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약정책

Search Result 55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 Overview of Readjustment Measures Against the Banking Industry's Non-Performing Loans (은행부실채권(銀行不實債權) 정리방안(整理方案)에 대한 고찰(考察))

  • Kim, Joon-kyu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3 no.1
    • /
    • pp.35-63
    • /
    • 1991
  • Currently, Korea's banking industry holds a sizable amount of non-performing loans which stem from the government-led bailout of many troubled firms in the 1980s. Although this burden was somewhat relieved with the aid of banks' recapitalization in the booming securities market between 1986-88, the insolvent credits still resulted in low profitability in the banking sector and have been detrimental to the progress of financial liber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This paper surveys the corporate bailout experiences of major advanced countries and Korea in the past and derives a rationale for readjustment measures against non-performing loans, in which rescue plans depend on the nature of the financial system. Considering the features of Korea's financial system and the banking sector's recent performance, it discusses possible means of liquidation in keeping with the rationale. The conflict of interests among parties involved in non-performing loans is widely known as one of the major constraints in writing off the loans. Specifically, in the case of Korea, the government's excessive intervention in allocating credits has preempted the legitimate role of the banking sector, which now only passively manages its past loans, and has implicitly confused private with public risk. This paper argues that to minimize the incidence of insolvent loan readjustment, the government's role should be reduced and that the correspondent banks should be more active in the liquidation process, through the market mechanism, reflecting their access to detailed information on the troubled firms. One solution is that banks, after classifying the insolvent loans by the lateness or possibility of repayment, would swap the relatively sound loans for preferred stock and gradually write off the bad ones by expanding the banks' retained earnings and revaluing the banks' assets. Specifically, the debt-equity swap can benefit both creditors and debtors in the sense that it raises the liquidity and profitability of bank assets and strengthens the debtor's financial structure by easing the debt service burden. Such a creditor-led or market-led solution improves the financial strength and autonomy of the banking sector, thereby fostering more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and risk sharing.

  • PDF

A Research on the Regulations and Perception of Interactive Game in Data Broadcasting: Special Emphasis on the TV-Betting Game (데이터방송 인터랙티브 게임 규제 및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승부게임을 중심으로)

  • Byun, Dong-Hyun;Jung, Moon-Ryul;Bae, Hong-Seob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35
    • /
    • pp.250-291
    • /
    • 2006
  • This study examines the regulatory issues and introduction problems of TV-betting data broadcasts in Korea by in-depth interview with a panel group. TV-betting data broadcast services of card games and horse racing games are widely in use in Europe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In order to carry out the study, a demo program of TV-betting data broadcast in the OCAP(OpenCableTM Application Platform Specification) system environment, which is the data broadcasting standard for digital cable broadcasts in Korea was exposed to the panel group and then they were interviewed after watching and using the program.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of all, while TV-betting data broadcasts have many elements of entertainment,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introduce TV-betting in data broadcasts as in overseas countries largely due to social factors. In addition, in order to introduce TV-betting data broadcasts, they suggested that excessive speculativeness must be suppressed through a series of regulatory system devices, such as by guaranteeing credibility of the media based on safe security systems for transactions, scheduling programs with effective time constraints to prevent the games from running too frequently, limiting the betting values, and by prohibiting access to games through set-top boxes of other data broadcast subscribers. The general consensus was that TV-betting could be considered for gradual introduction within the governmental laws and regulations that would minimize its ill effects.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formulate long-term regulations and policies for data broadcasts. Once the groundwork is laid for safe introduction of TV-betting on data broadcasts within the boundary of laws and regulations, interactive TV games are expected to be introduced in Korea not only for added functionality of entertainment but also for far-ranging development of data broadcast and new media industries.

