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책적 시사점

Search Result 2,86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Universal Service Policy of Europe Union (EU의 보편적 서비스 정책 동향분석)

  • Kim, P.R.;Kwon, O.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3 no.5 s.53
    • /
    • pp.89-111
    • /
    • 1998
  • 1998년 1월 1일부터 EU의 역내통신시장이 완전 자유화됨에 따라 회원국들은 보편적 서비스를 새롭게 정의하고 국내법 개정을 통해 경쟁환경 하에서의 보편적 서비스 정책을 구체화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우선 보편적 서비스의 개념과 최근까지의 보편적 서비스 정책에 대한 변화과정을 살펴본 후, EU 가맹국의 전반적인 보편적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고, EU 가맹국 중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영국, 독일, 프랑스의 보편적 서비스에 대한 최근 정책 동향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보편적 서비스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omotion Policy of Electronic Trade in the U.S.A. and Singapore (미국과 싱가포르의 전자무역 지원정책에 관한 비교 연구 - 비정형 전자무역 분야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 Lee, Seong-Bong;Shim, Sang-Ryul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3 no.1
    • /
    • pp.225-240
    • /
    • 2001
  • 미국과 싱가포르는 모두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기업 경영환경을 제공하는 국가이다. 그러나 미국이 자유방임형이라고 한다면 싱가포르는 철저하게 계획형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싱가포르의 전자무역 지원정책의 사례를 분석하고, 상호비교를 통해 우리 나라 전자무역 지원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시사점은 전자무역의 활성화가 기본적으로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의 역할은 주도적인 입장이 아닌 철저한 지원자의 입장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정부가 거래알선 및 e마켓플레이스 등 전자무역의 핵심적인 활동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기보다는 관련된 민간기업을 육성하고, 기업들의 전자무역 수행능력을 제고시키며, 기업의 전자무역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자무역 인프라의 확충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점이다. 향후 전자무역 촉진을 위한 주요 정책의 방향으로 전자무역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을 제고 할 수 있는 홍보활동 강화, 전자상거래 지원기관과 전통적인 무역지원기관들의 연계 및 산학연계 활동의 촉진을 통해서 중소 기업에 대한 실질적인 전자무역의 지원, 전자무역 관련 전문인력의 체계적인 양성, 무역 관련 공공정보시스템의 개선 등이 제시될 수 있다.

  • PDF

Regional R&D efficiency of knowledge and value creation in Korea (지역R&D의 지식창출 및 가치창출 효율성 분석)

  • Min, Sujin;Kim, Ju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281-1296
    • /
    • 2017
  • 세계경제가 범국가적 경쟁에 접어면서 과거보다 지역R&D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지역R&D의 경쟁력 향상을 통해 지역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경제발전을 이루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그동안 지역R&D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한 여러 정책적 학술적 노력이 있어왔다. 본 연구는 지역R&D 효율성을 지식창출과 가치창출의 두 가지 측면에서 진단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목적에서 15개 국내 지역의 통계자료를 대상으로 자료포락분석(DE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효율성 분석을 위해 사용한 R&D투입과 산출요소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수도권과 대전에 양적으로 편중되어 있었다. DEA모형을 분석한 결과, 지식창출 부문의 효율성 점수는 평균 0.869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서울, 대구, 광주, 대전, 강원, 전남, 경북 지역이 효율적이었다. 반면 경남 지역은 0.630으로 지식창출에 있어 가장 비효율이 큰 지역이었다. 가치창출 부문의 효율성 점수는 평균 0.677 수준이며 지식창출보다 지역 간 점수 편차가 컸다. 광주, 대전, 울산, 강원 지역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경기 지역은 0.198으로 가장 비효율적이었다. 종합하여 비교하면 광주, 대전, 강원 지역만 지식창출과 가치창출이 모두 1.000점으로 효율적이었고 이를 제외한 지역들은 효율성 개선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R&D 효율성의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지역발전 정책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특정 시점에 한정되어 효율성을 분석하였으므로 생산성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과 분석자료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 PDF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on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and old-aged for the policy implications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위한 사회적지지와 가족기능이 중.노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Gyeong-Soo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4
    • /
    • pp.243-252
    • /
    • 2011
  • The study was to test hypothesis that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affect on life satisfaction, suggested the policy implications. I established research model based on reference review and took a questionnaire on the life satisfaction to the middle-aged and old-aged people over the age of fifty, who live in G city among the attendants at the program that was held by the local government. According to analytical results,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affected on social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ed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analytical results.

Electric Vehicle Policy of Major Nations (주요국의 전기자동차 정책 및 시사점)

  • Chun, H.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3
    • /
    • pp.186-195
    • /
    • 2012
  • 전기자동차는 석유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자동차이다. 그동안 전기자동차는 가솔린 자동차보다 오랜 역사를 갖고 있었으나 배터리 중량, 충전 시간 등의 문제로 인해 실용화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경제성과 친환경성을 만족시키면서 GM, 르노 등을 중심으로 전기자동차가 시판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미국, 일본, 유럽, 중국과 국내의 전기자동차 관련 정책을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Civic Multiculturalism Policy of Canada (캐나다 시민적 다문화주의 정책의 특징과 시사점)

  • Lee, Jin Ah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11
    • /
    • pp.15-23
    • /
    • 2015
  • This study aims to analyze multiculturalism policy of Canada, where is praised for not only systematic multiculturalism policy but also one of the leading countries for successful managing of it, and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Korea through analysis. The meaning, history, policy changes of multiculturalism of Canada, and the ways to maintain and generate for this by reviewing relating literature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particularly focuses on the civic multiculturalism policy, which established not only the systematic foundation but also a social consensus regarding multiculturalism policy changes. Moreover, finally some suggestions of development strategies for Korea were provided. Developing and conducting of various programs for understanding and recognizing cultural and ethnic diversity, establishing a powerful law regulation and applying the rules rigorously, supporting for network formation of immigrants based on community organizations, providing information made by various languages, and developing and using a tool such as a racial impact analyzes were suggested.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Innovative Brand Tasks by Local Government Type (지방자치단체 유형별 혁신 브랜드과제 분석과 시사점)

  • Kim, Dea-W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5
    • /
    • pp.128-137
    • /
    • 2019
  • This study typified and analyzed local governments' innovation policy through brand task and provided policy implications. A total of 844 local governments' brand task were used to classify the policy fields of the brand task by eight types of local government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social economy/local economy was the highest in all local government.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olicy fields that are focused by local governments. Third, the selection of innovation policy reflects the specificity of the region. Fourth, local government focusing on the type of brand task were differentiated. Therefore, these results confirm the theoretical relevance of the typology of local government suggest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the necessity of innovation policy for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establishment of innovation policy in accordance with local characteristics, and propagation of excellent innovation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