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수창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초

장생보연지무, 연백복지무, 제수창, 최화무 복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urt Dance Garments of the Jangsaengboyeonjimu, Yeonbaekbokjimu, Jesuchang, and Choehwamu)

  • 남후선;김순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86-898
    • /
    • 2013
  • This study explores the types, shapes and changes of the court dance garments of mudong[child court dancer] and yeoryeong[female court dancer] for court dances such as Jangsaengboyeonjimu, Yeonbaekbokjimu, Jesuchang, and Choehwamu, and the arrangement of colors in their garment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garments of mudong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dance, role of mudong and passage of time. In all four jeongjae's, hongpo[red robe] and baekjilheukseonjungdaneui[white under garment trimmed in black] were commonly found. Second, the dress of yeoryeong in the Jangsaengboyeonjimu, Yeonbaekbokjimu, Jesuchang and Choehwamu was that of other yeoryeong, which was basically comprised of hwagwan[flower headdress], hwangchosam[yellow robe], hongchosang[red skirt] and sudae[embroidered belt]. Third, the color schemes of the court dance garments used in Jangsaengboyeonjimu, Yeonbaekbokjimu, Jesuchang and Choehwamu revealed that the color arrangement of sangsaeng [mutual generation] of the Ohaeng[Five Elements] scheme were favored in the garments of mudong and yeoryeong. The dress of mudong is characterized by sangsaeng between top and bottom, and between total and part, while the color scheme of the outer and inner was sanggeuk[mutual overcoming]. As for yeoryeong, the color arrangement was of sangsaeng in top and bottom, outer and inner, and total and part, but in the five-colored hansam[sleeve extension], both sangsaeng and sanggeuk were found.

광해군 대(代)의 종교지형 변동 - 불교정책과 불교계의 양상을 중심으로 - (Changes in the Religious Topography of the Great Gwanghaegun: Policies towards Buddhism and the Affected Buddhist Community)

  • 이종우
    • 대순사상논총
    • /
    • 제36집
    • /
    • pp.227-266
    • /
    • 2020
  • 본 논문의 목적은 광해군 대(代)의 불교정책과 이것의 영향을 받는 불교계의 양상을 검토하는 것이었다. 이것을 통해 조선불교를 "숭유억불"이라고 규정지음으로 인해 드러나지 않았던 광해군 대의 불교가 가진 나름의 영향력과 역동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성리학을 사상적 배경으로 삼았던 조선 시대에 불교는 성리학의 벽이단을 내세운 지배층에 의하여 배척되어야 했고, 이것은 광해군 대에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지배층이 이중적 불교관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지배층의 이중적 불교관은 광해군 대의 불교계의 상황에 영향을 끼쳤다. 임진왜란에서의 전공으로 지배층은 불교의 존재를 인정할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조선에서 불교의 위상이 일정부분 상승했다. 상승한 위상과 임진왜란 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불교계는 보사(報謝)와 구호 활동에 종사했다. 그 결과, 승려의 수는 증가했고, 사찰과 승려의 토지 소유가 허가됨으로써 경제적 상황도 좋아졌다. 이 과정에서 임진왜란은 광해군 대의 불교정책을 좌우하고 불교지형을 변동시킨 역사적 배경이 되었다. 광해군 대에 지배층은 불교를 이단으로 간주하면서도, 임진왜란에 공이 있는 승려들에게 시호를 하사했고, 승려에게 관직을 제수하는 등 일부 승려들을 우대하는 정책을 폈다. 또한, 승려들은 국방, 건축 등 조직력과 물리적 힘을 요구하는 역을 부담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광해군 대까지는 승려들이 부담하는 역에 대하여 일정 부분 보상해서, 승려가 역을 부담하는 것이 불교에 대한 탄압의 면보다는 불교에 대한 용인의 측면이 강했다. 불교정책에 대하여 불교계는 지배층과의 유착과 사찰의 창·재건, 그리고 불교 예술품 제작이라는 양상을 보인다. 지배층과의 유착을 통해 불교계는 광해군 대 불교정책에 적극 호응했고, 이것을 통해 교단을 유지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모습 속에서 부휴 선수(浮休 善修)와 제자인 벽암 각성(碧巖 覺性)의 부휴계가 불교계에서 주도권을 가지기 시작했음도 확인된다. 광해군 대의 불교정책은 지배층의 이중적 불교관과 좋아진 측면과 악화된 측면이 공존하는 불교계의 상황을 배경으로 시행되었다. 지배층은 불교의 조직력을 전후(戰後) 복구와 국방, 토목 공사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고, 이에 따른 적절한 보상을 시행했다. 불교계 역시 지배층과의 교류를 바탕으로 불교정책에 호응하였고, 사찰과 예술품을 보수하고 제작하였다. 광해군 대의 불교정책과 대응을 살펴보면, 조선 불교에 대한 일반적 묘사인 "숭유억불"로 설명할 수 없는 불교의 조직력과 영향력이 확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