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방 식생

Search Result 12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Performance Evaluation of Revetment Method Using Bio-polymer (바이오 폴리머를 이용한 호안 공법의 성능 평가)

  • Kim, Myounghwan;Lee, Du Han;Lee, Ka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24-224
    • /
    • 2020
  • 새롭게 개발된 미생물의 부산물인 바이오 폴리머는 토양의 강도를 높이고,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실규모 수리 실험을 수행하여 바이오 폴리머를 이용한 호안 공법의 침식 저항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다수의 호안 공법 시험체를 제작하였고, 이 시험체를 실 규모 실험수로에 설치하고 수리 실험을 통해 토양 손실과 이에 따른 한계 소류력을 결정하였다. 실험에는 일반 흙을 피복한 시험체, 바이오 폴리머와 혼합한 흙을 피복한 시험체, 식생매트와 바이오 폴리머 혼합토를 결합한 시험체 등이 사용되었다. 실험결과 재료나 식생의 활착도에 따른 차이는 있었으나 바이오 폴리머를 이용한 시험체의 침식 저항 성능이 바이오 폴리머를 이용하지 않은 시험체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일관되게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바이오 폴리머를 이용한 호안공법이 기존 호안 공법의 침식 저항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바이오 폴리머를 제방 호안 시공에 활용한다면 홍수로 인한 제방의 유실이나 파괴를 상당 부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Flow Resistance Characteristics with Bank Revetment Materials (호안 재료에 따른 흐름저항 특성 연구)

  • Yoo, Gyu-Seok;Kim, Yun-Hwan;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28-333
    • /
    • 2011
  • 최근 하천사업에는 자연친화적인 설계기법이 도입되고 있으며 호안공법도 과거 제방보호 기능만을 가진 단순한 호안에서 식생을 활용한 다양한 종류의 호안공법이 개발되어서 각종 하천공사에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호안공법을 도입할 때 공법에 따른 선택기준이나 구체적인 설계기준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침에 제시 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호안 재료의 적합성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판단기준인 수리학적 특성인자를 파악해보고자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길이 15m, 폭 0.8m, 높이 0.8m의 수로를 이용하였다. 사용한 호안재료는 흙, 실제모형의 1/50의 축척으로 제작한 호안블록모형과 실제 식생으로서 잔디를 이용하였다. 수로의 상류구간에 대리석을 이용하여 6m의 안정화구간을 만들었고, 실험은 동일한 수위에 유량을 변화시키면서 유속을 계측하였다. 계측 내용을 분석한 결과 식생과 무식생을 비교했을 때 하상에서 식생높이(약 9cm) 범위에서 식생이 최대 97% 유속저감효과를 나타났으며, 식생과 블록을 비교한 결과도 하상에서 식생높이(약 9cm) 범위에서 식생이 최대 97% 유속저감효과를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호안재료가 식생일 때 유속저감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향후 다양한 식생형태에 대한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가 호안공법에 도입되는 다양한 식생의 수리적인 특성인자를 규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xperiment of Strength of Block Material for Bank Levee Revetment using Eco-friendly Material (친환경 신소재를 이용한 하천 호안용 블록 재료의 강도 실험)

