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밀 DEM

Search Result 15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stimation of distributed groundwater recharge in Gimcheon region (김천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 산정)

  • Chung, Il-Moon;Park, Seunghyuk;Chang, Sun Woo;Lee, Jeongwoo;Kim, Na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10-410
    • /
    • 2017
  • 지하수 관리를 위해서는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량의 정량적 산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지하수 연동해석이 가능하며 토지이용 특성과 국내 토양특성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한국형 장기 유출 모형 SWAT-K를 이용하여 김천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행정경계와 수자원단위지도에서 제시하는 표준단위유역을 기준으로 하여 김천시를 포함하는 유역을 SWAT-K 구동을 위한 모델영역으로 설정하여 주하도를 따라 19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다. SWAT-K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기상 및 수문자료를 구축해야 하는데 강우량을 비롯하여 기온, 풍속, 일사량, 상대습도 등의 기상자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 내에 위치한 구미, 추풍령, 거창, 상주 기상관측소와 김천, 지례, 부항1, 부항2, 선산 강우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 및 강우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모형의 계산시간, 모형결과의 정확도 등을 판단하여 30m 공간해상도를 가지는 DEM을 300m 공간해상도로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토지이용도는 모의시 다양한 토지이용상태를 반영할 수 있도록 중분류(1:25,000) 토지이용도를 사용하였다. 토양도는 국립농업과학원에서 토양도 전산화 사업을 통해 구축된 1:25,000 축척의 정밀토양도를 사용하였다. SWAT-K를 이용하여 김천시를 포함한 전체유역에 대해 지표수-지하수 통합 물수지 분석 결과(2008년~2015년) 연평균 강수량 대비 유출률은 61.2%, 증발산률은 36.3%, 함양률은 18.0%로 나타났다. 지표수 유출과정과 지하수위 변동을 동시에 고려하여 산정한 소유역별 연간 함양량 결과를 산정하였고, 총 19개의 소유역별 연간 지하수 함양량을 제시하였다. 또한 SWAT-K 모형을 이용한 모델 영역중 김천시에 속하는 행정구역별, 표준권역별 연평균 함양량을 산출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 김천시 평균 함양률은 18.2%로 산정되었다.

  • PDF

An Optimal Digital Image Analysis Technique for Measuring Deformation of Granular Soils (사질토의 변형 측정을 위한 최적의 디지털 이미지 해석 기법)

  • Jang, Eui-Ryong;Jung, Young-Hoon;Chung, Choong-Ki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5 no.12
    • /
    • pp.119-130
    • /
    • 2009
  • To measure the soil deformation, two common techniques of the digital image analysis-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 and Digital Image Correlation (DIC)-have been used. To generally apply these techniques to the soils, the accuracy of these techniques should be evaluated under various conditions. In this study, the influence factors including the image resolution, the degree of displacement and deformation, the size of pixel subsets, and analysis techniques were analyzed. The deformation of an idealized particle assembly using the discrete element method was measured by the digital image analyses, and then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actual deformations. To conduct the optimal digital image analysis, various factors are systematically analyzed in terms of the degree of the displacement and the deformation.

Analysis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 using Digital Data in Agricultural Watershed (농업용수 디지털 정보를 활용한 용수공급 네트워크 분석)

  • Shin, Ji-Hyeon;Nam, Won-Ho;Yoon, Dong-Hyun;Yang, Mi-Hye;Jung, In-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10-511
    • /
    • 2022
  • 물관리기본법의 시행 및 제1차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의 이행에 따라 물관리 자료의 정보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과거 농업용수관리는 기초자료의 오류, 계측데이터의 부족 등이 한계점으로 지적되었으며, 과학화·표준화된 농업용수 물수급 분석 체계 구축 및 물정보의 정확성이 요구된다. 최근 통합물관리 국가정책 대응을 위한 물수급 분석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농업용수 용 배수 계통 정밀조사, 공간자료 재구축 등을 통한 농업용수 디지털 정보체계 구축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속수치지형도 및 토지피복, 스마트팜맵 등의 디지털 공간자료를 수집하고 현장조사와 영농조사를 바탕으로 최신화된 용배수계통도, 수혜면적 자료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화한 용배수계통도를 이용하여 수리해석 모델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들녘단위 (주·보조수원, 저수지 및 양수장 등) 용수계통도 구현함으로써 수원공별 용수공급 네트워크를 분석하고자 한다. 농업용수 공급체계 반영이 가능한 EPA-SWMM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을 활용하여 다양한 물공급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최적의 물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안성시 고삼저수지를 대상으로 연속수치지형도, 농경지전자지도, 고해상도 DEM 등을 활용한 디지털 조사와 수로 표고, 길이 및 너비 등 현장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현장 물관리 방안을 적용하여 물분배 모의가 가능한 EPA-SWMM 기반 수원공-용수로-수혜구역을 연결하는 용수공급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 (Rural Agricultural Water Resource Information System, RAWRIS)에서 제공하는 계측 자료를 활용하여 관개기간의 강수량, 소비수량, 증발산량, 공급량 등을 적용하여 농업용수 공급량, 배분량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물관리 담당자에게 상세한 현행 용수공급량 및 용수공급체계 정보 제공과 향후 국가물관리기본계획, 농어촌용수이용합리화계획의 물수급 분석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Correction Algorithm of Swayed Images for LSIV (LSIV를 위한 흔들리는 영상의 보정 알고리듬의 개발)

