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책채택

Search Result 54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Equitable Pricing Models for E-journals through an Analysis of the Current Pricing Systems (전자저널의 가격모형과 가격책정 현황에 관한 연구)

  • 신은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5 no.2
    • /
    • pp.151-170
    • /
    • 2001
  • Pricing for e-journals has become more complex than before-certainly much more complex than print pricing has ever been. E-journals charge either a fiat fee based on print, user, library size, usage, and combination. A survey of publisher's pricing structure found that print based model is popular followed by user based model. The current pricing situation is far from equitable and can be improved if publishers can be coerced to change their pricing practices. This study focus on a number of possible pricing models that may supplement and/or possibly replace the current print based model. With the possibility that its pricing will eventually be based strictly according to usage, may lead to the most equitable pricing model as well as the most efficient use of society's resources. Libraries can alleviate the pricing problem by encouraging library organizations and university consortia to exploit their potential monopoly power into a bilateral monopoly situation.

  • PDF

농업벤처기업의 빅데이터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기대편익에 대한 연구: 농업벤처 사업분야별 차이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An, Mun-Hyeong;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47-53
    • /
    • 2020
  • 빅데이터 기술은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혁신 기술 중 하나로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농업 분야 또한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쟁력 제고와 미래 산업으로의 발전이 중요 당면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해외의 경우 농업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타트업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며 성장하는 반면 국내의 경우 생산 분야 일부 농업 벤처 외에는 빅데이터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기업의 빅데이터 활용수준이나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대기업이나 특정 산업에 국한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구마다 영향요인 변수의 검증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나 산업/기업특성에 따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벤처기업에서 새로운 ICT인 빅데이터를 도입하고 사용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기대하는 편익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활용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가 조직의 프로세스를 변화시키고, 최고경영층의 지원이 필수적이며, 기업이 처한 환경적 압박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으로 보고 기술·조직·환경(TOE: Technology-Organization-Environment)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혁신확산이론(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 모형을 결합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변수들을 도출한 후 이들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설정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TOE모형의 기술적 요인에 관한 변수로는 혁신확산이론 변수인 상대적이점, 호환성, 복잡성을 채택하였고, 조직적 요인에 관한 변수로 최고경영층 지원, 비용부담능력을, 환경적 요인에 관한 변수로는 법적·정책적 지원, 경쟁자 압력을 채택하였다. 이들 3가지 요인에 속한 7가지 변수들과 빅데이터 사용의도와 기대편익 간의 관련성, 그리고 농업벤처 사업분야의 조절효과에 대한 8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농업벤처기업 종사자 대상 설문을 통한 실증연구를 통해 벤처 현장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 조직적, 환경적 관점의 정책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생산/가공/유통 등 사업분야별 비교를 통해 영향요인의 중요도 차이를 규명해 영역별로 차별적이고 효과적인 정책 방향성을 도출하는 데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nvironmental Change and Policy of Solar Photovoltaic Industry (태양광 산업의 환경 변화와 정책)

  • Choi, Hyukjoon;Kim, Minji;Kim, Haeyeon;Yun, Ga-Hye;Lim, Seok K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53-153
    • /
    • 2011
  • 신 재생에너지 정책이 발전차액지원제도(Feed In Tariff; FIT)에서 신 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로 변화하면서 원별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태양광 산업 역시 이러한 환경 변화에 대처해야 하며, 그를 위한 정책 구성이 필요하다. 이에 태양광 산업 정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하여 진행해야 한다. 첫째, 폴리실리콘(Poly silicon)을 활용하는 다결정실리콘 태양광에너지에 초점을 맞춘 정책이며, 둘째, 미래에 상용화될 차세대 태양광 에너지에 대한 대비를 위한 연구 개발(R&D) 정책이다. 먼저 다결정실리콘 태양광에너지에 초점에서의 산업 정책은 산업육성정책과 수출정책, 인프라 구성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 과도한 국가부채로 인한 세계경제 악화로 태양광에너지 업체들의 경제성이 악화하고 있다. 더욱 빨리 그리드 패리티(Grid Parity)를 달성하기 위해 수직통합 등의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그리드 패리티 달성시기를 위해 태양광 산업 내 세대 변화를 하는 경우와 하지 않는 경우를 비교하기 위해 고려할 요소를 분석하였다. 현재 신 재생에너지 가운데 태양광에너지는 타에너지원 대비 가격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상황이다. 그러나 수출을 고려했을 때의 향후 한국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의 발전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가격경쟁력이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칠 신 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 정책 하에서 태양광에너지가 전혀 채택되지 않는 상황을 막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그를 위해 필요한 정책적 요소들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인프라 구성을 위해 태양광 산업의 가치사슬(Value Chain) 상에서의 기업 분포와 경쟁력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는 태양광 산업 내의 경쟁력을 갖춘 부문과 그렇지 못한 부문을 구별하기 위함이다. 미래에 상용화될 차세대 태양광 에너지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는 연구개발 관련 정책이 가장 중요하게 다뤄야 할 부분이며, 그를 위해 정부 차원에서 지원하고자 하는 기술로드맵 등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 PDF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Socially-Oriented Innovation Policy (사회적 목표 지향적 혁신정책의 특성과 함의)

