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서평정

Search Result 7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eveloping Korean Affect Word List and It's Application (정서가, 각성가 및 구체성 평정을 통한 한국어 정서단어 목록 개발)

  • Hong, Youngji;Nam, Ye-eun;Lee, Yoonhyoung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7 no.3
    • /
    • pp.377-406
    • /
    • 2016
  • Current lists of the Korean emotion words either do not consider word frequency, or only include emotion expression words such as 'joy' while disregarding emotion inducing words like 'heaven'. Also, none of the current lists contains the concreteness level of the emotional word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aimed to develop a new Korean affect word list that makes up such limitations of the current lists. To do so, in experiment 1, valence, arousal and concreteness ratings of the 450 Korean emotion expression nouns and emotion inducing nouns were surveyed with 399 participants. In addition, in experiment 2, an emotional stroop task was performed with the newly developed word list to test the usefulness of the list. The results showed clear patterns of the congruency effects between emotional words and emotion expressing faces. Increased response times and more errors were found when the emotion of the words and faces are non-matched, than when they were matched.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newly developed Korean affect word list can be effectively adapted to studies examining the influence of various aspects emotion.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Korean Affective Picture System (KAPS): A Preliminary Study (표준화된 한국정서사진체계 개발: 예비연구)

  • 이경화;이임갑;박경진;최상섭;손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74-79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정서 연구에 적합한 시각자극의 표준화를 위해서 한국정서사진체계(Korean Affects Picture System: KAPS)의 제작을 수행하면서 얻어진 결과를 간략히 보고하고자 한다. 총 210개의 시각자극 사진을 선정하여 슬라이드로 제작하고, 충남대학교 남녀 대학생 442명 (20-25세)을 대상으로 의미변별척도와 기본정서 평정척도를 사용하여 주관적 정서반응을 측정하였다 의미변별척도 평정치의 요인분석 결과 18개의 양극성 형용사는 3개의, 정서차원, 즉 즐거움, 각성도, 지배성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이는 국제정서사진체계 (IAPS)의 시각자극을 사용하여 미국인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 결과 및 한국인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 결과와 잘 일치하고 있다. KAPS에 포함되는 시각자각 수는 연구가 계속됨에 파라 지속적으로 확대되며, 실험방법 및 각자의 사진에 대한 세 차원(즐거움, 각성도, 통제력) 및 비연속 기본 정서(기쁨. 공포, 슬픔, 혐오, 놀람, 분노)에 관한 주관적 평정치를 포함하는 manual을 제작하여 정서연구자들에게 제공한다.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서 얻어진 평정치 자료들도 계속해서 추가 보완될 것이다. 이를 통해서, 안으로 우리 나라에서의 정서 연구방법의 표준화 및 인구성과의 공유화를 위한 토대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The effect of LED lighting hues on the rating and recognition of affective stimulus (LED 조명색상이 정서자극의 평정과 재인에 미치는 효과)

  • Pak, Hyen-Sou;Lee, Chan-Su;Jang, Ja-Soo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4 no.3
    • /
    • pp.371-384
    • /
    • 2011
  • Thre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how LED lighting hues influence to the rating and recognition of affective stimuli. In Experiment 1 and 2, IAPS affective pictures were used and an affective rating(valence and arousal) task and a recognition memory task were conducted under red, green, blue, and white hue LED lightings in Experiment 1 and cyan, magenta, yellow, and white ones in Experiment 2, respectively. In Experiment 3, affective words were used and the same two tasks were conducted under red, green, blue, and white hue LED lighting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ffective rating tasks, when primary hues(RGB) were used, red LED lighting elicited an excitement at the arousal dimension and green LED lighting evoked pleasantness at the valence one. When secondary hues(CMY) were used, magenta and cyan showed the similar but weaker patterns of responses comparing to red and green. The results of recognition memory task showed that the responses to the picture stimuli presented at green and cyan hue lightings tended to be a bit faster comparing to the stimuli presented at the other conditions but the difference was insignificant. In Experiment 3, however, recognition memory responses to the affective words presented at green hue lighting were faster significant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arm colors like red and magenta elicit unpleasantness or excitement while cool colors like green and cyan evoke pleasantness or relaxation, and the primary hues provoke more positive or negative affectivity than secondary ones do. Particularly, the result of recognition memory task in Experiment 3 suggests that green hue LED lighting might be advantageous at the memory performance of language stimuli rather than visual ones.

  • PDF

Affective Representation of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to Emotional Videos using Wearable Devices (웨어러블 기구를 이용한 영상 자극에 대한 행동 및 생리적 정서 표상)

  • Inik Kim;Jongwan Kim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7 no.1
    • /
    • pp.3-12
    • /
    • 2024
  • This study examined affective representation by analyzing physiological responses measured using wearable devices and affective ratings in response to emotional videos. To achieve this aim, a published dataset was reanalyzed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to demonstrate affective representation in two dimensions. Cross-participant classification was also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sistency of emotional responses across participants. The accuracy and misclassification in each emotional condition were described by exploring the confusion matrix derived from the classification analysis.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that the represented objects, namely, emotional videos, were positioned along the rated valence and arousal vectors, supporting the core affect theory (Russell, 1980). Vector fittings of physiological responses also showed the associations between heart rate acceleration and low arousal, increased heart rate variability and negative and high arousal, and increased electrodermal activity and negative and low arousal. Using the data of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across participants, the classification results revealed that emotional videos were more accurately classified than the chance level of classification. The confusion matrix showed that awe, enthusiasm, and liking, which were categorized as positive, low arousal emotions in this study, were less accurately classified than the other emotions and were misclassified for each other. Through multivariate analyses, this study confirms the core affect theory using physiological responses measured through wearable devices and affective ratings in response to emotional videos.