  • Yu, Kwon-Kyu;Yoon, Byung-Man;Kim, Ju-W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494-499
    • /
    • 2006
  • LSIV (Large Scale Image Velocimetry)는 영상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수표면의 유속을 측정하는 장비이다. 처리가 용이한 좋은 LSIV의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높은 고도에서 내려다 보며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측정의 정밀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이를 위해 트럭에 장착된 기중기를 이용하는 이동용 LSIV를 개발하고 있다. 이 때 기중기의 흔들림에 따라 획득된 영상이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하며,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여 유속을 측정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알고리듬이 필요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PTV(Particle Tracking Velocimetry)의 입자 추적 알고리듬과 LSIV의 좌표 변환 알고리듬, LSIV의 유속 산정 알고리듬을 조합하여 흔들리는 영상에서 표면 유속을 측정하는 알고리듬을 개발하였다. 입자 추적 알고리듬은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된 연속 영상의 참조점들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카메라의 위치 변동을 파악한다. 영상 분석된 결과들을 이러한 참조점들을 기준으로 변환하였다. 개발된 알고리듬의 검증을 위해서 실험 수로에서 동일한 흐름에 대해 흔들리지 않은 영상과 흔들리는 영상의 두 가지 영상을 만들었다. 흔들림이 없는 영상의 처리결과를 기준으로 삼아, 흔들림이 있는 영상의 처리 결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흔들림이 지나치게 커서 참조점들의 추적이 불가능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두 자료의 처리 결과는 거의 동일하였으며, 유속 측정의 최대 오차는 약 5 % 내외로 나타났다. 이 오차는 흔들림 때문에 생기는 영상의 열화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 알고리듬은 이동용 LSIV 시스템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비용적 측면이나 생태 보존적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one)을 설치하는 대책이 필요하다. 저수지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저수지 내부의 탁도 거동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추후 동수역학 및 열역학에 기초한 3차원 수치모형 연구와 성층흐름에 정밀한 밀도류 실험연구 및 이에 대한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함으로써 정보의 질적보장과 정보전환의 표준화방안을 제시하는 정보분석시스템이다.이용,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의 특성에 따른 4개의 평가기준과 26개의 평가속성으로 이루어진 2단계 기술가치평가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2개의 개별기술에 대한 시범적용을 실행하였다.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

  • PDF

Rapid gravity and gravity gradiometry terrain corrections via an adaptive quadtree mesh discretization (최적 4 진트리 격자화를 이용한 중력 및 중력 변화율 탐사에서의 고속 지형보정)

  • Davis, Kristofer;Kass, M.Andy;Li, Yaoguo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4 no.1
    • /
    • pp.88-97
    • /
    • 2011
  • We present a method for modelling the terrain response of gravity gradiometry surveys utilising an adaptive quadtree mesh discretization. The data- and terrain-dependent method is tailored to provide rapid and accurate terrain corrections for draped and barometric airborne surveys. The surface used in the modelling of the terrain effect for each datum is discretized automatically to the largest cell size that will yield the desired accuracy, resulting in much faster modelling than full-resolution calculations. The largest cell sizes within the model occur in areas of minimal terrain variation and at large distances away from the datum location. We show synthetic and field examples for proof of concept. In the presented field example, the adaptive quadtree method reduces the computational cost by performing 351 times fewer calculations than the full model would require while retaining an accuracy of one E$\"{o}$tv$\"{o}$s for the gradient data. The method is also used for the terrain correction of the gravity field and performed 310 times faster compared with a calculation of the full digital elevation model.