  • Song, Wi-Chin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8 no.1
    • /
    • pp.1-28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newly emerging socially-oriented innovation policy. The socially-oriented innovation policy has systemic views on the evolution of socio-technical system and innovation policy. It's ultimate goal is the transition toward sustainable socio-technical system and it takes "strategic niche management" approach for the transition policy. The governance structure of the policy is more open to the public actors, such as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and public institutes. As a case study, "the Technology-based Policy for the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which is the first comprehensive socially-oriented policy of Korea, is examined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policy has some limitations because of the path dependency of targeting-oriented and catching-up style innovation policy of Korea.

  • PDF

A Suggestion on the Components of Manuscript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r Literary Museums (문학관 메뉴스크립트 수집정책 구성요소에 대한 제언)

  • Jo, Eunbee;Lee, Seongsi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9 no.1
    • /
    • pp.209-23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mponents of manuscript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r Korean literary museum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manuscript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of internal and external literary museums. As the examples of internal literary museums, the private rules of material selection of World Women's Literature Center an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have been studied. As the examples of external literary museums, 14 original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from British and American literary museums have been analyz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11 basic elements and 14 selective elements were proposed for the manuscript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of Korean literary museums.

The Effect of a Smoke-free Campus Policy on Receptivity of Campus and Government Smoke-free Policy among College Students (캠퍼스 금연정책이 대학생들의 캠퍼스 내·외 금연정책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Shin, Sung-Rae;Kim, Yu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9
    • /
    • pp.363-374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 smoke-free campus policy on college students' receptivity of campus and governmental smoke free policy. The current study utilized pre and post cross-sectional survey in length of nine months. Data were collected from similar major freshmen at two pre matched universities, one representing smoke-free campus in Seoul city and one representing non smoke-free campus in Busan city, Korea. Baseline data were collected in March 2016 and follow-up data were collected in December 2016.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initial and follow-up data on receptivity of smoke-free campus policy in both university students revealing that the smoke-free campus policy does not influence in changing student's attitude towards unfavorable direction. Receptivity on governmental smoke free policy demonstrated significant changes among participants in non smoke-free campus. Their receptivity level changed significantly toward unfavorable direction. The implementation of a smoke-free campus policy can give positive impact on students' receptivity of campus as well as governmental smoke free policy.

Recent trends of smart applications and implications for digital policy (스마트 어플리케이션 동향과 디지털 정책 시사점)

  • Han, Hyun-Soo;Woo, Jeong-Ah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1
    • /
    • pp.1-10
    • /
    • 2012
  • In this paper, we review recently emerging smart applications, and analyzed policy implications in light of digital convergence perspective. While extant literatures on smart applications mainly dealt with consumer behaviors based i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r innovation adoption, the research on digital management policy is rather limited. We intend to fill this research gap. As such, we first organize two categories of smart work and smart commerce, and investigate the representative service models, four service models were reviewed for each category respectively. Next, the three policy related constructs are extracted, which are QoL(Quality of Life), public impacts in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ways. Finally, empirical analysis following the Delphi principle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licy implications. The results offer useful insights for the further research in digital convergence related policy areas.