  • PDF

음료$\cdot$다류 산업

  • 손헌수
    • Food Industry
    • /
    • s.180
    • /
    • pp.27-64
    • /
    • 2004
  • 국내 제조업 전체에서 식음료품은 $6.31\%$를 차지하고 있다. 2000년을 기준으로 식품산업의 총매출실적을 보면 32조 3,463억원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 중 식료품은 26조 921억원, 알콜올음료를 포함한 음료품은 6조 2,516억원을 차지하고 있다. 2001년, 음료시장의 규모는 약 2조 7,900억원 정도였다. 빠르게 성장하던 전체 음료시장의 매출은 IMF 이후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지속적으로 매출액이 상승하여 2002년에는 3조 4천억원의 매출을 기록하였다. 이것은 사이다, 후레바, 정통주스, 냉장주스, 스포츠 음료, 두유 및 기능성음료 등이 성장을 주도하였다. 2003년 상반기, 1조 6,500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3\%$ 감소하였지만 2003년 전체 실적은 대략 지난해와 비슷한 3조 5,000억원 규모로 전망된다. 내수량의 경우 탄산음료와 과즙음료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전체적으로는 증가하였다. 다류시장의 규모는 약 650억원, 캔커피시장의 규모는 2,400억원 정도로 나타났다. 이처럼 음료$\cdot$다류 시장은 전체적으로 약 4조원의 거대시장규모를 형성하고 있으며 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어, 점차 시장규모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능성 음료 및 다류의 시장규모가 전체의 $20\%$에 달할 정도로 신장하였으며, 기능성음료 및 다류의 특허출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비단 국내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현상이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기능성음료 및 다류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은 시대가 변하면서 현대인들의 생활방식과 식생활 변화, 질병형태 다양화 등 여러 사회적 여건이 변화되고 있는데 기인하며,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는 음료시장의 쾌속성장과 틈새수요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다. 현재 세계 건강기능성 식품의 시장 규모는 약 160조원이며, 국내의 경우 약 1조원에 이르는 실정이다. 이 중 기능성음료 시장은 국내에서 약 4천억원 규모로 기능성식품 시장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기능성음료 시장은 최근 연간 $7\%$ 정도의 빠른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에도 $6.7\%$의 실질 연간 성장률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해질(이온)음료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다이어트음료에서 출발한 기능성음료는 숙취해소, 성인병 예방, 스트레스 해소에 이르기까지 각종 질병의 치료 및 예방으로 확대되고 있다. 앞으로는 BT 및 나노 기술 등을 이용한 신기능 소재들에 대한 다각적인 효능의 규명에 따른 음료$\cdot$다류 소재의 개발과 더불어 체질개선, 다이어트, 숙취해소 등의 특정한 기능성과 관련한 음료$\cdot$다류의 특허출원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복잡한 한약의 제조과정을 단순화하여 티백이나 캔 형태로 만든 맛과 기능이 조화된 음료$\cdot$다류 분야의 연구개발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시장 규모의 확대와 더불어 기능성과 간편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신세대 소비자들의 성향을 겨냥하여 기존의 음료$\cdot$다류 전문 업체 외에도 제약회사 등의 비음료 업체도 다양한 형태의 음료$\cdot$다류 기술개발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새로운 신기능성 소재를 개발하는 것은 고부가가치 기술로써 BT, NT 등의 최첨단 기술의 발전과 도입으로 인해 그동안 수입에 의존하던 기능성 소재들도 국내 기업들의 축전된 기반기술을 통하여 대거 참입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여러 업체의 음료$\cdot$다류시장 진출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비위생이고 효능이 불확실한 식품의 유통, 업체간의 과열경쟁에 따른 유통질서 문란 등은 모처럼 활기를 되찾은 음료$\cdot$다류 분야의 기술개발을 위축시킬 수도 있으므로 정부차원에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이 수립되고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원료적인 측면에서의 무역 불균형은 반드시 해소되어야 할 부분이다. 대부분이 수입 기능성 원료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에서 국내의 BT 기술 확충에 더욱 많은 투자와 노력이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적으로 경쟁이 될 수 있는 기능성 소재의 개발과 이를 통한 신기능 음료의 개발은 단순한 수학적 계산을 넘어서 국가의 기술력을 홍보할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바야흐로 음료$\cdot$다류 분야에 대한 열기가 식품시장을 주도하면서, 시장이 안정적으로 확대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기술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고 하겠다.

