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신생리적반응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5초

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 Gene Polymorphism and Seasonal Variation in Mood and Behavior (기분과 행동의 계절성 변동과 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 유전자 다형성)

  • Jeon, Hye-Yeon;Lee, Heon-Jeong;Kang, Seung-Gul;Kim, Leen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제14권1호
    • /
    • pp.26-32
    • /
    • 2007
  • Objectives: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gene polymorphism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therapeutic outcome in de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CE gene polymorphism is associated with seasonal variation in mood and behavior in a young Korean college student sample. Methods: 297 young Korean medical student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free of major medical and psychiatric problems. They were genotyped for the ACE gene polymorphism and evaluated the seasonal variation in mood and behavior by the Seasonality Pattern Assessment Questionnaire (SPAQ). Results: Global Seasonality Score (GSS) of SPAQ between three genotypes were not different. However, comparison of the group that showed seasonality of mood and behavior during winter with the group that did not showed seasonality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otype distribution ($x^2=6.79$, p=0.034). The D allele non-carrier (ll genotype) frequen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inter seasonality group than non-seasonality group ($x^2=6.59$, p=0.010;odds ratio [OR]=2.27, 95% confidence interval [CI] 1.20-4.28).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CE gene polymorphism is related to winter-type seasonality in a Korean population.

  • PDF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평가

  • Kim Jeong-Beom
    • 대한불안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불안의학회 2004년도 재난과 정신건강
    • /
    • pp.185-213
    • /
    • 2004
  • 우리는 살아가면서 흔히 개인적으로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거나 불행히도 어떤 뜻밖의 재난이나 큰 사고를 경험할 수 있다. 이런 외상적 사건들을 겪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잘 극복할 수 있으나 일부 사람들은 심각한 의상 후 스트레스 반응을 보여 그런 외상이 지나감에도 불구하고 괴로운 기억 속에서 그것을 회상시키는 활동과 상황을 피하며 늘 불안한 마음으로 몸은 현재에 살고 있지만 마음은 실상 과거에 매달려 있고 과거의 고통 속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다른 불안 장애, 우울증처럼 흔한 질환으로 사회생활에 큰 지장을 주며 삶의 질을 손상시킨다. 그렇지만 외상을 당한 당사자들이 이런 이야기를 하기 꺼려하고, 이런 사람들을 진료실에서 종종 만날 수 있는 임상가들도 외상의 심각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우리 주위에 많은 사람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고생하고 있지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되는 경우가 실제보다 훨씬 적다. 따라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평가를 배움으로써 더 많은 환자들을 정확히 진단하며 다른 질환과의 감별을 쉽게 할 수 있고, 환자들의 고통과 어려움이 과연 무엇인지 잘 알 수 있으며, 치료 표적과 치료 전략을 정하고,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평가 방법으로는 구조화된 면담, 평가 척도, 정신 생리적 측정법, 치료자의 임상적인 결정 등이 있다. 향후에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증상 정도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사회적 관계, 직업적, 사회적 적응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도 같이 평가하는 도구들이 개발되고, 현재 개발된 많은 평가 척도들이 새로이 수정되고 표준화되어, 이런 평가 척도들을 통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경과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인한 정신 사회적 영향을 더 잘 알 수 있는 자료들이 많이 수집되길 바란다. 대칭이, 작은대칭이, 펄조개는 저질이 니질인 곳에서 주로 서식하고 있었고 귀이빨대칭이는 사니질과 사질에 주로 서식하고 있었다. 특히 삽교호 수계 채집된 귀이빨대칭이는 사니질과 사질의 저질에서 출현하였다.및 내장낭 조직들이 중요한 에너지 저장소이며, 영양 공급 기관임을 알 수 있었으며,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들의 영양물질 함량 변화는 생식소의 에너지 요구에 따라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른 신장 기능에 대한 영향을 평가해 보아야 한다.하를 조사한 결과, 연간 진동해역으로 유입되는 오염부하량은 부유물질 기준으로 전체 37,316 ton/yr로 추정되었고, 이중 육지기원 부하량이 9,809 ton/yr (26.3%) 였고, 해역의 침강량 23,576 ton/yr (63.2%), 양식생물의 배설량이 3,932 ton/yr (10.5%) 로 대부분이 해역의 침강량에 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육지오염부하량이 변동이 없다는 전제 조건 아래, 진동만의 피조개 채묘장을 미더덕 양식장으로 품종전환시킬 경우, 전체 부하량은 산술적으로 약 196%가 증가한 72,998 ton/yr 가 되고, 양식생물의 배설량은 10배 정도 증가하게 되어 진동만의 오염부하를 가중하게 된다. 진동만은 여름철 빈산소수괴 및 적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므로 미더덕 양식장을 새로이 시설할 경우 오염부하가 가중될 것으로 판단되어, 앞으로 진동만의 양식장 수용능력을 파악하여 적정량의 양식물량이 시설되어야 할 것이다.25 psu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인 단백뇨는 진행성 경과의 위험성을 동시에 암시해 주는 매우 유용한 지표이다. 본 연구 결과 학교 신체 검사상에서 발견된 단독 단백뇨의 주된 원인은 기립성 단백뇨로 81.8%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지속성 단백뇨의 경우 비록 9.1%의 빈도를 보였지만, 신장 조직검사를 시행한 결과 진행성 경과를 취할 수 있는