  • Kim, Jong Min;Lee, Du Han;Kim, Won;Kim, Myeong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77-477
    • /
    • 2018
  • 하천의 제방은 하천수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구조물로서, 유수의 흐름을 일정하게 하고 자연재해에 대하여 제내지를 보고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제방은 제내지와 제외지의 수위차로 인해 발생하는 파이핑, 제방의 월류, 사면의 탈락 등으로 파괴가 발생되고, 제방의 파괴는 제내지의 인명, 토지, 건물 등에 많은 피해가 발생한다. 이러한 제방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방 사면의 호안, 차수벽, 수제 등을 설치하고 있으며, 구조물 외에도 제방 응급복구를 위한 모래주머니, 비탈면 보호 시설 등을 이용한 피해방지에 대한 대책을 세우고 있다. 제방 구조물의 대부분은 콘크리트를 이용한 고강도 재료를 사용하여 설치되고 있으며, 재료의 환경성에 대한 문제점이 대두되어 왔다. 이에 따라 코코넛껍질을 이용한 사면 보호공, 고강도 식생매트를 이용한 사면 보호 등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사면보호 공법에 대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블록 및 피복기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환경성 및 무독성 검증도 병행중에 있다. 그 중 본 연구에서는 신소재와 황토, 모래, 석고를 다양한 비율로 조합하여 블록으로 활용하기 위한 일축압축 강도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신소재의 소류력 저항능력을 실험하기 위하여 안동 하천실증연구센터의 급경사 수로에 신소재를 피복한 시험구를 조성하고 5m/s 이상의 유속에서 저항능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본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추후 다양한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조합을 통해 기존 콘크리트 블록에 준하는 강도를 발현할 수 있는 신소재 블록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variability in the water level-flow relationship curve due to vegetation impact monitoring (식생영향 모니터링에 따른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변동성 예상)

  • Lee, Jung Hoon;Kim, Seung Hyun;Lee, Jae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29-429
    • /
    • 2022
  • 기후변화로 인하여 하천환경은 과거와 다른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과거의 하천환경은 식생영향 보다는 단면변화, 통제특성 변화 등 하천 전반의 환경변화가 아닌 흐름 특성의 변화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현재의 하천은 식생영향이 증대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수위-유량관계 또한 과거와는 다른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현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수리특성 변화에 따른 기간분리 뿐만 아니라 앞으로 진행될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추가 변동성을 예상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식생영향에 의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기간분리 검토를 위하여 위치에 따른 구분(저수로 식생, 저수로 수중식생, 홍수터 식생, 제방 식생), 시기에 따른 구분(휴지기, 성장기, 소멸기 등), 유속분포, 기온분포 등을 고려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검토하였고, 기간분리의 시종점과 곡선식의 표현 방법 개선을 위한 연구를 추가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15년~'19년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에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한 관측소로 선정하였고, 연구결과 식생의 위치와 유속, 기온 등의 외부요인 등을 모니터링 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예측한 결과 '20년~'21년 개발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은 예상 곡선식과 비교적 일치하였으며 이로 인해 정확도가 향상되어 신뢰도 높은 자료가 생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The Analysis of Effect of Biopolymer Treated Soils in Seed Spray Method in the River Embankment (제방 녹화공법에서 바이오폴리머 처리토의 효능 분석)

  • Seo, Seunghwan;Jin, Seungnam;Chang, Ilhan;Chung, Moonkyung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6 no.4
    • /
    • pp.304-313
    • /
    • 2019
  • Biopolymer based on microbial β-glucan and xanthan gum is effective for vegetation and has a function of enhancing soil strength, which can be used as soil reinforcement and stabilization materials in river embank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egetation effect of the surface of levee by biopolymer with seed spraying method. Mixed soils with biopolymer were used to cover the surface of embankments. The strength is higher in biopolymer-treated soil and xanthan gum based biopolymer has advantage for quality control in field scale. In addition, the vegetation of F. arundinacea and L. perenne showed various reactions with types of biopolymers. Biopolymer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vegetation of them. In contrast, root growth tended to decrease in biopolymer-treated soils. The results indicate that root growth is slow down due to increasing ability to retain water in biopolymer-treated soil. In order to apply biopolymer to river embankmen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ffects of biopolymers on a wide range of plant species in river embankment.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ubsequent to Crossing Structure of the Urban Streams - Centering on the Cases of Dorimcheon, Banghakcheon, Seongnaecheon and Yangjaecheon in Seoul - (도시하천의 횡단구조에 따른 식생분포특성 연구 -서울시 도림천, 방학천, 성내천, 양재천을 사례로-)

