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상부위

검색결과 1,151건 처리시간 0.035초

발암과정에서 염증의 역할 (Role of Inflammation in Carcinogenesis)

  • 이병무;이지은;김태정;조홍태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3권1_2호
    • /
    • pp.1-21
    • /
    • 1997
  • 염증반응이란 우리 신체에 외부 물질이 침입했을 경우 대처하는 정상적인 현상이다. 외부에서 물리, 화학, 생물학적 물질에 노출되었을 경우 혈관이 팽창하고, 비특이적 면역반응이 시작된다. Selectin, integrin, immunoglobulin superfamily와 같은 adhesion molecule에 의해 macrophage 및 neutrophil과 같은 leukocyte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exudation이 일어나고 침입 부위에 모여 hyperemia가 발생된다.(Govan 등, 1995)

  • PDF

남성 골반강의 자기공명영상

  • 김보현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3권1호
    • /
    • pp.28-40
    • /
    • 1999
  • MRI는 주로 부인과 질환의 진단에 이용되어 왔으나 뛰어난 연조직 대조도와 다면 영상 능력으로 남성 골반강의 평가에서도 그 활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남성 골반강 MRI는 전립선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으나 음경과 음낭, 요도 등을 침범한 외상, 종양 등의 질환에 매우 유용하므로 이들 부위에서의 MRI 이용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는 전립선, 음경, 음낭 등의 남성 골반강 장기를 평가하는데 필요한 검사기법, 정상 해부학, 이상 질환의 MRI 소견 등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신장형란에 있어서 난각구조의 해석 (Analysis of Chorion Structures in Kidney Mutant, Bombyx mori)

  • 노시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88-95
    • /
    • 1988
  • 난형이상 돌연변이체인 신장형란의 난각구조를 주사형 전자현미경을 이용해서 관찰했다. 난의 정공부, 후극부, 측면부 및 배면부에 있어서는 정상란과 ki란에 있어서 구조적인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복면부에 있어서는 ki란의 경우 매우 특이한 부위특이성이 인정되었다. 즉 이 부위에서는 측면부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polygon형의 그물상구조가 인정되었다. 또한 난각의 두께에 있어서도 이 부위가 가장 두꺼운 부위로 나타났다. 그러나 난각의 내부구조에 있어서는 어느 부위에 있어서도 구조적인 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이상의 관찰 결과로부터 ki란은 난형의 이상뿐만 아니라 난각 구조에 있어서도 매우 특이한 부위특이성이 인정되었다. 또한 신장형란의 특이란형은 복면부 포란피막 세포의 부위 특이적인 존재양식과 난각구조 과정에 있어서의 이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c-99m 표지 항과립구항체 면역신티그라피(Tc-99m labeled antigranulocyte antibody immunoscintigraphy)를 이용한 척추압박골절의 원인질환 감별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Distinction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Causes with Tc-99m Labeled Antigranulocyte Antibody Immunoscintigraphy)

  • 조인호;이형우;안상호;원규장;배장호;조수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254-262
    • /
    • 1998
  • 골수의 손상정도률 민감하게 반영하는 Tc-99m 표지 항과립구항체 면역신티그라피를 이용하여 척추압박골절의 원인을 감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척추압박골절 환자중에서 병리조직학적(수술 혹은 생검) 혹은 3개월 이상의 임상경과를 추적 관찰하여 원인이 밝혀진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Tc-99m 표지 항과립구항체 면역신티그라피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16명의 환자중 외상이나 골다공증에 의한 압박골절 부위가 16부위 (8명), 전이암에 의한 압박골절이 3부위 (3명), 결핵에 의한 압박골절이 6부위 (5명) 이었다. 외상이나 골다공증과 같은 양성원인에 의한 척추압박골절 16 부위 모두 척추뿌리, 추궁판, 가시돌기의 섭취는 정상이었고, 척추체는 섭취저하가 7례, 섭취결손이 8례, 섭취정상이 2례에서 관찰되었다. 결핵에 의한 압박골절 6례에서 척추체의 섭취결손이 6례 모두, 척추뿌리의 섭취결손이 5례에서 관찰되었고, 가시돌기와 추궁판의 섭취결손은 발견되지 않았다. 전이암에 의한 3례의 경우는 2례에서 척추체, 척추뿌리, 추궁판, 가시돌기의 섭취결손이 보였고, 1례에서는 척추체와 가시돌기에만 섭취결손이 관찰되었다. Tc-99m 표지 항과립구항체 면역신티그라피의 단층영상에서 섭취결손부위를 평가함으로서 양성원인과 병적원인에 의한 척추압박골절의 원인의 감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LAP병변의 치료시 감별해야 할 상완 이두근 장두와 상부 관절와 순 간의 드문 변형 - 증례보고 -

  • 김용주;정훈;하종경;이관희;이우진
    • 대한관절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관절경학회 제21차 추계 학술대회
    • /
    • pp.183-187
    • /
    • 2009
  • 견관절의 관절와순 병변과 정상적인 해부학적 변형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Buford 병변 및 sublabral recess 또는 foramen 등의 해부학적 변형등은 관절와순 병변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항상 감별을 요하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상부 관절와 순 전후 병변으로 진단되어 관절경 수술을 시행하던 중 경험한 상부 관절와 순과 이두박근 장건의 부착부위 간의 드문 해부학적 정상 변형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영유아기 아토피 환아에서 말초혈액 T 림프구에서 Interleukin-4 유전자의 DNA 메틸화 변화 (DNA Methylation Change of IL-4 Gene from T Cell in Allergic Children)