  • PDF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Physical, Psychoemotional Stress Response and Self-Regulation for Late Adolescence: A Non-Randomized Trial (뉴로피드백 훈련이 후기청소년의 신체적, 정서심리적 스트레스 반응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비무작위 연구)

  • Choi, Moon-Ji;Park, Wan-Ju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제48권2호
    • /
    • pp.208-220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for reducing stress and enhancing self-regulation in late adolescence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use for nursing intervention.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78 late adolescent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39) that received the neurofeedback training and the control group (n=39). Data were collected on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skin conductance level (SCL) to assess stress-biomarker response. The questionnaire contained 164 items from: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and Self-regulatory Ability scale. The neurofeedback training was based on the general adaptation syndrome and body-mind medicine.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a total of 10 sessions for 30 minutes per session with high-beta, theta and sensory motor rhythm training on scalp at central zero.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ndard deviation of normal to normal interval (p=.036) in HRV and SCL (p=.029) of stress-biomarker response between the two groups. Negative affect (p=.036) in PANAS and obsessive compulsive (p=.023) and depression (p<.001) in SCL-90-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lf-regulation mode (p=.004) in self-regulation ability sca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eurofeedback training is effective in stress-biomarkers, psychoemotional stress response and self-regulation. Therefore, neurofeedback training using neuroscientific approach based on brain-mind-body model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late adolescents in clinics and communities for effective stress responses.

Implicit Distinction of the Race Underlying the Perception of Faces by Event-Related fMRI (Event-related 기능적 MRI 영상을 통한 얼굴인식과정에서 수반되는 무의식적인 인종구별)

  • Kim Jeong-Seok;Kim Bum-Soo;Jeun Sin-Soo;Jung So-Lyung;Choe Bo-Young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9권1호
    • /
    • pp.43-49
    • /
    • 2005
  • A few studies have shown that the function of fusiform face area is selectively involved in the perception of faces including a race difference. We investigated the neural substrates of the face-selective region called fusiform face area in the ventral occipital-temporal cortex and same-race memory superiority in the fusiform face area by the event-related fMRI. In our fMRI study, subjects (Oriental-Korean) performed the implicit distinction of the race while they consciously made familiar-judgments, regardless of whether they considered a face as Oriental-Korean or European-American. For race distinction as an implicit task, the fusiform face areas (FFA) and the right parahippocampal gyrus had a greater response to the presentation of Oriental-Korean faces than for the European-American faces, but in the conscious race distinction between Oriental-Korean and European-American fac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in the FFA.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activation in the fusiform regions and right parahippocampal gyrus resulting from superiority of same-race memory could have implicitly taken place by the physiological processes of face recognition.

  • PDF

Low Frequency Noise Induces Stress Responses in the Rat (흰쥐에서 저주파소음에 의한 스트레스 반응)

  • Choi, Woong-Ki;Lee, Kyu-Sop;Joung, Hye-Young;Lee, Young-Chang;Sohn, Jin-Hun;Lee, Bae-Hwan;Pyun, Kwang-Ho;Shim, In-Sop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제10권3호
    • /
    • pp.411-418
    • /
    • 2007
  • Exposure to low frequency noise(LFN) can lead to vibroacoustic diseases(VADs), which include a systemic disease with lesions in a broad spectrum of organs and a psychiatric condition. It is known that VAD is an established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many psychological conditions in humans and rodents, including major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FN on neuronal stress responses in the rat brain. The neuronal expression of the proto-oncogene c-fos in the paraventricular nucleus(PVN) of the hypothalamus and tyrosine hydroxylase(TH) in the LC was observed. The immunocytochemical detection of the Fos protein and TH has been used as a marker of neuronal activation in response to stress. In addition, corticosterone concentration was evaluated by using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The LFN groups were exposed to 32.5Hz and 125Hz of noise(4hr/day for 2days). The numbers of c-fos and TH-immunoreactive cells in the PVN and LC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FN groups(32.5Hz and 125Hz)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Corticosterone concentration in plasma was also increased in LFN groups. The present results demonstrated that exposure with LFN produced a pronounced increase in expression of c-Fos and TH in stress-relevant brain are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ural characteristics involved in LFN are similar to those activated by typical processive stressors.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central and peripheral activations by LFN may be related to LFN-related negative behavioral dysfunctions such as VADs.

