌프(efflux pumps)의 사용과 같은 분자유전학적 기작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제초제 Paraquat의 NAD(H) 산화환원에 대한 영향 (Effect of Herbicide Paraquat on NAD(H)-Redox-cycle)

  • 김미림;최경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04-310
    • /
    • 2005
  • 생체세포에 대한 paraquat의 독작용은 superoxide dismutase 활성저해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세균이 paraquat에 매우 짧은 시간동안의 노출에 의하여서도 독작용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됨에 따라 paraquat의 독작용의 하나로서 전자전달에 미치는 영향 중 NAD(H)의 산화 및 환원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균의 원형질막 획분, rat mitocondria분산액 및 NAD-dependent dehydrogenase에 의한 산화 및 환원시 paraquat 첨가구에서 반응 Graph의 경사도가 더 컸으며, 반응 개시점 및 종결점이 대조구에 비해 낮은 결과로 반응이 가속화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반응을 경시적으로 NAD(H)의 함량변화로 검토한 결과에서도 원형질 막 획분과 rat mitocondria 분산액을 이용한 경우에 10분간의 NADH산화량이 대조구는 각각 960 mM, 1,187 mM이었으나 Paraquat 처리구는 각각 1,200 mM, 1,434 mM로 Paraquat 처리구가 반응 가속화 경향을 보였다. NAD(H) dependent dehydrogenase에 의한 NAD(H)의 산화 및 환원 반응에서도 대조구에 비하여 Paraquat 처리구가 초기반응의 가속화 및 총산화량의 증가를 보였다.

Paraquat 독성 경감제 검색 및 그 억제 기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creening of Paraquat Toxicity Reducing Agent and its Inhibition Mechanism)

  • 이정훈;구성자;정세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2-198
    • /
    • 1998
  • 제초제 paraquat의주된 독성 기전이 인체내 대사과정중 생성되는 superoxide anion radical $(O_{2-})$에 의한 것이라고 최근 보고된 바, 항산화작용을 갖는 taurine을 가지고 paraquat 독성 경감 효과 및 억제 기전에 관한 실험을 하게 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혈액생화학적인자 분석을 종합해 보면 paraquat의 독성 경감효과는 taurine, aloesin, ${\beta}-carotene$ 중 taurine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aloesin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vivo에서 taurine은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 paraquat에 의해 유도된 간독성 지표인 sGPT. sGOT치, 신장독성 지표인 BUN, creatinine치 및 조직 손상의 지표인 ALP, MDA치를 정상으로 회복시켰다. 폐조직중의 MDA량, ALP 활성 및 collagen 량이 정상치로 회복이 되었다. 이로써 taurine은 paraquat의 폐독성 및 각 장기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경감 시켜 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잔류농약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 개발에 관한 연구 (II) Thiocarbamates 제초제의 잔류농약 분석법 개발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s for Pesticide Residues (II) : The Development of the Analytical Method for Thiocarbamates Herbicides)

  • 이대운;최용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6-74
    • /
    • 1992
  • HPLC로 11종의 티오카바메이트들의 다성분 동시분석법을 연구하였다. 배추시료에 넣은 티오카바메이트는 추출, 분배, 세척, 및 분리-검출이 단계로 분석되는데, 추출용매로서는 아세톤을 선택하였고, 분배용매로서는 50% 염화메틸렌/석유에테르 혼합용매가 좋은 회수율을 보였다. 분배효율은 물층의 pH 영향을 받는데 산성 혹은 중성에서는 영향이 없으나 염기성에서는 감소하였다. 세척단계에서 공추출물의 제거효율은 응고액 처리법 보다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이 우수하였다. 흡착제로는 활성탄/마그네시마/셀라이트 1/2/4)의 흡착제가 좋은 효율을 보였으며, 클로로필드 효과적으로 제거되었다. 이 방법으로 배추에 있는 2ppm정도의 티오카바메이트의 동시 분석의 결과는 평균회수율이 91%, 상대표준편차가 약 8%, 검출한계가 2.2${\sim}$9.3ng이었다.

