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주-11

검색결과 888건 처리시간 0.03초

수산물에서 분리한 대장균의 혈청형 및 생화학적 특성 (Serotypes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Seafood Products)

  • 함희진;진영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
    • /
    • 2003
  • 서울시 가락농수산물시장에서 2001년 1-12월 수거한 총 742건의 수산물(어류 192건, 패류 242건, 갑각류 39건 그리고 연체류 71건)을 대상으로 대장균을 분리 동정한 결과 12.4%(92/742) 검출율을 보였다. 분리된 92주의 월별분포를 살펴보면, 1월 10%(1/10), 2월 7.1%(2/28), 3월 9.7%(7/72), 4월 10.8%(8/74), 5월 1.9%(1/53), 6월 20.3%(16/79), 7월 13.3%(10/75), 8월 40.0%(20/50), 9월 8.1%(7/86), 10월 10.0%(9/90), 11월 8.3%(6/72) 그리고 12월 9.4%(5/53) 검출율을 보여 6-8월 등 하절기에 많은 대장균이 분포됨을 알 수 있었고, 검체별 분포를 살펴보면, 어류가 10.4%(20/192), 패류 14.5%(35/242), 갑각류 4.7%(10/212)그리고 연체류 28.1%(27/96) 검출율을 보여, 연체류가 어류, 패류 및 갑각류에 비해 대장균 분리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강원 12.5%(8/64), 경기 8.7%(6/69), 경남 18.4%(25/136), 경북 33.3%(1/3), 전남 13.2%(30/228), 전북 11.8%(8/68), 충남 6.3%(2/32), 제주 17.7%(3/17) 그리고 우리나라 이외의 지역에서 7.2%(9/125) 검출율을 보였다 92주 가운데 61주를 대상으로 분리균들의 O 혈청형을 동정한 결과, 개미더덕 1건에서 O6, 숭어와 갈치 각각 1건에서 O25가 확인되었고, 개미더덕, 한치알, 백합 각각 1건에서 O29가, 개미더덕 1건에서 O78 그리고 굴, 갑오징어, 갈치, 병어, 적어, 동죽살 각각 1건씩에서 O112, O136, O146, O159, O166, O168이 각각 확인되어 총 21.3%(13/61) 혈청형이 동정되어 어패류 등 수산물에 대장균이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 재래 적미 수집 및 특성 검정 I. 지리적 분포와 종실특성 (Collection and Evaluation of Korean Red Rices I. Regional Distribution and Seed Characteristics)

  • 서학수;박순직;허문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25-430
    • /
    • 1992
  • 우리나라 농가 포장에 현재까지 잔존하는 적미를 수집하여 이를 유전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제주도와 도서지방을 제외한 전국 8개 도 101개 시, 군에서 1,113계통의 적미를 수집하여 이들을 입형에 따라 분류하고 지리적 분포화 몇가지 종실특성을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집된 적미는 외관상 Indica에 가까운 장립형과 Japonica에 가까운 단립형으로 구분되었는데 장립형의 정조 장폭화는 3.01$\pm$0.11,, 단립형의 정조 장폭화는 2.28$\pm$0.12였다. 2. 장립형 적미는 경상남북도의 낙동강유역과 전라남북도의 섬진강유역에 주로 분포하였고 단립형 적미는 전국에 분포하였다. 3. 장립형과 단립형 적미는 종피색은 적색이 각각 90.8%, 88.8%로서 대부분이었으나 장립형에는 백색이 9.2%, 단립형에서는 갈색과 백색이 각각 10.6%, 0.6% 있었다. 4. 장립형 적미는 9.3%와 단립형 적미의 30.8%는 phenol반응을 나타내었다. 5. 장립형에는 찰성이 없었으나 단립형 적미에는 4.3%가 찰성이었다. 6. 장립형 적미는 거의 까락이 없었으나 단립형 적미의 49.6%는 까락이 있었다. 7. 장립형 적미는 모두 탈립이 쉬웠으나 단립형 적미의 14.8%는 탈립이 정상적이었다.