  • PDF

Mapping Categories of Heterogeneous Sources Using Text Analytics (텍스트 분석을 통한 이종 매체 카테고리 다중 매핑 방법론)

  • Kim, Dasom;Kim, Namgyu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2 no.4
    • /
    • pp.193-215
    • /
    • 2016
  • In recent years, the proliferation of diverse social networking services has led users to use many mediums simultaneously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purpose and taste. Besides, while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particular themes, they usually employ various mediums such as social networking services, Internet news, and blogs. However, in terms of management, each document circulated through diverse mediums is placed in different categories on the basis of each source's policy and standards, hindering any attempt to conduct research on a specific category across different kinds of sources. For example, documents containing content on "Application for a foreign travel" can be classified into "Information Technology," "Travel," or "Life and Culture" according to the peculiar standard of each source. Likewise, with different viewpoints of definition and levels of specification for each source, similar categories can be named and structured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each source.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proposes a plan for conducting category mapping between different sources with various mediums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category system of the medium as it is. Specifically, by re-classifying individual documents from the viewpoint of diverse sources and storing the result of such a classification as extra attributes, this study proposes a logical layer by which users can search for a specific document from multiple heterogeneous sources with different category names as if they belong to the same source. Besides, by collecting 6,000 articles of news from two Internet news portal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mpare accuracy among sources, supervised learning and semi-supervised learning, and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learning data. It is particularly interesting that in some categories, classifying accuracy of semi-supervised learning using heterogeneous learning data proved to be higher than that of supervised learning and semi-supervised learning, which used homogeneous learning data.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s. First, it proposes a logical plan for establishing a system to integrate and manage all the heterogeneous mediums in different classifying systems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physical classifying system as it is. This study's results particularly exhibit very different classifying accuracies in accordance with the heterogeneity of learning data; this is expected to spur further studies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ology through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by category. In addition, with an increasing demand for search, collection, and analysis of documents from diverse mediums, the scope of the Internet search is not restricted to one medium. However, since each medium has a different categorical structure and name, it is actually very difficult to search for a specific category insofar as encompassing heterogeneous mediums. The proposed methodology is also significant for presenting a plan that enquires into all the documents regarding the standards of the relevant sites' categorical classification when the users select the desired site,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site's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as it is. This study's proposed methodology needs to be further complemented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ough only an indirect comparison and evaluation was made on the performance of this proposed methodology, future studies would need to conduct more direct tests on its accuracy. That is, after re-classifying documents of the object source on the basis of the categorical system of the existing source, the extent to which the classification was accurate needs to be verified through evaluation by actual users. In addition, the accuracy in classification needs to be increased by making the methodology more sophisticated. Furthermore, an understanding is requir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ome categories that showed a rather higher classifying accuracy of heterogeneous semi-supervised learning than that of supervised learning might assist in obtaining heterogeneous documents from diverse mediums and seeking plans that enhance the accuracy of document classification through its usage.

The Perception of Gifted Science Teachers Regarding a Individualized Instruction for Scientifically Gifted (영재 개별화 교육에 관한 과학영재 지도교사들의 인식)

  • Kim, Su-yeon;Han, Shin;Jeong, Jin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9 no.2
    • /
    • pp.199-21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much gifted science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the class realize the necessity of individualized curriculum and program for scientifically gifted, to find out the problems of the gifted science educational institutions from exploring them in depth in the light of the reality in the gifted scienc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o draw implications about the applicable direction of more aggressive individualized curriculum and program for scientifically gifted. I chose 15 people with the incumbent teachers who have ever taught scientifically gifted and have a degree in the gifted education or science subject education as study participants and had a depth interview with them. According to result of the study, 14 of 15 study participant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individualized education in science should understand the personal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the gifted students and should be a study led by students themselves. Of the problems in gifted science education, teachers regarded the reduction in the financial support as the biggest problem and the vocation an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were referr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With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there were plenty of opinions that can't ignore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environment associated with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there is excessive expansion of the agencies and the target for gifted students, no standardized measurement tools and programs and the lack of the system for the coherent observation as a teacher. Also, the unified curriculum of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ions were pointed out as the problem and the individualized programs which were already under way have a lot of weakness and being offered marginally. Thus, from now on, to apply for individualized education of gifted science, teachers demanded optimized education conditions and consistent policy support, and expressed the opinion that there needs of a possible continuous observation system. Besides, the curriculum and programs matched the needs of the students should be taken priority the most, and there were another answers that fellow learning within the cooperative learning can be an alternative of the individualized. Along with that, there were lots of opinions that the treatment to overcome an inferiority complex according to the individualized should be followed.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 Friendly Citrus Farming in Jeju - Focusing on Graduate Farms of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제주 친환경 감귤 농업 발전을 위한 사례연구 - 한농대 졸업생 농가를 중심으로 -)

