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향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4초

청옥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the Mt. Cheongok)

  • 변준기;신재권;김주영;최승호;김동갑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46-46
    • /
    • 2018
  • 본 연구는 봉화군 청옥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청옥산 보호구역은 산림청에서 '희귀식물자생지' 유형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면적은 약 2,051ha에 달하며 주로 신갈나무군락과 소나무군락이 우점하고있다. 현지조사는 2017년 3월부터 10월까지 계절별로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보호구역내 관속식물은 86과 258속 390종 4아종 54변종 6품종으로 총 454분류군의 분포가 확인되었다.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가야물봉선, 처녀치마, 할미밀망, 키버들 등 11분류군이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취약종(VU)에 주목, 백작약, 꼬리진달래 3분류군, 약관심종(LC)에 등칡, 도깨비부채, 정향나무, 말나리, 나도개감채 등 14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IV등급인 회리바람꽃, 가지괭이눈, 산겨릅나무, 귀박쥐나물 등 10분류군, III등급인 애기감둥사초, 중나리, 토현삼, 선갈퀴, 금강제비꽃, 노랑갈퀴, 분비나무 등 23분류군, II등급 32분류군, I등급 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오리새, 털별꽃아재비, 왕포아풀, 주걱개망초, 지느러미엉겅퀴, 족제비싸리 등 18분류군이 임도 주변에서 확인되었다. 조사된 관속식물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 181분류군, 섬유용식물 6분류군, 약용식물 143분류군, 관상용식물 52분류군, 사료용식물 172분류군, 염료용식물 9분류군, 목재용식물 22분류군으로 분석되었다.

  • PDF

덕유산국립공원 아고산(향적봉-제2덕유산) 지역의 산림군집구조 (Forest Structure of Subalpine Region from Hyangjeukbong to 2nd Deogyusan in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 김갑태;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2-149
    • /
    • 2004
  • 덕유산 아고산 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향적봉-제2덕유산 구간 아고산 지역에 20개의 방형구(100$m^2$)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0개 조사구는 신갈나무군집, 사스래나무-가문비나무-주목군집, 주목-신갈나무-사스래나무군집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덕유산 아고산(향적봉-제2덕유산)지역은 신갈나무, 주목, 사스래나무가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는 우리나라 특산종인 구상나무가 부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구상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점차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사스래나무의 상대우점치가 점차 커질 것이 라 판단된다. 사스래나무와 철쪽, 털진달래; 시닥나무와 고로쇠나무; 정향나무와 함박꽃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사스래나무와 시닥나무; 신갈나무와 고로쇠나무: 구상나무와 미역줄나무, 병꽃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부의 상관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1.0316∼l.1776범위로 백두대간에 위치한 다른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구조와 비슷하였다.

일상 공간에 대한 답사 활동의 지리 교육적 함의: G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답사 활동을 사례로 (Geographical Implications of Fieldwork Activities of Everyday-Life Space: A Case Study on Fieldwork of Students of An Elementary Teachers College)

  • 이간용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915-933
    • /
    • 2016
  • 본 연구는 자신들의 일상 공간에 대한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답사 활동에서 나타난 지리 교육적 함의를 고찰한 것이다. 답사 활동에 대한 관찰 결과, 교육대학교 학생들은 자료 수집의 방법으로서 설문지와 면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으며, 수집된 정보를 시각 공간 자료로 변환하거나 가공하는 데 다소 미숙하였다. 그렇지만 교육대학교 학생들은 자신들의 답사 활동 경험이나 결과를 장차 초등 지리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거나 응용하고자 하였다. 이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학습 활동이나 과제 활동에서 나타나는, 이른바 초등 예비 교사로서의 독특한 행동 정향(定向)의 하나로 주목된다. 답사 활동에 대한 자기 및 동료 평가의 결과, 일상 공간에 대한 답사 활동이 지니는 지리 교육적 가치를 분명히 인식한 유의미한 경험이었다는 점, 자신들의 일상 공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그 의미를 반추할 기회가 되었다는 점, 나아가 긍정적인 장소감을 내면화하고 장소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육대학교 지리 교육과정에서 답사 방법론 내용을 더욱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함의한다.