  • PDF

오차드그라스 신품종 "코디원"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New Orchardgrass(Dactylis glomerata L.) Variety "Kordione")

  • 최기준;성병렬;서성;김기용;이종경;박형수;문정섭;지희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3-56
    • /
    • 2007
  • 신품종 "코디원"은 오차드그라스 계통들 중 생육특성 및 내재해성이 우수한 5계통을 집단 교배하여 생산된 합성종자를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수원에서 생산력 검정시험이 수행되었고, 2003년부터 2005년까지 3년동안 지역적응성 시험으로 수원, 남원, 대관령 및 제주지역에서 생육특성 및 수량성이 조사되었다. 코디원의 월동전 및 봄의 초형은 중간형이며, 엽은 농녹색이고, 출수기에 지엽의 길이는 짧으며, 상부절간장의 길이도 짧고 풍엽성이 양호하였다. 출수기는 5월 10일로 표준품종 Ambassador가 5월 8일로 2일이 늦었으며, 출수기에 초장은 71cm로서 Ambassador와 비슷하였다. 내한성과 도복은 코디원이 Ambassador에 비하여 강하였으며, 엽부병 및 녹병은 코디원이 Ambassador와 같이 강한 편이었다. 코디원의 ha당 건물수량은 12,081 kg으로 Ambassador 보다 11% 많았고, 모든 지역에서 증수되었다. 코디원의 사료 품질특성은 Ambassador와 비슷하였다.

칡소와 비경흑색 한우의 Melanocortin Receptor 1 (MC1R) 유전자형 분석 (Analysis of Melanocortin Receptor 1 (MC1R) Genotype in Korean Brindle Cattle and Korean Cattle with Dark Muzzle)

  • 이성수;양보석;양영훈;강승률;고성봉;정진관;오운용;오성종;김규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23-30
    • /
    • 2002
  • 칡소와 비경흑색 한우의 MC1R 유전자의 유전자형를 조사하고 칡소의 모색 발현과 한우 비경색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MC1R 유전자의 PCR-RFLP 분석을 수행하였다. 소에서 나타나는 6가지 유전자형($E^D/E^D,\;E^D/E^+,\;E^D/e,\;E^+/E^+,\;E^+$/e와 e/e) 중 칡소에서는 단지 2개의 유전자형 $E^+/E^+$$E^+$/e 만이 출현하였고, e/e 유전자형을 가지는 개체는 전혀 출현하지 않아 제주재래흑우에서와 같이 흑색 호반모가 발현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E^+$ allele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비경흑색 한우와 비경황색 한우에서는 모두 $E^+$/e 혹은 e/e 유전자형이 출현하였고 $E^+$와 e allele의 빈도는 각각 0.37, 0.63과 0.11, 0.89였다. 비록 $E^+$ allele의 빈도가 비경흑색 한우에서 비경황색 한우에서 보다 높았지만, $E^+$ allele과 비경 흑색과는 완전한 연관성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MC1R 유전자 분석이 칡소 뿐만 아니라 한우의 모색 고정에도 유용한 도구로 이용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시설온주밀감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평가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Greenhouse Satsuma Mandarin)

  • 황인주;김찬식;강순선;고정삼;오영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4호
    • /
    • pp.313-317
    • /
    • 1997
  • 제주산 시설온주밀감의 이화학적 성분과 품질에 관여하는 내적 및 외적요소를 측정하여 과실의 품질특성을 알아보았으며, 당도와 산도의 차이에 따른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과즙의 sucrose, fructose 및 glucose는 2 : 2 : 1.5의 비로 존재하였으며, 주요 유기산인 citric acid는 전체 유기산의 70%였다. 착색도와 당산비 간의 상관성은 0.563으로 높아 착색도는 감귤의 숙도를 나타내며, 성분특성치 중 산과 pH는 상관계수가 -0.882로 높아 품질평가 시 측정이 간편한 pH를 산함량 대신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당이 높을수록 기호도 점수는 좋았으나 이에 대응하는 산도의 범위에 따라 한정적이며, 산도가 너무 적거나 높아도 좋은 평가를 얻을 수 없었다. 시설온주밀감의 관능적 품질은 당도 11 brix 이상, 산함량 $0.5{\sim}1.0%$이어야 기호도에 적합하였다.