  • PDF

벼 어린모 기계이앙답에서 수면부상성 Benzobicyclon합제의 제초활성 (Herbicidal Efficacy of Benzobicyclon Up Granule Formulations in Infant Seeding Machine Transplanting of Rice)

  • 원옥재;신훈탁;노석원;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25-229
    • /
    • 2016
  • 본 시험은 벼 어린모 기계이앙 답에서 발생하는 일년생 잡초와 다년생잡초에 대한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enzobicyclon을 기반으로 한 수면부상성 입제로 개발한 BAO UG와 BBF UG의 방제효과를 BIF SC와 비교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약제인 BAO UG와 BBF UG의 잡초방제효과는 96%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벼에 대한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후기생육 및 수확량에 있어서도 시험약제와 대조약제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모두 벼에 대해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사용한 수면부상성 입제의 경우 쉽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벼 생력재배를 위해 이용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인삼 민속주의 제초 및 생리 기능성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Traditional Ginseng Liquor)

  • 김효진;이주찬;이가순;전병선;김나미;이종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74-78
    • /
    • 2002
  • 인삼을 이용한 고부가가차의 생리 기능성 민속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신동진쌀, 대산쌀, 일품쌀, 농호쌀, 남강쌀 등에 인삼을 덧밥 기준으로 각각 1%, 4%, 8%씩 첨가한 다음 주모를 가하여 $25^{\circ}C$에서 10일간 발효시켰을 때 약 14.0%~15.6%의 에탄올이 생성되었고 쌀 품종간의 에탄을 생성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기호도와 색상은 일품쌀에 인삼을 4% 첨가하여 제조한 인삼 민속주가 제일 우수하였고 고혈압 예방에 관련된 ACE 저해활성이 약 80.8%로 높았다. 또한 일품쌀 4% 인삼 민속주는 0.53%의 조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었다.

Quinclorac과 Bensulfuron-methyl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 벼의 생장(生長)에 대한 제초제간(除草劑間) 길항작용(拮抗作用) (Antagonistic Interaction between Quinclorac and Bensulfuron-methyl on Growth of the Rice Plants)

