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주특별자치도

Search Result 24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전(電)력질주 - 제주 해상풍력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448
    • /
    • pp.86-91
    • /
    • 2014
  • 돌, 여자, 바람이 많다 해 삼다도(三多島)라 불리는 제주. 삼다 중에서도 특히 제주의 바닷바람은 거세기로 유명하다. 그런데 이제 거센 바람이 깨끗한 전기를 만드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재탄생하고 있어 관심이 크다. 지금 제주에서는 해상풍력 관련 R&D센터가 본격적인 가동을 시작했고, 각종 실증 사업들도 구체화되고 있다. 또한, 제주특별자치도 역시 바람을 자원화하기 위한 세부 정책을 마련, 실행에 옮기고 있다.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는 해상풍력 분야에서 제주가 아시아 시장의 허브로 도약할 채비를 마친 것이다. 해상풍력 시대를 이끌 리더로 급부상한 제주 해상풍력의 현재와 미래를 소개한다.

  • PDF

Statu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of water resources analysis in Jeju Island (제주도 수자원분석의 현황, 문제점 및 개선방안)

  • Shin, Mun-Ju;Moon, Soo-Hyoung;Moon, Duk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62-362
    • /
    • 2019
  • 제주도는 화산섬의 지질특성상 지표수의 개발이용여건이 취약한 관계로 용수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도는 정책 및 연구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지하수의 보전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지하수위의 하강 및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수침투의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며, 제주도 일부지역에서는 축산폐수 등으로 인해 지하수의 수질오염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도 지하수의 수량 및 수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하수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제주도의 수자원의 개발 및 이용 여건을 고려할 때, 지하수의 수량 및 수질에 대한 학술적 토대가 확고히 구축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대응한 최적 물관리기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제주도의 수자원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제주도 전역에 대해 최신의 분석방법을 사용한 종합적인 연구가 아닌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하지질분석, 지구물리탐사 및 대수성시험 위주의 단편적 분석, 개념적 수문모델의 적용에 의한 대략적인 분석, 또는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하수 흐름분석 및 해수침투 분석 위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데 첫째, 일부지역의 지하지질이 제주도의 복잡한 지하지질특성을 대표할 수 없다는 점과 둘째, 개념적 수문모델은 제주도와 같이 강우의 큰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할 수 없으며 지하지질 특성의 공간적 변동성 또한 적절히 반영할 수 없다는 점 및 셋째, 지하수의 이동은 유역경계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독립된 소유역을 대상으로 산정한 지하수 부존량은 소유역내 실제 지하수 부존량과 다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 개별적으로 수행된 지표수, 지하수 및 수질 분석들은 서로 연결성이 없어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아 그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제주도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제주도 전역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서 제주도 전체를 대상으로 한 최신의 분포형 수문모델의 구축이 필요하며 이 수문모델은 지표수 및 지하수의 상호작용과 해수침투 및 수질 또한 모의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개발된 모형과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미래 수자원변화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해외연구사례로서 미국지질조사국이 하와이 섬들 및 괌 등에 대해 수행했던 연구들을 참고할 수 있다. 제주도 전체에 대한 신뢰할만한 종합적인 분석결과는 제주도 수자원의 정책수립에 기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haracteristic Analysis of Industrial Structure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Using Dynamic Shift-Share Analysis (동태적 변이할당분석을 이용한 제주특별자치도 산업구조 특성 분석)

  • Yang, Young-J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8
    • /
    • pp.181-193
    • /
    • 2019
  • The regional economy growth of Jeju has seen higher than national growth since 2011 by the establishmen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the increase of incoming population, but its economic growth has slowed after 2016. This study conducted the dynamic shift-share analysis using the production and employees of each industry from 2010 to 2016, targeting Jeju with many factors of regional economic change. I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the regional economy of Jeju was not the industrial structure depending on the national growth, but the industrial structure by the competitiveness and industrial structure of Jeju region. The industries having positive(+) effects of industrial mix effect and competitive effect on the production and the number of employees were the electricity/gas/heavy equipments & waterworks, construction, accommodation & restaurants, and service industry. These industrie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regional industry of Jeju. The above-mentioned industries are not only more likely to grow than other regions, but also to drive the local economy of Jeju. In order for these industries to continuously contribute to the regional economy of Jeju,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the policy/institutional support in the long-term perspective.