  • PDF

삼다수 숲길의 식물상 (Flora of Samdasoo traking course in Jeju-do)

  • 정준호;이선희;문성필;윤석진;김지영;송관필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5-55
    • /
    • 2018
  • 한라산 동부지역에 위치한 삼다수 숲길은 삼나무, 편백나무, 곰솔림과 낙엽활엽수림으로 이루어진 숲이다. 현재 삼다수 숲길이 조성되어 관리되고 있으나 식물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는 실정으로 식물상을 조사하여 관리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는 2018년 03월부터 2018년 08월까지 총 10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삼다수 숲길에 생육하는 관속식물은 86과 183속 255종 11변종 4품종의 총 270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양치식물 12과 18속 30종 1변종 31분류군, 나자식물 2과 3속 3종 3분류군, 피자식물 72과 162속 222종 10변종 4품종으로 쌍자엽식물 64과 129속 176종 9변종 3품종 188분류군, 단자엽식물 8과 33속 46종 1변종 1품종 48분류군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5종, 제주특산식물 3종 외래식물이 13종 채집되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 5등급 3종, 4등급 11종, 3등급 23종, 2등급 12종, 1등급 26종 총 75종이 발견되었다. 국가 적색목록 식물은 위기(EN) 1분류군, 준위협(NT) 3분류군, 관심대상(LC) 4분류군, 미평가(NE) 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식물들의 휴면형은 H형이 62분류군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MM형 40분류군, M형 31분류군, N형 29분류군, E형 3분류군, Ch형 22분류군, G형 51분류군, HH형 4분류군, Th형 28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지하기관형은 R1 2분류군, R2 23분류군, R3 71분류군, R4 18분류군, R5 156분류군으로 R5가 57.85로 가장 높은 비율로 분포하였다. 산포기관형은 D4가 47.4%로 가장 높은 비율이였으며, 생육형(Growth form)은 직립형(e)이 53%로 가장 높은 비율로 분포 하였다.

  • PDF

지역 문화관광상품으로서의 기념품 개발 연구 - 기념품 디자인 개발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uvenirs as Local Cultural Tourism Products - Focused on developing souvenir design -)

  • 황균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73-79
    • /
    • 2020
  • 최근 지방자치주의가 강화되고, 문화관광 산업이 4차 산업혁명의 동력원으로까지 인식되자 지역 문화관광 산업의 활성화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은 더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역 문화관광상품의 개념과 유형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중심의 연구로 한국 지역 문화관광 산업의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을 SWOT분석방법으로 이용하였다. 본문에서는 지역 문화관광상품 개발에 현황을 대표적 3곳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는데, 서울, 제주도, 경주 모두 지역 문화관광상품이 부족하다는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문화관광상품 개발의 경제적 측면뿐 아니라 문화발전이라는 역할을 통해 또 다른 가치를 찾았다. 이처럼 중요성이 더욱 커진 지역 문화관광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차별화된 독창성 상품개발과 효율적 마케팅, 이를 뒷받침하는 법률적 보안까지 다방면으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문화관광 산업 연구자와 관련 업계에 더 좋은 자료가 되기 위해서는 향후 여러 제약으로 실시하지 못한 자세한 설문조사가 곁들여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B형 간염 예방접종 전후 연령별 B형 간염 표면항체 양성률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Positive Rate of Hepatitis B Surface Antibody by Age before and after HBV Vaccination)