  • Kang, S.K.;Kim, J.S.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 Fisheries Research
    • /
    • v.16 no.1
    • /
    • pp.37-5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what difficulties the agricultural successors, the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KNCAF) graduates, face with in implementing eco-friendly agriculture in Jeju, and what solutions they can be provided with. This research, a case study on the basis of open-ended survey questions, has 6 cases out of 8 graduates who have or had implemented eco-friendly citrus farming. In Jeju, 24 graduates have involved in citrus farming. According to the case study, only one case was environment-friendly farming method at the pesticide-free level, and the others at organic farming level. All the cases have tried to alter main crops or to diversify management for coping with global climate change and market-opening. On analyzing operating cost to gain product of merchantable quality, it revealed that the environment-friendly farming method needs much more managing efforts than the conventional farming does. But to the contrary, the materials cost in the environment-friendly farming method was lower than in the conventional farming method. In the total production and the price, the environment-friendly farming was 20~50% lower and 10~50%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farming, respectively. Difficulties which the graduates confronted with in implementing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are as below. Firstly, many of the difficulties have resulted from lack of the environment-friendly farming techniques, and the high cost of farm scale improvement due to high price of land and topographical features of Jeju. Secondly, the agricultural successors, the KNCAF graduates, have trouble in obtaining approval of their parents to changeover from the conventional farming to the environment-friendly farming. Lastly, there is no advisory organizations and experts for environment-friendly farming in the given area. For shift to the environment-friendly farming, followings are needed. Agricultural Technology & Extension center, with cooperation of leading farms in environment-friendly farming, should have a key role in offering education and consults on the environment-friendly farming techniques. Also, this organization should inform rapidly the research results to the farmers, and their feed-back should be involved in the next research.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forum called 'Environment-friendly Organic Farming Forum in Jeju' tentatively is organized.

Analysis of research trends for utilization of P-MFC as an energy source for nature-based solutions - Focusing on co-occurring word analysis using VOSviewer - (자연기반해법의 에너지원으로서 P-MFC 활용을 위한 연구경향 분석 - VOSviewer를 활용한 동시 출현단어 분석 중심으로 -)

  • Mi-Li Kwon;Gwon-Soo Bah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6 no.1
    • /
    • pp.41-50
    • /
    • 2024
  • Plant Microbial Fuel Cells (P-MFCs) are biomass-based energy technologies that generate electricity from plant and root microbial communities and are suitable for natural fundamental solutions considering sustainable environments. In order to develop P-MFC technology suitable for domestic waterfront space, it is necessary to analyze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first. Therefore, in this study, 700 P-MFC-related research papers were investigated in Web of Science, and the core keywords were derived using VOSviewer, a word analysis program, and the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First, P-MFC-related research has been on the rise since 1998, especially since the mid to late 2010s. The number of papers submitted by each country was "China," "U.S." and "India." Since the 2010s, interest in P-MFCs ha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publications in the Philippines, Ukraine, and Mexico, which have abundant waterfront space and wetland environments, is increasing. Secondly,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trends in different periods, 1998-2015 mainly carried out microbial fuel cell performance verification research in different environments. The 2016-2020 period focuses on the specific conditions of microbial fuel cell use, the structure of P-MFC and how it develops. From 2021 to 2023, specific research on constraints and efficiency improvement in the development of P-MFC was carried out. The P-MFC-relate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as useful data for developing technologies suitable for domestic waterfront space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research trends and levels in subsectors, and in order to develop and revitalize P-MFC technologies in Korea, research on field applicability should be expanded and policies and systems improved.