  • 오재원;염명걸;김창렬;설인준;신수아;이하백;장세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6호
    • /
    • pp.634-639
    • /
    • 2005
  • 목 적 : 2세 미만의 소아에서는 임상적으로 확실한 증상이 있거나 알레르기 가족력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제적으로 아토피 유무를 판별하는 것은 성인에 비해 제한점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에 알레르기 질환과 관련된 사이토카인이 유전자 배열에서 발현하는 지를 말초혈액의 Th2 림프구에서 interleukin-4 유전자의 DNA 탈메틸화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대상은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소아알레르기클리닉을 내원한 3세 미만 소아에 대해 소아의 병력과 가족력을 조사하여 family allergy score와 개인력을 기준으로 알레르기질환에 대한 고위험군 7명, 저위험군 8명, 정상 대조군 7명이었다. 이들 모두에서 총 IgE치와 Der f II 특이 IgE를 측정하였고 이들의 말초혈액에서 T세포를 Der f II로 자극하여 배양한 후 DNA 추출을 하여 IL-4 유전자 두 번째 인트론의 CpG 섬에 대한 메틸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정상군에 비해 알레르기 환아군에서 IL4 유전자의 두번째 인트론에 위치한 CpG 섬의 두 부위 모두에서 메틸화 특이 PCR 신호강도가 약하게 나타나는 반면 정상아에서는 118 bp PCR 산물과 205 bp PCR 산물이 모두 강하게 나타나서 메틸화된 것으로 보이며, 저위험군 알레르기 환아에서 최소한 한 부위에서 탈메틸화가 일어났으며 고위험군 알레르기 환아에서는 두 부위 모두에서 탈메틸화가 일어났다. 결 론 : 정상 대조군의 T 세포에서는 IL-4 유전자의 메틸화가 일어나고 알레르기 환아에서 고위험군과 저위험군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메틸화의 소실이 관찰되었다. 이를 이용하여 향후 영유아기에서 아토피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나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아에서 발생한 대장의 염증성 질환에서 E-cadherin의 발현 (E-cadherin Expression in Colonic Epithelium of Various Colitis in Children)

  • 이나영;박도윤;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2권2호
    • /
    • pp.177-182
    • /
    • 2009
  • 목 적: 소아에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 대장염에서 점막의 형태학적 변화와 세포 접합에 다양한 변화가 있으리라 예상되어 세포 간의 결합을 유지하는 E-cadherin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방 법: 1998년 1월부터 2003년 8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하부 위장관 내시경술과 대장점막 조직 검사를 통해 대장염으로 진단된 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파라핀 블록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E-cadherin의 세포 내 발현을 조사하였다. 주변의 정상 조직과 비교하여 E-cadherin의 발현이 동일한 강도와 양상을 가진 세포가 50% 이상인 경우를 정상으로 판정하였고, 발현이 정상인 세포가 50% 미만이거나 염색 분포의 이상이 있거나 전혀 염색되지 않은 경우를 이상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1) 본 연구에서 비특이성 대장염 15예(38.5%), 크론병 7예(17.9%), 감염성 대장염 5예(12.8%), 음식 단백 과민성 직결장염 5예(12.8%), 궤양성 대장염 3예(7.7%), Henoch-Schonlein purpura 대장염 2예(5.1%), 그외 베체트병, 허혈성 대장염 1예가 포함되었다. 2) 모든 종류의 대장염에서 상피세포 E-cadherin 발현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77%의 대상 표본에서 E-cadherin 발현감소가 있었다. 3) 활동성 염증이 심한 부위에서 Ecadherin 발현 감소가 현저하였으며 병변부에서 떨어진 상피세포에서는 정상 발현을, 궤양 주위나 재생 상피가 있는 부위는 심한 발현 감소를 보였다. 결 론: 모든 종류의 염증성 대장 질환에서 E-cadherin 발현 감소가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염증과 궤양이 있는 부위에서 상피세포 접합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상피세포의 재생을 위한 세포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작용이라고 판단된다.

  • PDF

막성요도 근위부 완전폐쇄를 지닌 개에서 골반내 요도문합술 (Intrapelvic Urethral Anastomosis in a Dog with Complete Obstruction of Proximal Membranous Urethra)

  • 윤헌영;김준영;한현정;장하영;이보라;남궁효선;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1-64
    • /
    • 2006
  • 체중 4.65kg, 나이 13 개월의 수컷 페키니즈 견이 무뇨 증상으로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 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신체 검사상에서 복부 촉진을 통해 심각한 방광 팽창을 확인 하였다. 방광 내 요도 카테터 삽입을 시도 하였으나 실패 하였다. 혈액 화학 검사에서 BUN농도(35.6mg/dl)와 크레아틴농도(1.9mg/dl)가 각각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다.단순 방사선 및 요도조영술에서 심한 방광팽창 및 막성 요도의 시작 부분이 폐쇄된 소견을 보였다. 수술동안 투시기를 이용 방광요도조영술과 요도조영술을 동시에 실시하여 본 바 폐쇄 부분 길이가 13mm임을 확인하였다. 골반강내 위치한 요도 폐쇄 부위가 피부절개선상까지 견인으로 노출이 가능하여 치골절골술 없이도 요도절제 및 요도문합을 실시할 수 있었다. 요도를 5-0 polyglycolic acid로 문합하고 이 부위를 대망막으로 감쌌다. 수술 후 첫째 날, 식욕이 회복 되었고, 5일 째 비정상 범위를 보였던 혈청 화학 수치들이 정상을 보였다. 그러나 요도 카테터를 제거한 후 약간의 요실금이 관찰 되었다. 7일 째 뇨 분석 결과가 정상 수치를 나타냈고, 14일 째 배설성 요로 조영술을 통해 수술 부위에 소변 누수가 없음을 확인 하였다. 21일 째, 더 이상의 요실금이 확인 되지 않았으며, 1년이 지난 현재 재발없이 정상적인 배뇨와 건강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