Industrial Cluster: Still a Valid Policy Tool for the Creative Economy in Korea? (산업클러스터, 창조경제를 위한 정책수단으로의 가능성)

  • Choo, Sungjae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4
    • /
    • pp.551-566
    • /
    • 2013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industrial cluster policy implemented in Korea during the last decade or so, examine whether it can still be a valid policy measure in the creative economy regime, and propose policy directions for the future. It is evaluated that the cluster policy has contributed to increasing productivity by improving networks between companies, universities and research centers and thus strengthening innovation infrastructure. The policy, however, by its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domination, failed to develop open-ended and flexible spontaneous clusters. Industrial clusters have the capability to contribute to the virtuous circle of creative economy by enhancing creativity and innovativeness, and subsequently by increasing value-added. In order to maximize these positive effects, a few suggestions are made, including being faithful to the very nature of clusters, e.g. geographical proximity and connectedness, intending clusters with creativity well maintained, orienting toward multi-scalar clusters with a mixture of local and global perspectives, and matching regional and industrial policies with regards to clusters.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Airline Deregulation on Airport Economics (미국의 항공운송산업 규제완화법(Airline Deregulation Act of 1978)이 미국의 공항경제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Oh, Se-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2
    • /
    • pp.101-118
    • /
    • 1994
  • 미국의 항공운송산업 규제완화법(Airline Deregulation Act of 1978)에 의한 미국의 항공운송산업 자유화 정책은 미국의 국내 항공운송 시장의 환경을 철저한 경쟁의 원리가 적용되는 자유경쟁 시장으로 변화시켰으며, 국제 항공운송 시장에도 자유경쟁의 원리가 점진적으로 도입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항공운송산업 자유화 정책은 항공사의 운송 시장 환경뿐만 아니라 그들이 이용하는 공항의 경제 환경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자유화가 공항의 경제에 미친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자유화 이후 공항에서 시장 합리화 (Market Rationalization)의 원리가 적용 되었는 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1) 자유화 이후, 공항료(Airport Rates and Charges)와 공항에서의 활동량 (the Volume of Activity) 간에 유의한 상관 관계가 존재하는 가의 여부 (2) 자유화 이전과 이후를 비교할 때, 각 Hub Class별 공항료의 수준에 있어 유의한 변화가 있는 가의 여부에 대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의 결과, 자유화 이후, 공항료와 공항에서의 활동량 간에 유의한 상관 관계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채택하는 데 실패하였으며 또한 일원 분산 분석의 결과, 자유화 이전과 이후를 비교할 때, 각 Hub Class별 공항료의 수준에 있어 유의한 변화가 있다는 결론을 제시할 수 없었다. 미국의 항공운송산업 자유화 정책이 미국 공항 경제에 미친 영향에 대한 본 연구는 현재 경제규제완화를 실험하고 있는 우리의 경제 정책에 좋은 참고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PDF

Strategy Trends on Future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n European Union (EU의 미래 ICT 전략 동향)

  • Kim, P.R.;Whang, S.H.;Cho, Y.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4 no.2
    • /
    • pp.84-96
    • /
    • 2009
  • 유럽연합은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미국과의 경제 격차가 점차 확대되자 미국을 따라잡기 위해 리스본 전략을 채택하였다. 이 전략의 목표는 유럽의 정보화를 통한 성장, 고용, 사회적 참여로 요약할 수 있다. 리스본 전략에서 제시된 정보화 모토는 정책과 연구개발을 2개의 기둥으로 하고, 이 두 영역간의 긴밀한 상호협조를 통해 유럽정보화의 시너지를 창출하자는 것이었다. 정책 부문은 리스본 전략에서 출발하여 신 리스본 전략, i2010 전략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이에 맞추어 연구개발 부문은 FP5, FP6으로 발전되어 오다가 현재는 FP7이 시행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FP7의 ICT 연구프로그램에서 제안하는 도전과제와 미래기술전략을 소개하는 한편, 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FP7 ICT 연구프로그램은 유럽이 차세대 ICT 및 그 사용에 있어서 세계 선도 그룹에 들기 위해 극복해야 할 7가지 도전과제를 제안하고 있다. 이들 도전 과제들은 크게 업계의 기술 목표 및 사회경제적 목표 달성을 위한 과제로 이분할 수 있으며, 향후 10년 간의 목표와 성과물을 제시하고 있다. FP7 ICT 연구프로그램 중 '미래 및 새로 부상하고 있는 기술(FET)' 프로젝트는 예상하지 못했던 아이디어와 발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개방형 FET프로젝트'와 '전 방위적 FET 프로젝트'의 두 가지 상호보완적 플랜을 운영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들 프로젝트에 대하여 성과목표, 기대효과, 자금지원 및 예산분배계획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결론부에서는 앞에서의 논의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미래 ICT 기술개발 전략 구상시 참조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