A study of affective circumplex model on gesture property (동작 속성에 따른 정서 차원 분석)

  • Yoo, Sang;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379-1386
    • /
    • 2006
  • 전자우편이나 문자 메세지를 이용할 때 겪는 불편함 중 하나는 상대방이나 기계에 정서 정보를 전달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정서 정보를 메시지에 싣기 위해서는 컴퓨터나 디지털 기기가 정서를 인식하거나 사용자가 정서를 입력해야 한다. 기존의 정서 인식 방법은 생리적, 신체적 측정치를 이용하는 것인데, 이 경우 측정을 위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고 현재 자신의 정서 상태와 다른 정서를 표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소형 모바일 기기를 이용할 때 다른 측정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서를 기계에 입력하기 위해 동작을 이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었다(Fargerberg, Stahl, & Hook, 2003). 본 연구에서는 Laban Movement Analysis에서 동작을 구성하는 다섯 요소 중 노력(effort)과 모양(shape) 요소를 재구성하여, 방향성 차원, 무게감 차원, 시간감 차원으로 동작을 구분하고 총 20개의 동작을 선정하였다. 또한 한덕웅과 강혜자(2000)가 수집한 834개 정서 어휘를 평정하여 동작을 통해 표현하고 전달되기 쉬운 정서 어휘 50개를 선택하였다. 최종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20개의 동작에 대해 50개의 정서 어휘를 평정하고 데이터는 범주형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Russell(1980)의 이차원 정서 구조 모형에서 각성 수준 차원은 동작의 무게감과 시간감 차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하고 빠른 동작일수록 각성 수준이 높은 정서가 나타났다. 또한 동작의 방향성 차원은 정서의 종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직선 움직임은 높은 각성 수준의 부정적 정서와, 흔듦 움직임은 불안 및 초조와, 원형 움직임은 즐거운 정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작을 통하여 정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동작과 정서를 연관 짓기 위해 방향성 차원과 무게감 차원 그리고 시간감 차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정서관련 어휘 분석을 통한 내적 상태의 차원 연구

  • 김영아;김진관;박수경;오경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209-21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정서관련 어휘분석을 통하여 내적체계의 차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1에서는 내적경험을표현하는 데 자주 쓰이는 어휘들을 자유연상을 통해 100개를 선정하고 유사성과 빈도평가작업을 통해 대표성을 갖는다고 판단되는 어휘22개를 선정하였다. 22개의 쌍별유사성을 7점척도로 평정한 자료를 다차원분석한 결과, 1차원(63%)은 쾌/불쾌, 2차원(25%)은 각성수준으로 해석될 수 있었고, 이는 기존의 차원모형의 주장과 거의 유사한 결과였다. 다른 어휘목록을 사용하였을 때의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연구 2에서는 표정을 보고 정서를 추론하는 실험을 통해 자주 언급된 단어를 빈도순으로 22개 선정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다차원분석한 결과 연구 3에서는 연구 1,2의 어휘목록이 전체 내적체계의 차원 공간에서 차지하는 상대적인 위치를 비교하기 위해, 두 어휘목록을 포함한 83개 내적체계의 단어를 차원평정시켜 분석하였고, 연구결과가 차원모형에서 갖는 시사점이 논의 되었다.

  • PDF

Yoga Psychology and Positive Emotions (요가심리학과 긍정적 정서)

  • Ok-Kyeong Cho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5 no.1
    • /
    • pp.227-23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at yoga psychology aims to actualize the positive potentials in the depth of human mind with the perspective of body-emotion-mind-spirit integration. This approach i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modern positive psychology. For this purpose, the Self-realization of yoga psychology is discussed, which is to develop one's higher self as a center of psyche apart from one's psychological growth or maturation. An individual can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such as pleasure, joy, happiness and ecstasy through the typical yoga technique of concentration. Happiness is one of the main issues of positive psychology, but yoga psychology called it "ānanda" and divided it further into seven types. The positive emotions of positive psychology seem to be equivalent to positive states of mind in yoga psychology. But yoga regards calmness, tranquility, nonattachment and transcendence as the most valuable virtues for the full actualization of human potentials. From the perspective of yoga psychology, the tranquil state of mind is the wonderful fruit of long and arduous yoga practices. It is the calm and neutral state of mind which is free from all the turmoils of everyday life. Tranquility is beyond the scope of modern positive psychology's issues, but it offers some precious insights to them.

  • PDF

Does the Preference for Emotional Paintings Depends on Personality? (정서적 미술작품에 대한 선호가 성격 유형에 의해 달라지는가?)

