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신유전학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6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이해에 있어서 유전학 및 뇌영상 연구의 기여 (Contribution of Genetic and Neuroimaging Studies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김지은;류인균;전찬수;이유상
    • 생물정신의학
    • /
    • 제17권4호
    • /
    • pp.177-193
    • /
    • 2010
  • Significant advances have been made in understanding the biological underpinning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genetics and neuroimaging. Association studies in candidate genes related with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monoamines including serotonin, dopamine and noradrenaline, and proteins including FK506-binding protein 5 and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have provided important insights with regard to the vulnerability factors in PTSD.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and epigenetic studies may provide further information for the role of genes in the pathophysiology of PTSD. Hippocampus, medial prefrontal cortex, anterior cingulated cortex and amygdala have been considered as key structures that underlie PTSD pathophysiology. Future research that combines genetic and neuroimaging information may provide an opportunity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TSD.

기분과 행동의 계절성 변동과 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 유전자 다형성 (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 Gene Polymorphism and Seasonal Variation in Mood and Behavior)

  • 전혜연;이헌정;강승걸;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14권1호
    • /
    • pp.26-32
    • /
    • 2007
  • 목 적:유전학에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신과 영역에서는 ACE 유전자 다형성과 우울증, 우울증 치료 반응과의 연관성 등이 보고되어왔다. ACE 유전자가 인간의 다른 행동 특성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한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분과 행동의 계절성 변동과 ACE 유전자 다형성 사이에 유전학적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이 연구는 297명의 의과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대상자들은 주요 내과적 질환과 정신과적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대상자들에게서 ACE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유전자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계절성 양상 평가 질문지(Seasonal Pattern Assessment Questionnaire, SPAQ)를 이용하여 기분과 행동의 계절성 변동을 평가하였다. 결 과:세가지 ACE 유전자형에 따른 GSS 및 수면시간, 사회활동, 기분, 체중, 에너지 수준, 식욕의 계절성 척도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겨울형 계절성군, 여름형 계절성군, 비계절성군에서 ACE 유전자형의 빈도와 대립유전자 빈도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겨울형 계절성군에서 세가지 유전자형의 빈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x^2=6.79$, p=0.034). 또한 겨울형 계절성군에서 D 대립유전자를 보유한 경우(D+)와 D 대립유전자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D-)의 빈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x^2=6.59$, p=0.010;odds ratio [OR]=2.27, 95% confidence interval [CI] 1.20-4.28). 결 론:이 연구결과는 ACE 유전자형이 기분과 행동의 계절성 변동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일주기 유형의 평가와 이해 (Assessment and Understanding of Chronotype)

  • 김소민;김석주
    • 수면정신생리
    • /
    • 제26권1호
    • /
    • pp.5-15
    • /
    • 2019
  • 일주기 유형의 차이는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기존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일주기 유형 중 아침형이 몇몇 정신장애의 보호요인인 반면 저녁형은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아침형에서 나타나는 습관들은 저녁형보다 더 건강하다. 성인의 생활양식을 형성하는 과정에 있는 청소년 시기와 생활습관과 관련된 건강 문제가 잦아지는 노년기에 일주기 유형의 중요성이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일주기 유형을 생물-심리-사회적 건강 모델에 포함시켜 보다 효율적인 예방 및 치료적 접근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정신장애 치료에서도 일주기 리듬을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취침-기상, 식사, 그리고 일상 활동을 규칙적인 아침형 패턴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광치료(light therapy)와 멜라토닌 주입(melatonin administration)과 같은 전략들도 정신장애의 치료 및 재발 방지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일주기 유형 기저의 유전학을 이해하는 것 또한 어떤 사람이 특정한 생활 양식이나 정신장애에 취약한지 구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우울증의 후생유전적 기전의 역할 (Role for Epigenetic Mechanisms in Major Depression)

  • 김재원;윤봉준
    • 생물정신의학
    • /
    • 제18권4호
    • /
    • pp.181-188
    • /
    • 2011
  • Major depression is a devastating disorder of which lifetime prevalence rate is as high as up to 25% in general population. Although the etiology of the disorder is still poorly understood,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both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involved in the precipitation of depression. Stressful lifetime events are potent precipitating environmental factors for major depression and early-life stress is in particular an important element that predisposes individuals to major depression later in life. How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tress can make our neural networks susceptible to depression and how those factors leave long-lasting influences have been among the major questions in the field of depression research. Epigenetic regulations can provide a bridging mechanism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genetic factors so that these two factors can additively determine individual predispositions to major depression. Here we introduce epigenetic regulations as candidate mechanisms that mediate the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adversaries with genetic predispositions, which may lead to the development of major depression, and summarize basic molecular events that underlie epigenetic regulations as well as experimental evidences that support the active role of epigenetic regulation in major depression.