  • 김지로;이규택;정무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77-82
    • /
    • 2020
  • B형 간염 예방접종 전후 연령별 B형 간염 표면항체 양성률을 분석하기 위하여 제주지역 종합병원 검사의학과에 B형 간염 표면항체 검사가 의뢰된 13,855명의 혈청 검체를 대상으로 CMIA법으로 조사하였다. HBs Ab 양성률은 5,176건으로 37.36%이었으며, 성별에 따른 양성률은 여자가 40.13%로 남자의 34.77%보다 높게 나타났다. HBs Ab 측정 평균값이 가장 높은 연령군은 40대(399.86 mIU/mL)이었으며, 가장 낮은 연령군은 90대(211.50 mIU/mL)로 나타났다. HBs Ab 양성률이 가장 높은 연령군은 30대이며, 10대의 양성률이 가장 낮은 분포를 보인 것은 주목할 만하다. 10대~20대의 B형 간염 표면항체 양성률이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15, 18, 19세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에 예방접종의 역가의 측정을 고려하고 추가접종 시기를 명확히 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5+2광역경제권의 지역경제력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the Regional Economic Power of the Korean 5+2 Mega-regional Economic Zones)

  • 박숙진;김태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18-328
    • /
    • 2010
  • 본 광역권별 경제력 비교분석은 정부의 지역경제정책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콜드스타트(cold start)된 5+2광역경제권의 상이한 경제여건과 펀더멘털을 고찰하고 설정된 비교지표를 중심으로 전국 7대 광역권의 지역경제력을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글로벌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자립적 광역경제권을 육성한다는 정부의 지역경제정책의 타당성과 향후 광역경제권의 정책방향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경제력지수 비교결과, 수도권의 경제력지수가 절대 우위에 있는 반면 강원권, 호남권, 제주권은 상대적 열위상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의 특성과 경제적 펀더멘털이 다르기 때문에 향후 지역발전 및 광역경제권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서는 이를 고려한 세심한 배려와 발전계획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정부는 지역경제여건을 감안한 광역경제권사업의 지역안배와 조정을 통하여 지역사업의 중복성 문제를 원천 차단함으로써 재정의 효율성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수요분석에 기초한 demand-based policy와 demand-pull policy, 지역낙후성을 감안하여 예산균등할(豫算均等割)정책보다는 비균등할 지원책을 탄력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의 딸기세균모무늬병 발생분포 및 딸기세균모무늬병균 특성조사 (Distribution of Bacterial Angular Leaf Spot of Strawberry and Characterization of Xanthomonas fragariae Strains from Korea)

  • 윤명주;명인식;이재연;김유신;이용환;김대영;이영기
    • 식물병연구
    • /
    • 제22권1호
    • /
    • pp.9-17
    • /
    • 2016
  • 2012년 11월 국가관리세균병인 딸기세균모무늬병 발생 분포를 조사하였다. 충청남도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1,482농가포장을 조사한 결과, 경남 진주시 수곡면, 하동군 옥종면 88농가포장과 전북 남원 1농가포장에서 병이 발생되었다. 남원에서 발생된 포장은 병 진단 후 폐원되었다. 2012년 2월에서 2015년 1월까지 경남 진주시 수곡면과 하동군 옥종면의 딸기세균모무늬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2012년 12월 조사에서 수곡면은 45% 발생 후 감소하여 2015년 1월까지 약 5% 발생되었고, 옥종면은 2013년 11월 38% 발생후 감소하여 2015년 1월 약 5% 발생하였다. 분리된 세균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생리생확학적 특성은 X. fragariae 대표 균주와 일치하였다. 딸기세균모무늬병균의 dnaK (940 bp), fyuA (698 bp), gyrB (865 bp), rpoD (873 bp) 유전자들을 대상으로 3374 bp 염기의 MLSA 분석 결과를 딸기세균모무늬병 대표 균주와 비교한 결과 모든 유전자는 100% 일치하였다. X. fragariae BC3191과 BC3195에 대한 딸기 품종의 저항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모든 품종은 딸기세균모무늬병에 감수성이었다. 모든 품종들은 접종 2주 후 접종 부위가 괴저되고 확장되어 저항성 등급 4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