A Case Study on the Smart Tourism City Using Big Data: Focusing on Tourists Visiting Jeju Province (빅 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관광 도시 사례 분석 연구: 제주특별자치도 관광객 데이터를 중심으로)

  • Junhwan Moon;Sunghyun Kim;Hesub Rho;Chulmo Koo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1 no.2
    • /
    • pp.1-27
    • /
    • 2019
  • It is possible to provide Smart Tourism Service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necessary for the tourism industry to understand and utilize Big Data that has tourists' consumption patterns and service usage patterns in order to continuously create a new business model by converging with other industries. This study suggests to activate Jeju Smart Tourism by analyzing Big Data based on credit card usage records and location of tourists in Jeju.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First, the percentage of Chinese tourists visiting Jeju has decreased because of the effect of THAAD. Second, Consumption pattern of Chinese tourists is mostly occurring in the northern areas where airports and duty-free shops are located, while one in other regions is very low. The regional economy of Jeju City and Seogwipo City shows a overall stagnation, without changes in policy, existing consumption trends and growth rates will continue in line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Third, we need a policy that young people flow into by building Jeju Multi-complex Mall where they can eat, drink, and go shopping at once because the number of young tourists and the price they spend are increasing.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ervices for life-support related to weather, shopping, traffic, and facilities etc. through analyzing Wi-Fi usage location.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s the marketing strategies and public policies for understanding Jeju tourists' patterns and stimulating Jeju tourism industry.

Analysis of Calssification Method for Drought in Jeju Island by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표준강수지수를 이용한 제주도 가뭄의 공간적 분석)

  • Lee, Jun Ho;Yang, Sung Kee;Yang, Won Seok;Kang, Myung Su;Kim, Min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67-367
    • /
    • 2017
  • 지국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강수의 편중이나 이상기온 등의 현상들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가뭄 및 홍수로 인한 피해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제주도는 수자원의 98% 이상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강수지수를 활용한 제주도 가뭄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가뭄 속성 인자들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인 가뭄지속시간과 가뭄 심도를 변수로 선택하여 각 지역의 가뭄특성과 지역 분류를 수행하였다. 제주도의 4개 기상대(제주, 서귀포, 성산, 고산)의 관측소별 표준강수지수(SPI 3, 6, 9, 12)를 산정한 결과 SPI 12가 SPI6에 비해 비교적 단순한 경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단기간 일수록 변동성이 심하고 장기간 표준강수지수는 비교적 극심한 가뭄을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지역별 가뭄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한 지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한가지 요소로만 구분할 수 없어 가뭄 속성 인자들의 동질성을 구분하였으며 가뭄 속성인자의 변량을 71.8%를 설명해 주는 2개의 요인을 주요인으로 산정하였다. 인자분석의 결과로 추출된 2개의 변수로 비계측적 군집방법 중 하나인 K-means 기법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7번의 반복계산에 걸쳐 군집이 종료 되었으며 최종적으로 2개의 군집이 형성 되었다. 기후변화는 전 세계와 제주도 수자원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어 수자원 정책 평가 및 관리에 매우 신중한 대비책을 요구하고 있다. 향후 다양한 입력자료를 활용하고 가뭄 산정기법과 가뭄 분류 등을 통하여 활발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PDF

ESCO탐방-(주)도암엔지니어링

  • Kim, Jin-Cheol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51
    • /
    • pp.22-25
    • /
    • 2008
  • 최근 유가가 고공행진 중이다. 정부는 고유가 대책으로 안정적인 자원확보와 동등하게 에너지절약에 심혈을 기울인다. 자원확보도 중요하지만 이 자원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이용할 것인가에 대한 해법을 찾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 이명박 대통령도 지식경제부 업무보고서 에너지절약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육지에서 바다를 건너야 닿을 수 있는 제주특별자치도(이하 제주도). 묵묵히 에너지절약을 선도하는 기업이있다. 주인공은 (주)도암엔지니어링(이하 도암) 이 회사는 도시계획.건축설게 토목설계 종합감리 등을 중심으로 미래 촉망받는 ESCO사업과 신.재생에너지사업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면서 발빠른 행보를 늦추지 않고 있다. 사업분야 다양화와 뭍으로의 사업영역 확대, 제주도에서 불기 시작한 바람이 육지를 강타하고 있다.