  • PDF

한국 사회복지학에서의 질적 연구 경험에 관한 연구 : 엄격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Experiences of Social Welfare Qualitative Researchers in Korea : Focus on the Rigor)

  • 김미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4호
    • /
    • pp.163-189
    • /
    • 2007
  •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학에서의 엄격성과 관련된 질적 연구자의 경험을 심층 분석하여 향후 과제를 논의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으로 학위논문을 쓰거나 학술지에 질적 연구를 활발히 발표하고 있는 질적 연구자 9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개별 및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결과보고에 엄격성이 어떠한 형태로 글쓰기 되는지를 보고자 사회복지학관련 주요학술지 8종에 개재된 2,112편의 논문을 내용 분석하여 질적 인터뷰 결과 분석을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사회복지학에서의 질적 연구는 국내에서 학위를 받은 학문 후속세대에 의해 '필요에 의해 확산' 되는 독특한 형태로 아래로부터 위로 나아가는 정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인식론적 입장으로는 후기실증주의적 관점과 약한 구성주의적 관점이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격성과 관련해서는 연구시작부터 결과보고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연구자의 책임성을 바탕으로, 진실하고 기본에 충실하게 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한국 사회복지학문공동체가 지향해야 할 주요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의 엄격성에 대한 담론이 활성화되어, 보다 질(Quality) 높은 연구결과가 산출되기를 기대한다.

  • PDF

규제와 진흥 관점에서 바라본 ICT 거버넌스 개편방향 연구 (Reorganizing ICT Governance: A Perspective on Regulation and Promotion)

  • 윤건;이건;박정훈
    • 정보화정책
    • /
    • 제20권2호
    • /
    • pp.20-38
    • /
    • 2013
  • 박근혜 정부는 창조경제의 수단으로 '미래창조과학부'를 신설하였다. 신설 부처는 과학기술정책 분야와 ICT 정책 분야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부처이지만, ICT 거버넌스 관점에서는 ICT의 진흥 정책과 규제 정책의 분리를 의미한다. 이 논문은 ICT 거버넌스 형성 노력을 규제와 진흥의 분리와 통합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일정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2명의 ICT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가들은 규제와 진흥의 분명한 구분이 어렵고, 따라서 ICT 분야의 규제와 진흥을 통합 수행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조직형태는 규제와 진흥을 통합한 독임형 부처를 선호하였으나 일부 방송규제에 대하여는 독임형 부처 내 독립적 합의기관, 또는 부처의 통제로부터 자유로운 독립 기관이 바람직하다고 보는 견해도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토대로 향후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 간에 다양한 방식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는 진흥과 규제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한다. 특히 정책정향이 다른 조직 사이에는 원활한 협조가 어렵기에 정부의 정책역량 강화 측면에서 통합적 관리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 PDF

포항 북부 내연산응회암의 흐름지시자와 측방점이로부터 유향 결정 (Determination of Flow Direction from Flow Indicators and Lateral Grading in the Naeyeonsan Tuff, Northern Pohang, Korea)

  • 조남식;황상구
    • 암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3-163
    • /
    • 2017
  • 내연산응회암은 포항 북부의 화산암류에서 하나의 냉각단위로 구별되는 층서단위이다. 이 응회암은 사장석, 석영, 각섬석 등의 결정편, 부석과 샤아드의 유리질편, 데사이트, 유문암, 사암, 셰일 등의 암편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그 입도에 의하면 대부분 라필리응회암에 속하고 구성원에 의하면 파리질 응회암에 속한다. 대부분 부석과 샤아드들은 용결작용과 편평화로 인한 용결엽리를 발달시키며 화쇄류에 의한 흐름지시자를 보여준다. 우리는 이 내연산응회암에서 흐름지시자로서 부석, 암편들의 정향배열에 의한 유상선구조과 와상배열로부터 이동패턴, 암편과 부석들의 평균최대입경에 의한 등입경도로부터 측방점이를 알아냈다. 이러한 이동패턴과 측방점이에 의하면 이 응회암을 집적시킨 화쇄류의 가능공급지가 남동쪽에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HaCaT 세포의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자멸사에서 정향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Caryophylli Flos on apoptosis caused by oxidative stress in HaCaT cells)

  • 박숙자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93-99
    • /
    • 2021
  • Objective : Caryophylli Flos has been used in Korean medicine to relieve vomiting and pains caused by chills that make fluid circulation difficul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Caryophylli Flos (CF) in hydrogen peroxide (H2O2)-induced apoptotic cell death in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Methods : CF was prepared by extracting 200 g of Caryophylli Flos in 2 L of ethanol for 48 h.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and the protein expression was monitored by Western blot analysis. Apoptosis was determined by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 labeling (TUNEL) assa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measured using fluorescent dye, and reduced glutathione (GSH) was determined with a colorimetric commercial kit. Results : CF protected HaCaT cells from cell death caused by oxidative stress after H2O2 treatment. H2O2 amplified generation of ROS and induced depletion of GSH, whereas these changes in ROS and GSH were inhibited by GF treatment. In addition, H2O2 resulted in apoptosis as assessed by TUNEL assay and the expression of apoptosis regulator proteins. However, cells treated with CF showed a decrease in TUNEL-positive cells and restored the reduced expression of procaspase-9, -3 and PARP.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cytoprotective effects of CF by anti-apoptotic activity while exerting antioxidative activity in H2O2-treated HaCaT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F could be beneficial in skin damage caused by oxidative stress.

