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냄새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EEG Responses and Olfactory-related Occupations (천연향 자극에 대한 향 관련 종사자들의 EEG반응)

  • 강인형;민병찬;진승현;전광진;성은진;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28-131
    • /
    • 2002
  • 향 관련 직업을 중심으로 한 연구에는 유기 화학적 냄새에 폭로된 종사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작업환경 개선을 주된 목적으로 실시되어져왔으나 천연향 자극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관련 전문직과 화장품 판매직을 대상으로 100%의 basil oil, lavender oil, lemon oil, jasmine oil, ylang-ylang oil (KIMEX co. Ltd, Korea), skatole (TAKASAO co. Ltd, Japan)등 6종 향 자극에 대한 EEG, 주관평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전문직에서 선호도가 높은 향은 Fz와 F3에서, 선호도가 낮은 향은 P4에서 $\alpha$/$\beta$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상호 정보량에 대해서는 두 직업 모두 선호도가 낮은 향에 대한 상호 정보량이 선호도가 높은 향에 비해 더 많았다. 특히 화장품 관련 전문직에서는 전두엽의 상호 정보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판매직과 비교하여 전문직은 천연향 자극이 감성효과가 아닌 외부자극에 대한 고차원적 기능을 담당하는 전두엽 영역과 관련된 지성효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technology of realistic multi-media display and odor recognition using olfactory sensors (후각 센서를 이용한 냄새 인식 및 실감형 멀티미디어 표현 기술)

  • Lee, Hyeon Gu;Rho, Yong Wa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v.6 no.4
    • /
    • pp.33-43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floral scent recognition using odor sensors and a odor display using odor distribution system. Proposed odor recognition has method of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ensors that select optimal sensors in floral scent recognition system of selective multi-sensors. Proposed floral scent recognition system consists of four module such as floral scent acquisition module, optimal sensor decision module, entropy-based floral scent detection module, and floral scent recognition module. Odor distribution system consists of generation module of distribution information, control module of distribution, output module of distribution. We applied to floral scent recognition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proposed sensors decision method. As a result, application of proposed method with floral scent recognition obtained recognition rate of 95.67% case of using 16 sensors while applied floral scent recognition system of proposed sensor decision method confirmed recognition rate of 96% using only 8 sensors. Also, we applied to odor display of proposed method and obtained 3.18 thorough MOS experimentation.

A Study On E-nose For AI-based Food Quality Management (AI 기반 식품 품질 관리용 전자코에 관한 연구)

  • Yi-jin Jung;Hye-bin Lee;Da-Eun Hwang;Se-Jin Se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53-1054
    • /
    • 2023
  • 본 연구는 이기종 기체 센서를 활용하여 식품의 부패 및 발효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AI 기반 식품 품질 관리용 전자코에 관한 내용이다. 정확한 부패 및 발효 정도 측정을 위해 신호 처리 및 분석 기술을 활용하며, 로지스틱 분석 및 회귀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는 인간의 후각으로 정확하게 맡기 힘든 냄새를 측정함으로써 식중독 사고의 방지 및 식품의 생산/보관/운송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환경, 농업,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Emotional adjective profiles of various odor stimuli (감성형용사를 사용한 다양한 향의 프로파일)

  • Jung, Yun-Jin;Lee, Guk-Hee;Li, Hyung-Chul O.;Kim, Shin-W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8 no.2
    • /
    • pp.75-84
    • /
    • 2015
  • Although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and utilized for video reality improvement, use of olfaction still remains at a rudimentary stage. Previous research reported reality improvement effect of some scents when a video displayed specific objects whose odors matched to the scents provided. In addition, another study showed that provision of scents that correspond to the prevailing color of a video improves sense of immersion. However, the above studies have clear limitations because not all videos have specific odor or obvious color. Assuming, in this study, that sensibility-based scent provision in the absence of main odor or color will increase sense of reality, the present study aimed at building adjective profiles of various scents that convey different sensibilities. To this end, in Experiments 1 and 2, we collected a set of adjectives appropriate for description of scents, and in Experiment 3, we built profiles of 16 scents using 30 adjectives. In addition, we grouped scents of similar sensibilities using cluster analysi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not only for video reality improvement but also for the purposes of emphasizing product concepts or store positioning, etc.