  • PDF

Subjective Symptoms and Physiological Changes of RF Exposure by a Cellular Phone (휴대전화 전자파에 의한 자각증상 및 생리학적 변화)

  • Hong, Hyun-Ki;Ji, Hyo-Chul;Kim, Soo-Chan;Kim, Deok-W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제45권3호
    • /
    • pp.59-67
    • /
    • 2008
  • Due to the fast increase in cellular phone users, public interest on health effect of electromagnetic fields(EMFs) by cellular phonos is gradually increasing. Some EHS(electromagnetic hypersensitivity) patients complain of psycho-neurophysiological symptoms such as headaches, insomnia, memory loss resulting from RF radiation by CDMA cellular phones. However, EHS is difficult to diagnose and depends on the individual's subjective judgement. And we don't know clearly if the cause of EHS is uneasiness or real exposure. There have been various EHS volunteer studies on heart rate, blood pressure and subjective symptoms using GSM phones.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experimental case-control study investigating physiological parameters, subjective symptoms, and perception of EMFs. In this study, two volunteer groups of 17 self-declared EHS and 19 controls were exposed to both sham and real RF exposure by CDMA cellular phones for half an hour each. We investigated not only the physiological parameters such as heart rates, respiration rates and HRVs(hear rate variability), but also the perception of EMFs and subjective symptoms. As the results, EMF exposure did not have any effects on the subjective symptoms or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both groups. For the EMF perception, there was no evidence that EHS group perceived the EMFs correctly than the control group.

Evaluation of the Reliablility and Validity of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in Adolescents (월경 전기 평가서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 PAF)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 청소년을 대상으로 -)

  • Joe, Sook-Haeng;Lee, Hyeon-Soo;Kwak, Dong-Il;Ko, Seung-Duk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제4권1호
    • /
    • pp.21-36
    • /
    • 1996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premenstrual assessment form(PAF). PAF was administered to 230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reported premenstrual changes. PAF revealed considerable diversity in premenstrual symtom changes of the subjects. The items with most frequent reported premenstrual changes were 21 items out of 95. Cronbach's internal consistency was .95,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80. Validity test was performed by constructional validation analysis. 8 factors(impulsive & unstable factor, depressive factor, withdrawal & social functioning impairment factor, anxiety & cognitive dysfunction factor, physiological factor, general discomfort factor, increased well-being factor, other factor) emerged at factor analysis. Each of them accounted for 33.97, 5.10, 3.70, 2.93, 2.64, 2.46, 2.12, 2.03 of total variance respectively.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d impulsive & unstable features of premenstrual symptoms more frequently. This study suggests PAF can be a reliable and valid tool as a initial screening and evaluation of premenstrual changes. finally, factor analysis result was compared with PAF typological categories.

  • PDF

Safety and Efficacy of th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Bioguard' for the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 A Prospective, Multi-Center, Single Group, and Non-Inferiority Trial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하악전방이동장치-'바이오가드'의 안전성과 유효성 검증을 위한 전향적, 다기관, 단일군 및 비열등성 연구)

  • Kim, Hyoung Wook;Hwang, Chungpoong;Eun, Hun Jeong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제23권2호
    • /
    • pp.84-92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a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MAD), 'Bioguard,' for the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OSA). Methods: In this 5-week prospective, multi-center, single group, and non-inferiority trial, patients who chose 'Bioguard' as their treatment option were evaluated using both questionnaires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and polysomonography (PSG) (apnea hypopnea index (AHI), oxygen saturation). All patient data, including clinical records, PSG studies (both pre- and post-treatment), and adverse events (A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Results: Results were obtained for 59 of 62 patients (95.16%).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cess rate was found between the MAD treatment and surgical treatment (95% CI). AHI, PSQI, ESS and oxygen saturation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 (p < 0.001) after MAD treatment, and 39 of 62 patients (62.9%) reported 85 AEs. 79 of the 85 AEs (91.8%) were mild cases, and there were no severe AEs related to the MAD treatment. Conclusion: The MAD 'Bioguard' should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reatment option for OSA patients.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제8권2호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

THE EFFECT OF REPEATED MATERNAL SEPARATION ON GLUCOCORTICOID RECEPTOR AND CYCLOOXYGENASE-2 IN PREWEANLING RAT BRAIN (반복 모성 분리가 이유 전기 백서 뇌의 Glucocorticoid Receptor와 Cyclooxygenase-2에 미치는 영향)

  • Yoon, Doh-Joon;Chang, Hwan-Il;Song, Ji-Young;Bahn, Geon-Ho;Chung, Joo-Ho;Kim, Jong-Woo;Yoo, Hee-Jeo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1호
    • /
    • pp.91-100
    • /
    • 2004
  • Objectives:The effects of repeated maternal separation on the expression of glucocorticoid receptor (GR) and cyclooxygenase-2(COX-2) in the hippocampus of rat pups at preweanling stage were evaluated. Methods:The experimental, Repeated Maternal Separation group(N=4) was separated from the mother for four hours a day over a period of ten days beginning with postnatal day 4. The Control group(N=4), on the other hand, did not separated from the mother at all. GR and COX-2 expression in the hippocampus was examined by immunohistochemistry on postnatal day 14. Results:It wa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GR-immunopositive cells in the dentate gyrus of the hippocampu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Repeated Maternal Separation group. The numbers of COX-2-immunopositive cells in the CA1 and CA3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peated Maternal Separation group.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that maternal separation may be a significant developmental stress that induces GR and COX-2 expression in the hippocampus of developing pu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