  • Bae, Jung-Hee;Lee, Kyong-Jae;Han, Bong-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2 no.3
    • /
    • pp.268-279
    • /
    • 2008
  • This study is aimed at typifying the crossing structure and inquiring into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by type targeting Dorimcheon(stream), Banghakcheon(stream), Seongnaecheon(stream) and some sections of Yangjaecheon(stream) in Seoul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basic data for restoring vegetation in urban stream.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crossing structure into 56 slope types and 31 vertical types in combination with the three items, such as bank slope(vertical style, slope style) of bank, absence or presence of waterside, and revetment structure. This research derived nine slope types including SB1 (revetment of low water level-revetment with vegetation, and revetment of high water level-nature riverside) including SG5(revetment of low water-concrete, and revetment of high water level-riprap work), and three vertical types, such as VH4(bank revetment-wet masonry), and VH7(bank revetment - concrete )from the target survey areas. Among these, both revetment of low water level and high water level were found to be distributed on the longest section as the type of SG7 and VG7 structured in concrete. As a result of inquiry and analysis of micro topography structure and vegetation structure of eight major types, this research could find out the influence of crossing structure on plant veget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by typified item, but there appeared no distinct characteristic of vegetation distribution by crossing structure.

Hydraulic Stability Analysis of Revetments Using Hydraulic Model Test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호안의 수리적 안정성 분석)

  • Lee, Jong-Pil;Park, Eui-Jung;Choi, Kyoung-Hwan;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867-1873
    • /
    • 2008
  • 호안은 제방 및 저수로 하안을 강수와 유수에 의한 파괴와 침식작용에 대하여 직접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자연형.생태하천 등 하천의 친수성.경관.생태계의 보전.재생 등이 중요시 되면서 이런 기능을 가진 많은 호안공법들이 개발 및 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호안공법에 대한 홍수시의 수리적 안정성 검토 등의 기술적인 검토가 충분치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호안공법이 적용된 호안에 대해 홍수시의 수리적 안정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호안 조사결과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시공사례가 있는 콘크리트 식생블록에 대해서 개수로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호안의 수리적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모형은 실제 하천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H형 식생블록을 1/10 축소모형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호안경사 1:2에 대해 식생이 없는 경우, 식생이 0.08m, 0.04m 간격으로 있는 경우에 대해 유량을 변화시키면서 식생밀도에 따른 유속 저감 및 소류력 저감 효과에 대한 수리적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호안경사 및 식생밀도는 호안부에서 흐름의 에너지 및 유속을 감소시키며, 식생이 없는 호안에 비해 식생이 있는 호안에서는 식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류력이 최대 62.24%까지 감소하였다. 호안부에서의 식생의 발달은 유속 및 소류력을 감소시켜 호안부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n Vegetation Effect through Numerical Simulation of Non-Uniform Flow at Downstream of Hapcheon Dam (합천댐 직하류에서 부등류 수치모의를 통한 식생의 영향 분석)