  • 권오연;권용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88-294
    • /
    • 1997
  • 본(本) 연구(硏究)는 논 제초제(除草劑)로서 근래(近來)에 합제화(合劑化)된 bensulfuron-methyl과 quinclorac, 두 제초제(除草劑) 성분(成分)이 약해면(藥害面)에서 벼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를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Quinclorac은 0, 300, 600, 900g ai/ha수준, bensulfuron-methyl은 0, 25, 50, 100g ai/ha수준에서 조합(組合) 처리(處理) 하였으며, 벼는 추청벼 10, 35, 55일묘(日苗)를 공시(供試)하고 온실, 생장상 및 포장에서 실험하였다. 제초제간(除草劑間)의 상호작용성(相互作用性)은 Chisaka 및 Colby의 성적분석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벼 총건물중(總乾物重)을 10% 감소(減少)시키는 약량(藥量)은 quinclorac 단제처리의 경우 aj/ha, 유묘기(幼苗期)(파종후 20일 : 3.5엽기)에는 584.8g ai/ha, 분얼기(分蘖期)(파종후 65일 : 7엽기)에는 517.7g ai/ha로 벼의 생육기(生育期)에 따른 차이가 작았으나 bensulfuron-methyl 단제처리의 경우에는 유묘기에는 43.2g ai/ha, 분얼기에는 84.2g ai/ha으로 벼의 생육기에 따라 약제에 대한 내성(耐性)이 크게 달랐다. 2. Quinclorac과 bensulfuron-methyl을 벼의 유묘기(幼苗期)와 분얼기(分蘖期)에 혼합처리(混合處理)하였을 경우 총(總) 건물중(乾物重)을 10% 감소시키는 등(等) 효과선(效果線)을 얻은결과 상호작용지수(相互作用指數)(antagonism index)는 -0.63 과 -0.67로서 길항작용효과(拮抗作用效果)가 인정되었으며, quinclorac과 bensulfuron-methyl간에 최대의 길항효과(拮抗效果)를 나타낸 혼합비율(混合比率)은 유묘기에는 796.3 : 100g ai/ha, 분얼기에는 760.3 : 100g ai/ha로서 유묘기에 길항효과가 컸다. 3. 지상부(地上部) 생장에 대한 길항작용효과(拮抗作用效果)에 있어서 유묘기에는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 감소(減少)가 quinclorac 600g ai/ha에 bensu1furon-methyl 100g ai/ha를 혼합처리(混合處理)한 구에서 quinclorac 600g a.i/ha과 bensulfuron-methyl 100g a.i/ha의 각 단제처리 구보다 작았으며, 상호작용지수(相互作用指數)(antagonism index)는 -0.79이었다. 분얼기(分蘖期)때는 quinclorac 600g ai/ha에 bensu1furon-methyl 25g ai/ha를 혼합처리한 구가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해 지상부 건물중이 증가되었으며, 상호작용지수(antagonism index)는 -1.33 이었다. 4. Quinclorac의 auxin적 활성(活性)에 의해 발생되는 통엽(筒葉)은 유묘기(幼苗期)처리시에는 quinclorac 600g ai/ha단제 처리구에서 개체당 평균 0.22개의 분얼(分蘖)(1.87%) 에서 발생하였으며, quinclorac 900g a.i/ha의 단제처리구에서는 개체당 5.44개의 분얼(分蘖)(47.10%)에서 발생하였다. 또한 분얼기(分蘖期) 처리시에 는 quinclorac 900g ai/ha의 단제처리구에서 개체당 평균 0.22개의 분얼(2.2%)에서 통엽(筒葉)이 발생하였다. 5. Quinclorac과 bensulfuron-methyl을 혼합처리(混合處理)하였을 때는 bensulfuron-methyl의 처리량(處理量)이 증가(增加)할수록 통엽(筒葉)발생이 급격히 감소(減少)하여 유묘기에 quinclorac 600g ai/ha과 bensulfuronmethyl 100g ai/ha를 혼합처리한 구에서는 통엽발생(筒葉發生)이 없었으며, quinclorac 900g a.i/ha과 bensulfuron-methyl 100g a.i/ha을 혼합처리한 구에서는 개체당 1.78개의 분얼(18.45%)에서만 통엽(筒葉)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분얼기 에서는 길항효과(拮抗效果)가 잎의 발육면(發育面)에서도 충분히 나타나 모든 혼합처리에서 통엽(筒葉)이 발생되지 않았다. 6. 약제처리효과(藥劑處理效果)의 온도반응(溫度反應)에서는 quinclorac 600g ai/ha 단제처리구(單劑處理區)에서는 온도(溫度)가 낮을수록, bensulfuron-methyl 102g aijha 단제처리구에서는 온도(溫度)가 높을수록 총(總) 건물중(乾物重) 감소(減少)가 심해졌으며, 이들의 혼합처리(混合處理區)에 있어서는 온도(溫度)가 낮을수록 총(總) 건물중(乾物重) 감소(減少)가 작아졌다. 또한 quinclorac 600g a.i/ha과 bensulfron-methyl 102g a.i/ha을 혼합처리하였을 때 저온조건(低溫條件)에서의 quinclorac 600g ai/ha 단제처리나, 고온조건(高溫條件)에서 bensulfuron-methyl 102g ai/ha 단제처리보다 총(總) 건물중(乾物重) 감소(減少)가 적었다. 온도(溫度)에 따른 상호작용성(相互作用性) 변화(變化)는 총(總) 건물중(乾物重)의 실측치(實測値)와 기대치(期待値)의 차이가 저온조건(低溫條件)에서 -32.44, 적온조건(適溫條件)에서 -21.92, 고온조건(高溫條件)에서 -21.53으로서 온도(溫度)가 낮아질수록 길항효과(括抗效果)가 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