  • Yoon, Yosun;Lee, Seungbok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9 no.3
    • /
    • pp.15-26
    • /
    • 201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whether aesthetic preference is related to the personality of an individual or not. Even though prior studies have reported that aesthetic preference for a certain style of art is associated with a personality factor, it is more important to focus on impressions and feelings about paintings than the style of art. The present study tried to examine how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feelings about paintings are related to a personality factor, and that familiarity has an effect on aesthetic preference. After participants answered a Big-Five personality questionnaire, they then rated the preference for and familiarity about paintings which implied emo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scores of neuroticism preferred negative paintings. A preference for negative paintings is hard to explain, but this could be explained by results of this study. A hypothesis that familiar paintings would be more preferred is supported by the data. Aesthetic preference has both objectivity and the subjectivity. This study explained subjectivity through individual differences, and investigate art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rather than conservative methods that sort paintings into art history.

Dimensional Structure of Emotion in Schizophrenic Patients (정신분열병 환자의 정서구조 분석: 2차원 모형을 중심으로)

  • 오경자;문혜신;김영아;박수경;김진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362-367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증 환자들이 정서상태를 개념화하고 얼굴표정을 통하여 타인의 정서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정상인과 비교하였다. 연구1에서는 만 19세-46세의 정신분열병 환자 19명에게 정서 관련 형용사 15개로 구성된 105개의 형용사 쌍에 대하여 유사성을 평정하도록 하여 MDS로 분석한 결과, 쾌/불쾌와 각성의 두 차원이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는 정상집단과는 달리 정신분열병 집단의 자료에서는 쾌/불쾌 차원만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각성 차원은 얻어지지 않았다. 연구 2에서는 다양한 정서를 표현한 얼굴 사진 28개를 정신분열병 환자 30명과 대학생 31명에게 제시하고 각 사진의 인물이 경험하고 있는 내적 상태를 쾌/불쾌와 각성의 두 차원에 대하여 각각 7점 척도로 평정하도록 한 결과 정신분열병 집단은 대학생 집단에 비하여 쾌/불쾌 차원에서는 보다 긍정적으로 평정하는 경향이, 각성 차원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부정적이고 각성 수준이 높은 내적 상태를 표현하는 사진 자극에 대하여 정신분열병 환자 집단이 각성수준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정서상태의 개념화 과정에서 각성 차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민감도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부정적인 정서상태를 표현하는 얼굴들에 대란 판단에서는 각성 차원을 과소평가하여 높은 각성수준을 나타내는 표정과 낮은 각성수준을 변별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자율신경계의 높은 각성 수준으로 인하여 각성 수준을 더 높일 가능성이 있는 자극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는 Mednick의 가설과 일관되는 결과로 이들의 각성 수준에 대한 낮은 민감도는 방어적인 회피성향의 지속에 따른 둔감화의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효과는 GSR를 비롯한 자율신경계지표에서 잘 반영되었다.^2$=.792가 되었다. 설명되는 누적분산값은 67.18%였다.주관적 평가의 결과와 객관적 평가 결과를 이용해 마직물의 태를 평가하는 산출식을 제시하였다. 태 평가치의 경우 16가지 특성치를 모두 넣는 방법과 stepwise 방법, 또 Kawabatark 사용한 순차적 군 회귀법의 세가지 방법의 회귀식 중 16가지 특성치를 모두 넣는 방법의 결정계수가 가장 높았다.tosterone농도는 107.7$\pm$12.0 pmol/l이었고, 남성의 타액내 농도는 274.2$\pm$22.1 pmol/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정립된 EIA 방법은 RIA를 대신하여 소규모의 실험실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또한 상실기 이후 배아에서 합성되며, 발생시기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고 팽창과 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조선의 ${\ulcorner}$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ese Lett

  • PDF

Affective Representations of Basic Tastes and Intensity using Multivariate Analyses (다변량분석방법을 이용한 미각 자극의 기본 맛과 강도에 따른 정서표상 )

  • Chaery Park;Inik Kim;Jongwan Kim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6 no.2
    • /
    • pp.39-52
    • /
    • 2023
  • According to the core affect theory, affect consists of two independent dimensions of valence and arousal. Previous studies have found that various types of stimuli, such as pictures, videos, and music, are mapped onto the core affect space. However, the research on affect using gustatory stimuli has not been explored sufficientl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affects elicited by tastes could be mapped onto the core affect space. Stimuli were selected based on two factors (taste types and intensity).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each stimulus, evaluated the tastes, and rated their affective responses on taste and emotion scal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measures ANOVAs and multivariate analyse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assification). The results of univariate analyse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felt positive for sweet stimuli but negative for bitter and salty. Furthermore, participants reported high arousal with high intensity.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that taste stimuli are also represented on the core affect dimensions.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first dimension, sweetness was represented as a positive affect, while bitter and salty tastes were represented as a negative affect. In the second dimension, bitterness was represented as low arousal and sourness as high arousal. Classification analyses confirmed that the taste was identified consistently based on the affective responses within and across participants. This study showed that the taste stimuli in daily life are also located on core affect dimensions of valence and aro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