The Search of Pig Pheromonal Odorants for Biostimulation Control System Technologies: III. Comparative Molecular Field Analysis (CoMFA) on Binding Affinities between Ligands of 2-(Cyclohexyloxy) Tetrahydrofurane Derivatives and Porcine Odorant Binding Protein (생물학적 자극 통제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돼지 페로몬성 냄새 물질의 탐색: III. 2-(Cyclohexyloxy) Tetrahydrofurane 유도체와 Porcine Odorant Binding Protein 사이의 결합 친화력에 관한 비교 분자장 분석)

  • Sung Nack-Do;Park Chang-Sik;Jung Hoon-Sung;Seong Min-Kyu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v.30 no.1
    • /
    • pp.13-19
    • /
    • 2006
  • To search of new porcine pheromonal odorants for biostimulation control system technologies to improve reproductive efficiency in livestock species, the comparative molecular field analysis (CoMFA) for binding affinity constant $(p(Od)_{50})$ between porcine odorant binding protein (pOBP) and ligands of odorant 2-(cyclohexyloxy) tetrahydrofurane derivatives as substrate molecule was conducted and discussed. In the optimized CoMFA model AIV with chirality $(C_1'(R),\;C_2(S))$ in substrate molecule and atom based fit alignment (A) of odorants, the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e best predictability of the binding affinities $(p(Od)_{50})$ based on the LOO cross-validated value $r^2_{cv}.\;(q^2=0.886)$ and non-cross-validated conventional coefficient $(r^2_{ncv}.=0.984)$. the binding affinity constants exhibited a good correlation with steric (40.8%), electrostatic (14.6%) and hydrophobic (44.6%) factors of the substrate molecules. from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contour maps, which may give us some valuable informations to the modification of odorants for effective binding affinity.

Smart Closet with Notifications (알림기능을 가지는 스마트옷장)

  • Park, Cha-Hun;Hong, Wan-Gyu;Hwang, Won-Seok;Kwak, byeoung-geol;Cho, Sung-kyu;Chun, Jung-Hoon;Kim, D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183-184
    • /
    • 2021
  • 기존의 스타일러는 옷 건조, 살균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비용이 비싸며 공간을 차지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알림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옷장은 옷장위에 설치된 라즈베리파이 디스플레이에 간단한 날씨정보를 출력하여 그 날의 날씨정보를 시간소비 없이 간편하게 습득할 수 있으며, 한줄 뉴스를 통하여 그 날의 소식을 간편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옷장 내부에 설치된 아두이노가 온습도 센서와 미세먼지 센서를 통제하여 옷장 내부의 온도, 습도, 미세먼지 농도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 수 있으며, 습도가 높거나,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경우에 옷장 내부에 부착된 쿨링팬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옷장 내부를 환기시킴으로써 습도를 낮추고 먼지, 냄새 등을 제거해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습도나 미세먼지 수치가 낮아지면 자동으로 쿨링팬의 작동은 멈춰진다. 또한 미세먼지, 온습도 값에 따라 3색 LED가 색이 변화한다. 이런 스마트옷장으로 바쁜 현대 사회에서 사용자들의 시간을 절약해주고 옷의 관리해줌으로써 편리함을 제공한다.

  • PDF

Information Forager's Approach to Folksonomy (정보채집으로의 접근 - 폭소노미 이해를 위한 개념적 틀 연구 -)

  • Park, Hee-Ji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3
    • /
    • pp.189-206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 conceptual framework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people work with in accessing, sharing, and navigating Web resources. In order to provide a better frame of a user's interaction with a folksonomy, an information foraging approach was adapted that denotes adaptiv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f users within human information interaction. A conceptual framework that consists of three different components from users' points of view was proposed: tagging, navigation, and knowledge sharing. This understanding will help us to motivate possible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in folksonomy and lay the groundwork for empirical research which focuses on qualitative analysis of a folksonomic and users' tagging behaviors.

A Study on the I-V characteristics of a Organic 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소자(OLED)의 전압-전류 특성에 대한 연구)