틱 장애 및 소아기 발병 강박 장애 (TIC DISORDER AND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IN CHILDHOOD)

  • 홍현주;송동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2호
    • /
    • pp.183-191
    • /
    • 2005
  • 뚜렛 장애는 음성틱과 운동틱을 특징으로 하는 소아기의 대표적인 신경발달학적 행동장애이다. 소아기 발병 강박장애는 강박장애의 한 아형으로써 틱장애와의 연관성이 알려져 있다. 두 질환은 처음 진단시, $40\~75\%$에서 서로 공존질환으로서 발견되며, 유전학적으로도 관련성이 있으며 신경해부학적으로도 피질-선초체-시상 회로(cortico-striato-thalmic circuit)의 이상이 보고되며 증상적인 면에서도 유사점이 발견되고 있다. 최근 10여년 동안 틱장애와 소아기 발병 강박장애 영역에서는 놀라울 정도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뚜렛 장애를 포함하는 틱장애와, 소아 청소년 발병 강박 장애에서 1) 임상 양상 2) 유전학 및 역학 연구 3) 뇌영상 연구 4)신경화학 5) 연쇄구균 감염 관련 소아기 자가면역성 신경정신과적 질환(pediatric autoimmune neuropsychiatric disorders associated with streptococcal infection : PANDAS)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PDF

Frontotemporal Lobar Degeneration(FTLD)의 임상적, 병리적 특징과 타우 단백질의 분자 유전학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rontotemporal Lobar Degeneration(FTLD) and Molecular Genetics of Tau Protein)

  • 우성일
    • 생물정신의학
    • /
    • 제10권2호
    • /
    • pp.97-106
    • /
    • 2003
  • Criticisms about amyloid cascade hypothesis of Alzheimer's disease(AD) are based on the findings, first, that the degree of dementia does not correlate with the number of plaques, and second, that the neurofibrillary tangle formation seems to predate plaque formation. In addition, neurofibrillary tangle counts correlate well with the degree of cognitive impair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e independent importance of tau abnormality in AD research which is involved in the neurofibrillary tangle formation. Recently, tau pathology without amyloid deposits and mutations in tau protein gene were reported to be the major pathogenic mechanism in Pick's disease,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corticobasal degeneration and FTDP-17(frontotemporal dementia and parkinsonism linked with chromosome 17). These data suggest that understanding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tau dysfunction might give new clinical and therapeutic solutions to many known tauopathies.

  • PDF

한국인 집단의 유전학적 연구 29. 약물치료를 받은 정신분열 살인환자의 자매염색분체 교환 빈도 (Genetic Studies of Korean Population 29. Sister Chromatid Exchange Frequency in Homicidal Schizophrenic Patient Treated with Antipsychotic Drugs)

  • 김영진;강남이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33-544
    • /
    • 1994
  • 정신분열 살인환자로 격리 치료를 받고 있는 집단을 대상으로 이들을 치료하고자 복용시키는 Haloperidol, Perphenazine, Lithium carbonate 등과 같은 항정신질환 치료제가 자매염색분체 교환(Sister Chromatid Exchange SCE)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항정신질환 치료제를 계속적으로 복용하고 있는 환자 100명(남자: 76명, 여자: 24명)과 치료제를 전혀 복용하지 않은 남자 환자 10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SCE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 항정신질환 치료제를 복용한 환자군에서의 SCE 평균빈도는 세포당 12.24$\pm$0.20으로 항정신질환 치료제를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에서의 평균빈도인 세포당 8.77$\pm$0.20보다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항정신질환 치료제를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에서의 평균빈도는 이미 보고된 바 있는 정상인 한국인 집단에서의 평균빈도인 세포당 8.78$\pm$0.24(Park et al. , 1992)와 별 차이가 없었다 한편 항정신질환 치료제를 장기간 복용하는데 따른 SCI 빈도의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를 보기 위하여 1년 미만에서 6년 정도까지의 치료제 복용기간에 따른 SCE의 평균빈도를 비교 분석한 바 복용기간에 따른 SCE 평균빈도의 유의한 차이는 볼 수 없었다. 정신분열환자들이 복용하고 있는 항정신질환 치료제가 SCE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과를 얼었다.

