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원 식물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24초

조경수 설계시공 - 정원 가드닝 설계 시공 실무(1)

  • 송광섭
    • 조경수
    • /
    • 통권127호
    • /
    • pp.58-61
    • /
    • 2012
  • 조경작업은 그 규모가 크고 작건 간에 지반 정리 등 토목공사 외에 바닥, 돌담, 울타리, 연못-분수 설치작업이 병행된다. 물론 식물 식재가 중요한 부분이다. 식재된 식물이 주변 환경과 잘 어울리고 더 빛을 발하기 위해서는 이 같은 다양한 조경 요소가 잘 조화를 이뤄야 한다. 여기에 조각품이나 미술품 등 각종 조형물이나 물레방아, 석등, 정자, 누각, 벤치 등이 함께 어울러질 경우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승화된다.

  • PDF

동행+함께하는 마음: 우리 꽃, 아는 만큼 건강해진다 - 차로 마시면 우울증.불면증에도 효과, 부부급실을 좋게 하는 자귀나무

  • 김원학
    • 건강소식
    • /
    • 제34권8호
    • /
    • pp.26-27
    • /
    • 2010
  • 바쁜 일상에 주위를 둘러볼 시간적 여유가 없는 도시인이라도 잠깐 눈을 돌려보면 주위에 다양한 식물들의 색다른 모습을 즐길 수 있다. 자귀나무는 가로수나 정원수로 많이 심지만 그리 많이 알려진 식물이 아니다 보니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자귀나무에 대해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그 매력에 푹 빠지게 된다.

  • PDF

스마트가든의 인식경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mart Garden)

  • 우경숙;서주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51-60
    • /
    • 2021
  • 현대사회는 인간, 사물, 네트워크가 관계를 형성하는 디지털기술의 발전으로 정보화, 지능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 식물 재배 시 온도, 습도, 일광량, 수분공급 등 식물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정원 관련 시스템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스마트가든의 개념 및 인식경향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가든의 특성은 기술의 발전 및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실내·외 공간에서 IoT기술과 정원이 융합한 새로운 정원형태 혹은 여가의 유형 중 하나이다. 기술의 발전과 환경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인간과 자연이 융합되는 생활공간의 요구로 스마트가든이 현실화되고 보편화되고 있다. 스마트가든의 등장으로 정원 관련 산업의 변화,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등 정원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현재 스마트가든과 관련된 연구 및 이용자의 경험에서 공통적으로 스마트가든의 기술적인 측면에 관심이 가장 높다. 사람들은 스마트가든이 일상생활 속에서 안전하고 쾌적하며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는 기능 및 기술적인 측면을 중요시하며, 개인의 취향 및 디지털 기기의 이용능력에 따라 주체적인 이용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스마트가든의 이용행태를 살펴보면 주로 가정 및 실내공간에서 이용하고 있으며, 먹을 수 있는 식물을 재배하고 있는 추세이다. 환경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기후변화, 식량위기 등에 대한 우려로 먹거리와 관련된 식물 재배를 선호하고 있지만, 화훼류 등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기술 및 매뉴얼로 이용자의 욕구를 만족시켜주어 정원기능의 확대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마트가든의 형태를 새롭고 세련된 형태라고 느끼고 있어 스마트가든의 디자인이 이용자의 가치를 만족시키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현재 스마트가든은 기술적인 차원에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가든의 주요 구성 요인은 인간과 자연 그리고 기술일 것이다. 단순하게 화분과 스마트기기를 연결하여 식물을 편하게 기르는데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시티, 스마트홈 등 다양한 도시서비스와 연계성을 강화하고, 스마트가든이 과학기술에 의해서만 자연이 재현되는 것이 아니라, 조경가와 상호작용하여 정원의 기능 및 이용자의 니즈를 포함한 디자인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내뿐만이 아니라, 도시공원 및 공공시설에서 시민에게 제공하여 연령 및 디지털 기기·정보의 격차로 인하여 '스마트'한 서비스를 향유하지 못하는 계층을 대상으로 하여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정원의 기능을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조경공간으로 잠재성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