정향 및 목향과 백지를 혼합한 한약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Anti-oxidant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mixture including Caryophylli Flos, Aucklandiae Radix and Angelicae Dahuricae Radix)

  • 윤석나;김유진;김미려;유왕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8
    • /
    • 2018
  • Objectives : Herbal medicinal mixture (JMB) are consisted of Caryophylli Flos, Aucklandiae Radix and Angelicae Dahuricae Radix. Each of herbal medicines has studied on anti-oxidant effect.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icacy and potency of JMB on anti-oxidation. Methods : The JMB was extracted at room temperature by 80% ethanol.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in JMB ethanol extract were determined by colorimetric method. Also, DPPH,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nd reducing power of JMB ethanol extract were measured at 100, 500, 1000, $5000{\mu}g/m{\ell}$ concentrations by spectrometric assay. Positive control was used BHA (butylated hydroxyanisole). Results :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the extract were 55.38 mg/TAEg, 513.72 mg/RUEg, respectively. Also,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nd reducing power of JMB ethanol extract in treated concentrations (100, 500, 1000, $5000{\mu}g/m{\ell}$) increased dose dependently. In particular,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of JMB ethanol extract at 500, 1000, $5000{\mu}g/m{\ell}$ was similar to positive control (BHA) at high concentration (50, $100{\mu}g/m{\ell}$).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of JMB ethanol extract at 500, 1000, 5000 ug/ml was similar to BHA at high concentration (50, $100{\mu}g/m{\ell}$). Also, reducing power was showed that JMB ethanol extract at $5000{\mu}g/m{\ell}$ was similar to BHA at high concentration (50, $100{\mu}g/m{\ell}$).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JMB ethanol extract has effects to scavenge free radicals. Therefore, JMB has potential and applicable benefits for development of materials and products to have anti-oxidation functions.

정향(丁香) 추출물이 골관절염 흰쥐에 미치는 효과 및 기전 연구 (Study of the Effect and Underlying Mechanism of Clove Extract on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Osteoarthritis in Rats)

  • 이진아;김민주;서성욱;신미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089-1104
    • /
    • 2022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icacy and underlying mechanism of cloves as an osteoarthritis (OA) treatment in a monosodium iodoacetate (MIA)-induced rat OA model. Osteoarthritis (OA) is nowadays one of the most prevalent degenerative joint diseases. Methods: Sprague-Dawley rats treated with MIA (50 μL; 80 mg/mL) were used as in vivo OA models. Cloves (100 and 200 mg/kg b.w.) were administered orally once daily for 2 weeks from 7 days after MIA injection. Changes in hindpaw weight distribution (HWD) were measured as a joint discomfort index. Activation markers related to inflammatory responses and cartilage degeneration in the right knee joints were evaluated by serum analysis and western blotting. Results: HWD decreased in the MIA control group but showed a dose-dependent elevation after clove treatment. Clove treatment inhibited inflammatory factors by PI3K/Akt/NF-κB signaling pathways, while also activating antioxidant factors through Sirt1/AMPK signaling pathways. Clove treatment also suppresse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overexpression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s of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 (TIMPs). Conclusions: Treatment with cloves effectively reversed MIA-induced effects. Therefore, clove treatment could have the potential to protect against or treat OA.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에서 정향(丁香)의 항비만 효과 (The Anti-Obesity Activity of Syzygium aromaticum L.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 안희연;노성수;신미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1-21
    • /
    • 2024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nti-obesity effect of Syzygium aromaticum L. (SA) in obese mice made by a 60% high-fat diet (HFD). Methods :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A were evaluated in vitro. To assess the anti-obesity effect of SA, male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Normal, Control, GC100 (Garcinia cambogia 100 mg/kg/day), SA100 (SA 100 mg/kg/day), SA200 (SA 200 mg/kg/day). All groups underwent a 6-week regimen of HFD and oral administration, except for the Normal group. Subsequently, we performed blood analysis, western blotting, and histopathological staining. Results : SA demonstrated effectiveness in antioxidant measurements. SA treatment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gain, along with reductions in liver and epididymal fat weights. Serum triglyceride (TG), total cholesterol (TC),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and leptin levels were reduced with SA treatment. Moreover, in the SA100 group, the reduction of both TG and TC synthesis was caused by inhibiting the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transcription factor 1 (SREBP-1)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transcription factor 2 (SREBP-2) through the Sirtuin 1 (Sirt1)/phospho-AMP-activated protein kinase (p-AMPK) pathway. Furthermore, SA treatment at a dose of 100 mg/kg reduced the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s in the liver and the adipocyte size of the epididymal fat. Conclusion : Our research reveals the anti-obesity effects of SA by demonstrating its ability to inhibit body weight gain and lipid accumulation, suggesting that SA might be promising for obesity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