  • PDF

유럽인 자료로 산출된 조현병 다유전자 위험도 점수의 한국인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적용 (Comparison of Polygenic Risk for Schizophrenia between European and Korean Populations)

  • 이진영;이동빈;조은영;백지현;홍경수
    • 대한조현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5-70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hether common genetic variants that confer the risk of schizophrenia have similar effects between Korean and European ancestries using the polygenic risk score (PRS) analysis. Methods: Study subjects included 713 Korea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497 healthy controls. The Korea Biobank array was used for genotyping. Summary statistics of the most recent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of the European population were used as baseline data to calculate PRS.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calculated PRS of Europea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clinical diagnosis of schizophrenia in the Korean population. Results: Schizophrenia P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an in healthy controls. The PRS at the p-value threshold of 0.5 best explained the variance of schizophrenia (R2=0.028, p=4.4×10-6). The association was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age and sex (odds ratio=1.34, 95% confidence interval=1.19-1.51, p=1.1×10-6). The pattern of the association remained similar across different p-value thresholds (0.01-1). Conclusion: Schizophrenia PRS calculated using the European GWAS data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clinical diagnosis of schizophrenia in the Korean population. Results suggest overlapping genetic risk variants between the two populations.

Lowe 증후군 환아의 전신마취를 이용한 치료증례보고 (TREATMENT OF THE CHILD WITH LOWE SYNDROME UNDER GENERAL ANESTHESIA: A CASE REPORT)

  • 장우혁;이긍호;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7-242
    • /
    • 2002
  • Lowe 증후군 또는 안뇌신증후군(oculocerebrorenal syndrome)은 X-염색체와 관련된 유전성 질환으로 반성열성유전양상을 나타낸다. 선천성 백내장과 녹내장 등의 안 증상, 근긴장 저하 건반사감소 등의 근신경계 증상, 신장 기능이상이 가장 특징적인 임상 증상이며, 이외에도 정신 지체, 성장지연, 전두부 융기, 가늘고 성긴 모발, 돌출된 귀, 골질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Lowe 증후군 환자는 정신지체로 인해 치과치료시 전신마취하에서의 처치가 요구되나, 대사성 산증, 악성고열의 발생위험과 사용약제에 의한 부작용 등이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내과 또는 소아과 의료진이 참여된 협진체제 하에서 가능한 짧은 시간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치과적 처치의 어려움으로 Lowe 증후군 환자에서 치과질환의 예방이 좀더 강조되어야 하면, 이를 위해 보호자의 주위의 적극적 관리가 요구된다.

  • PDF

전두측두엽 치매 (Frontotemporal Dementia)

  • 전병선;박준혁
    • 생물정신의학
    • /
    • 제23권3호
    • /
    • pp.69-79
    • /
    • 2016
  • Frontotemporal dementia (FTD) is a degenerative disease characterized by the selective frontal and temporal lobe atrophy, and progressive deficits in behavior, executive function, or language.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FTD are 15-22/100000 and 2.7-4.1/100000, respectively, in midlife. Hereditary is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FTD. Although there is some controversy regarding the further syndromatic subdivision of the different types of FTD, FTD is clinically classified into behavioral variant of frontotemporal dementia, semantic dementia and progressive nonfluent aphasia. FTD can be misdiagnosed as many psychiatric disorders because of similarity of the prominent behavioral features. Advances in clinical, imaging,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have increased the accuracy of FTD diagnosis, thus developing for the accurate differentiation of these syndromes from psychiatric disorders. We also discuss about therapeutic strategies for symptom management of FTD. Medications such as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ntipsychotics, and other novel treatments have been used in FTD with various rates of success. Further advanced research should be directed at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new diagnostic and therapeutic modalities to improve the FTD patients' prognosis and qualit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