  • Park, Su Hwan;Kang, Tae Un;Jang, Chang-Lae;Kim, Zoo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38-238
    • /
    • 2022
  • 합천댐의 건설 이후, 댐직하류 구간에서는 10년 동안의 방류량 감소와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패턴의 변화로 하도식생의 활착이 발생하여 식생이 증식하고 밀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식생밀도의 증가는 흐름에 대한 항력을 증가시켜 유속을 감소시키고 수심을 증가시킨다. 이는 통수능 저하를 초래하며, 홍수 시 수위증가에 따른 홍수범람의 위험성 증가시킨다. 따라서 식생영향에 대한 심화적인 이해를 제고하여 적절한 식생관리대책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맞추어 식생대 영향에 따른 흐름의 변화를 예측모의하여 흐름과 식생대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차원 흐름모형인 Nays2D를 이용하여 합천댐 직하류 구간을 대상으로 식생밀도의 변화에 따른 흐름의 변화를 부등류를 기반으로 모의하였다. 상류단의 경계조건은 162.99 m3/s(실운영 방류량), 995 m3/s(2년빈도 댐 조절 방류량), 2670 m3/s(100년빈도 댐 조절 방류량)로 3개의 유량으로 구분하여 모의하였다. 식생의 특성은 현장조사를 통해 밀도를 산정하여 수치모의에 적용하였다. 식생밀도는 4가지로 구분하여 모의시나리오를 구축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산정된 2021년도 식생밀도를 기준으로 식생밀도를 증감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수치모의 조건은 2021년 식생현황, 식생개선, 식생존치, 전벌채로서 식생개선의 경우, 2021년 식생밀도의 0.5배로, 식생존치의 경우, 식생밀도를 2배로 적용하였다. 전벌채는 식생이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식생개선이 2021년 식생현황과 식생존치보다 상대적으로 수심이 낮게 나타났다. 식생을 전벌채한 경우, 식생이 존재하는 조건보다 수심이 낮고 유속이 빠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만곡부의 외측에서는 2차류의 발달로 흐름이 집중되었다. 이를 통해 식생개선의 경우, 식생현황과 식생존치보다 홍수범람의 가능성이 적을 것으로 판단되며 전벌채의 경우, 만곡부 외측에서 2차류 발달에 의한 세굴을 야기하여 제방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댐 직하류에 식생대 밀도변화가 흐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수치모의 사례로서 이는 추후 식생을 고려하는 하천관리방안을 수립 시, 식생관리방법에 대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Analysis of Veget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Revetment Structure at Rural Small Streams (농촌지역 소하천의 제방형태에 따른 식생특성 분석연구)

  • Kim, Mi-Heui;Kang, Banghun;Kong, Min-Jae;Jeong, Myeong-Cheol;Son, Jin-Kw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7 no.4
    • /
    • pp.359-369
    • /
    • 2015
  • Stream ecosystems are highly valued natural resources, however, stream environments are currently under threat in several respects. We evaluated vegeta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fferent revetment types.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differed with revetment type, with a 42~45 taxa found in natural revetments, and 23~38 taxa in vertical revetments. Thus, natural revetments host more diverse vegetation than vertical revetments. We also found more plants belonging to the families Labiatae and Cyperaceae growing in natural revetments than in vertical revetments. We proposed that habitat space be apportioned to introduce annual plants as part of stream restoration projects. And, we identified 7 families and 18 taxa of naturalized plants, majority taxa were either biennial or perennial. Moreover, naturalized ratio was higher in vertical(14.3%) than natural(12.1%), we proposed a plan to promote and improve natural streams and revetments. Furthermore, we applied a waterfront evaluation method developed by the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of the USDA-NRCS, which confirmed that stream health can be improved in most regions by controlling naturalized plants and ensuring shrub and tree growth. We adopted a new method to remove naturalized plants and establish natural revetments to ensure shrub and tree growth to aid in small-stream restoration and improvement. In future studies, we hope to develop methods for small-stream restoration projects in rural areas.

Revegetation and human(IV) -The weed management of levee controlled the weed in the weed- (녹화와 인간(IV) -잡초를 활용한 제방 비탈면의 식생관리-)

  • Ezaki, Tsugio;Iwamoto, Tohru;Yeom, Kyu-Jin;Moon, Jin-Hee;Chun, Kun-Wo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v.20 no.1
    • /
    • pp.82-92
    • /
    • 2004
  • Farm working also needs most of the labor on the weed management of the levee. Then, the research which controlled the weed in the weed was promoted in order to reduce this weed management. Required conditions for the levee veget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weed management are the following 4 points. (1) the prevention of erosion and landslide, (2) the improvement in the workability at the mowing, (3) the improvement and maintenance of the rural landscape, (4) the accessibility. Next, the plants becoming dominant species in devastated land and slope of river banks were compared through these 4 conditions, and the utility was examined. As the result, Imperata cylindrica Beauv., Shibataea kumasaca Nakai, Sasaella kogasensis Nakai var. gracillima S. Suzuki and Hedera canariensis Willd, seemed to be usable. Finally, weed management method for connecting for the reduction in the mowing work using these plants was presen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