  • PDF

Assessing Vulnerability to Flood Disaster in Jeju area (제주지역 침수재해 취약성 평가)

  • Park, Chang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8-338
    • /
    • 2021
  • 우리나라 최남단에 위치한 광역자치단체인 제주특별자치도는 태풍의 길목에 위치한 지정학적 특성, 한라산 영향에 의한 호우의 산지효과,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상승 가속화 등에 의해 재해 위험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또한, 연안지역에 위치한 주거지, 숙박시설 입지 특성과 더불어 해안가의 개발수요 증가에 따라 재해취약성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을 대상으로 침수재해 취약성을 평가하고, 취약지역 특성을 파악한다. 그 결과, 도 내의 취약지역 분포와 취약등급에 따른 지역적 특성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취약지역 여건에 맞는 도시계획적 방재대책에 대한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기후변화 심화로 인한 호우 패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방재시설이 필요함은 물론, 취약지역에 적합한 도시계획적 관점의 관리대책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Serovars and Genetic Characteristic of Salmonella spp. Isolates from Jeju Island, South Korea (제주도에서 분리된 살모넬라균의 혈청형 및 유전학적 특성)

  • Eunok Kang;Man Jae Cho;Chang Hui Yang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9 no.2
    • /
    • pp.134-151
    • /
    • 2024
  • Salmonella spp. is among the most important water-borne and food-borne pathogens and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human gastroenteritis and diarrheal diseases globally. In this study,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food, environmental samples, and patients with food poisoning or diarrhea were investigated Salmonella serovars, antibiotic resistance using Vitek2, and genetic characteristics through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Salmonella spp. of 339 strains, including 26 strains from food or environmental samples and 313 strains from patients, were isolated from Jeju Island of South Korea between 2020 and 2023. The monthly number of isolated Salmonella spp. gradually increased from March, with the highest number being in Augu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patients according to gender was observed. However, Salmonella spp. was most frequently isolated from people aged 70 years or older and least frequently isolated from those between ages 10 and 19 years.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food or environmental samples were distributed among eight different serovars and the main serovars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S. Bareilly (26.9%), S. Rissen (23.1%), and S. Thompson (19.3%).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patients were distributed among 27 different serovars and the main serovars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S. Bareilly (31.0%), S. Typhimurium (24.6%), and S. Enteritidis (11.5%). The main cause serovars of Salmonella spp. outbreaks are S. Bareilly, S. Enteritidis, S. Thompson. Antibiotic resistance tests indicated resistance to various antibiotics and some Salmonella spp. exhibited multidrug resistance. Salmonella spp. showed various genetic correlations among the 17 serova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by predicting the appearance of Salmonella spp. and providing a scientific basis.

Characteristics of Hydaulic Conductivity in Middle-Jeju watershed (제주도 중제주유역의 수리전도도 특성)

  • Kim, Min-Chul;Yang, Sung-Kee;Lee, Jun-Ho;Yang, Wo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86-386
    • /
    • 2017
  • 지하수 해석을 위해 3차원 수치해석 모형이 적용되고 있으나, 다양한 매개변수를 명확히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수리전도도는 지층의 투수성정도를 나타내는 계수로 지하수 분석에 매우 중요한 매개변수이다. 신뢰성의 확보를 위해 양수시험을 통해 산출된 결과를 이용하고 있으나 소수관정의 시험결과를 유역의 대푯값으로 적용하기에 불확실도가 매우 높고, 수위변화가 독특한 지역의 정확한 수리특성을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수리전도도 특성을 해석하기 위하여 3차원 수치해석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모델보정 방법 중 Regularization(정규화)라고 불리는 Pilot point 기법을 사용하였다. 제주도와 같이 수리전도도 값이 지역별로 차이가 크고 동일 유역 내에도 다른 지질구조를 보이는 등 동일 매질에서 동일 투수성을 보이지 않는 다양함으로 실측값들을 적용하기에 어려운 곳에서 정규화라는 보정방법은 최적화된 방법이다. 지하수위는 중제주유역 내 위치한 12개소 수위관측정의 2016년 연평균수위를 적용하였다. 미계측지역은 제주도 등수위선자료를 이용하여 DEM을 구축하였으며, 임의지점 17개소를 선정하여 대표수위로 적용하였다. 중제주유역의 평균 수리전도도는 82.90 m/day로 분석되었으며, 유역의 동측 하류부는 최대 1,745 m/day로 비교적 큰 결과가 산출되었다. 유역의 중앙에 위치하는 OR관측정을 기준으로 동 서지역의 지하수위를 검토한 결과 서측은 지형구배에 따라 지하수위가 형성하고 있으나, 동측의 경우 상 하류의 표고차가 30m이상 발생되지만 지하수위는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지하수 흐름에 해석되는 Darcy의 방정식은 수리전도도와 동수경사는 반비례관계를 나타내며, 이 이론에 의해 상 하류 지하수위가 유사하게 형성되는 동측지역은 국부적으로 수리전도도가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무에서는 유역경계에 따라 평균화된 매개변수가 적용되므로 명확한 지하수 해석이 어렵고, 수리전도도와 같이 지역적 편차가 심한 매개변수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적용성검토가 수행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