  • Lee Jung-Ho;Chae Kyu_Su;Kim Min-N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5.05a
    • /
    • pp.159-162
    • /
    • 2005
  • 전자빔을 이용하던 CRT(Cathode Ray Tube) 모니터에서 픽셀단위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 사용으로 휴대용 정보처리 장치들은 급속한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기존의 CRT 모니터에서 전자빔을 사용하던 방식에서 픽셀(Pixel) 단위의 후면발광 디스플레이를 만들면서 CRT 모니터보다 빠른 응답특성을 나타내며 저 전력일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의 두께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휴대가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발전으로 노트북이나 PDA와 같은 실시간 정보를 활용 및 처리 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할 수 있었지만 원활한 활용을 위해 더 적은 전력을 사용하는 방법들이 제시되어야 했다. 이에 따라 저 전력 소모, 빠른 응답특성, 넓은 시야각 그리고 경량화가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되기 위한 새로운 디스플레이가 선을 보이게 되었다. 현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을 받고 있는 디스플레이 소자로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가 있다 이는 LCD 디스플레이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여 우선적으로 높은 색도가 가능하며 후면발광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 발광을 하기 때문에 저 전력 소모가 현실화되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유동성이 가능하여 휘어질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기발광 소자의 경우 높은 발광 효율을 위한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며 소자의 수명도 개선해야 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 소자의 메카니즘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게 되며 물리적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물리적, 수치적 해석으로 소자의 특성을 파악해 줌으로써 개선된 유기발광 소자 제작이 가능 할 것이다.기에 대한 영향정도를 측정하여 정량적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각 구간에 대해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대형국책사업에서의 공기지연인자에 대한 분석 방법론을 정립하였고 공기지연 분석 방법론의 현실적 적용을 위한 제언과 그에 따른 개선사항에 대해 도출하였다.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고 추정하였다. 0.5%가 control사이에서 0.95로 가장 색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냉동분쇄 0.5% 0.83으로 나타나 송이의 첨가율이 높을수록 색차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색차가 가장 낮은 제품은 법동분쇄 0.3%, 동결건조 0.3%로 나타났다. 송이양갱의 색(color), 냄새(flavor), 맛(taste), 외관(appearances), 질감(viscosity), 종합적 평가(overall acceptability) 등의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중 색에 대한 기호도는 냉동분쇄 0.1% 송이양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냄새는 동결건조 0.1%의 송이양갱이 3.38로 가장 점수가 높았으며, 냉동분쇄 0.3%의 송이양갱이 2.81로 가장 낮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맛에서는 p<0.01수준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동결건조 0.1%가 그 중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이 동결건조 0.5%였다. 가장 낮은 선호도를 나타낸 것은 열풍건조 0.5%였다. 질감은 P<.05 수준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동결건조 0.1%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며, 동결건조 0.5%함유 송이양갱이 1.21로서, 현저히 낮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종합적인 평가에서는 동결건조 0.1%함유

  • PDF

On a Cleaning of COVID-19 Prevention Masks with Electrolytic Decomposition Water (전기분해수로 코로나방역용 마스크의 세정에 관한연구)

  • Tian, Zhixing;Bae, Myung-Ji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1
    • /
    • pp.591-596
    • /
    • 2022
  • Various COVID-19 quarantine guidelines and measures are being taken by country at the WHO, but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h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In order to prevent the inflow and outflow of COVID-19 through individual droplets, it is mandatory to wear a mask anytime, anywhere. However, as virus bacteria entering the mask amplify, it pollutes the mask and causes a disgusting smell. In this paper, a new method of preventing the spread of COVID-19 was proposed by sterilizing the mask with a dental gait spray introduced into the mask that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Dental gargle water is usually produced by electrolysis of tap water, and the unstable ion water (HOCl) dissolved in water penetrates the cell barrier of various viruses and fails to act in its nucleus, causing water to self-purify.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when the mask used for a long time was washed with gargle water spray, the washed mask was dried after 10 minutes, and the smell of virus droplets or saliva almost disappeared.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MOS testing the fit of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mask cleaning, it was excellent at 4.4 on average. Therefore, the mask was disposable, but if the spray was washed in the proposed method more than twice a day, the mask could be used in a comfortable state for more than a week.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Black Garlic Powder Added (흑마늘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 Lee, Jeong-Sug;Seong, Yu-Bin;Jeong, Bo-Young;Yoon, Seong-Jun;Lee, In-Sook;Jeong, Yoon-Hw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8 no.9
    • /
    • pp.1222-1228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ponge cakes with black garlic powder added such as cake batters, pH, height, specific volume, moisture contents, texture, color and sensory acceptability. Specific gravity of cake batters was increased as black garlic powder increased. Moisture contents, pH, height and specific volume of cakes were decreased as black garlic powder increased. In color of cake's crumb,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was decreased as the black garlic powder increased, while redness (a) increased.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as increased with the black garlic powder while springiness decreased in texture of the cakes. In sensory evaluation, flavor and taste of the cake was better than others when the 6% black garlic powder was added while overall acceptability was the highest when 4% black garlic powder was ad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