A Study on Transition of Rice Culture Practices During Chosun Dynasty Through Old References IX. Intergrated Discussion on Rice (주요(主要) 고농서(古農書)를 통(通)한 조선시대(朝鮮時代)의 도작기술(稻作技術) 전개(展開) 과정(過程) 연구(硏究) - IX. 도작기술(稻作技術)에 대(對)한 종합고찰(綜合考察))

  • Guh, J.O.;Lee, S.K.;Lee, E.W.;Lee, H.S.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 /
    • v.12 no.1
    • /
    • pp.70-79
    • /
    • 1992
  • From the beginning of the chosun dynasty, an agriculture-first policy was imposed by being written farming books, for instance, Nongsajiksul, matched with real conditions of local agriculture, which provided the grounds of new, intensive farming technologies. This farming book was the collection of good fanning technologies that were experienced in rural farm areas at that time. According to Nongsajiksul, rice culture systems were divided into "Musarmi"(Water-Seeded rice), /"Kunsarmi"(dry-seeded rice), /transplanted rice and mountainous rice (upland rice)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rice cultures with high technologies were based of scientific weeding methods, improved fertilization, and cultivation works using cattle power and manpower tools systematically. Reclamation of coastal swampy and barren land was possible in virtue of fire cultivation farming(火耕) and a weeding tool called "Yoonmok"(輪木). Also, there was an improved hoe to do weeding works as well as thinning and heaping-up of soil at seeding stages of rice. Direct-seeded rice culture in flat paddy fields were expanded by constructing the irrigation reservoirs and ponds, and the valley paddy fields was reclaimed by constructing "Boh(洑)". These were possible due to weed control by irrigation waters, keeping soil fertility by inorganic fertilization during irrigation, and increased productivity of rice fields by supplying good physiological conditions for rice. Also, labor-saving culture of rice was feasible by transplanting but in national-wide, rice should not basically be transplanted because of the restriction of water use. Thus, direct-seeded rice in dry soils was established, in which rice was direct-seeded and grown in dry soils by seedling stages and was grown in flooded fields when rained, as in the book "Nongsajiksul". During the middle of the dynasty(AD 1495-1725), the excellent labor-saving farmings include check-rowing transplanting because of weeding efficiency and availability in rice("Hanjongrok"), and, nurserybed techniques (early transplanting of rice) were emphasized on the basis of rice transplanting ["Nongajibsung"]. The techniques for deep plowing with cattle powers and for putting more fertilizers wer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labor and land, The matters advanced in "Sanlimkyungje" more than in "Nongajibsung" were, development of "drybed of rice nursery stock", like "upland rice nursery" today, transplanting, establishment of "winter barly on drained paddy field, and improvement of labor and land-productivity in rice". This resulted in the community of large-scale farming by changing the pattern of small-farming into the production system of rice management. Woo-hayoung(1741-1812) in his book "Chonilrok" tried to reform from large-scale farmings into intensive farmings, of which as eminent view was to divide the land use into transplanting (paddy) and groove-seeding methods(dry field). Especially as insisted by Seo-yugo ("Sanlimkyungjeji"), the advantages of transplanting were curtailment of weeding labors, good growth of rice because of soil fertility of both nurserybed and paddy field, and newly active growth because rice plants were pulled out and replanted. Of course, there were reestimation of transplanting, limitation of two croppings a year, restriction of "paddy-upland alternation", and a ban for large-scale farming. At that period, Lee-jiyum had written on rice farming technologies in dry upland with consider of the land, water physiology of rice, and convenience for weeding, and it was a creative cropping system to secure the farm income most safely. As a integrated considerations, the followings must be introduced to practice the improved farming methods ; namely, improvement of farming tools, putting more fertilizers, introduction of cultural technologies more rational and efficient, management of labor power, improvement of cropping system to enhance use of irrigation water and land, introduction of new crops and new varieties.

  • PDF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