Using Digital Climate Modeling to Explore Potential Sites for Quality Apple Production (전자기후도를 이용한 고품질 사과생산 후보지역 탐색)

  • Kwon E. Y.;Jung J. E.;Seo H. H.;Yun J. I.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6 no.3
    • /
    • pp.170-176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evaluating climatic aspects of a given geographic location in complex terrains with respect to the quality apple production. Monthly climate data from S6 synoptic stations across South Korea were collected for 1971-2000.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with a 10-m cell spacing was used to spatially interpolate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s based on relevant topoclimatological models applied to Jangsoo county in Korea. For daily minimum temperature, a spatial interpolation scheme accommodating the potential influences of cold air accumulation and the temperature inversion was used. For daily maximum temperature estimation, a spatial interpolation model loaded with the overheating index was used. Freezing risk in January was estimated under the recurrence intervals of 30 years. Frost risk at bud-burst and blossom was also estimated. Fruit quality was evaluated for soluble solids, anthocyanin content, Hunter L and A values, and LID ratio, which were expressed as empirical functions of temperature based on long-term field observations. AU themes were prepared as ArcGlS Grids with a 10-m cell spacing. Analysis showed that 11 percent of the whole land area of Jangsoo county might be suitable for quality 'Fuji' apple production. A computer program (MAPLE) was written to help utilize the results in decision-making for site-selection of new orchards in this region.

A Study on the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s from Small Agricultural Watershed by Applying Surface Covering Scenario using HSPF Model (HSPF 모델을 이용한 지표피복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농촌 소유역에서의 비점원오염 저감연구)

  • Jung, Chung-Gil;Park, Jong-Yoon;Kim, Sang-Ho;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03-10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시험포장($1276.6m^2$)에서의 지표피복 BMPs (Best Management Practices)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얻은 평균 유출저감율을 HSPF 모델에 적용하여 유역차원에서의 비점원오염 저감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별미천 유역($1.21km^2$)을 대상으로 모형의 적용을 위한 입력자료로 기상자료와 지형자료를 구축하였으며 기상자료로 수원, 양평, 이천 기상관측소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지형자료로 격자크기 2m의 DEM (Digital Elevation Model)과 토지이용도는 2006년 5월 1일 QuickBird 영상을 제공받아 기존 환경부, 건교부, USGS의 토지피복분류체계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QuickBird 영상으로부터 추출 가능한 정밀농업정보에 대한 항목을 결정하였으며, 정사보정된 QuickBird 영상을 스크린 디지타이징 기법(On-Screen Digitiz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21개 토지이용항목의 정밀토지이용도를 구축하였다. 실제모니터링으로 측정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위-유량곡선 산정 및 오염부하곡선을 선정, 2011년 6월 8일부터 10월 31일 분석기간으로 HSPF 모델링을 실시하였으며 모의결과 월별 통계에 따른 적용성 분석으로 RMSE (Root Mean Square Error) 는 1.15 ~ 1.76(mm/day), $R^2$는 0.62 ~ 0.78,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NSE)는 0.62 ~ 0.76로 모의치는 실측치와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Sediment, T-N, T-P의 $R^2$는 각각 0.72, 0.62, 0.63으로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험포장으로부터 얻어진 event별 볏짚을 이용한 지표피복시나리오적용 후 밭에서의 평균 유출 약 10 % 유출율 감소 조건과 실제 평균 비점원오염 저감효과 89.7 % ~ 99.4 %의 결과로부터 지표피복효과의 침투효과를 HSPF 모델로 적용하기 위해 침투량(INFILT)를 조절하여 평균유출 약 10 %가 감소되는 16.0 mm/hr 값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Sediment. T-N, T-P의 평균 저감율은 각각 87.2 %, 28.5 %, 85.1 %로 나타났으며 이는 시험포장에서의 실제 평균 비점오염 저감효과 89.7 % ~ 99.4 %에 근접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침투량 조절에 따른 지표피복(침투짚단)효과는 Sediment, T-P에서 저감효율이 80 % 이상으로 높았지만 T-N은 약 30 %로 낮은 저감율을 보임으로써 저감효과가 크지 않음을 나타냈다.

  • PDF

Analysis of the Geological Structure of the Hwasan Caldera Using Potential Data (포텐셜 자료해석을 통한 화산칼데라 구조 해석)

  • Park, Gye-Soon;Yoo, Hee-Young;Yang, Jun-Mo;Lee, Heui-Soon;Kwon, Byung-Doo;Eom, Joo-Young;Kim, Dong-O;Park, Chan-H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9 no.1
    • /
    • pp.1-12
    • /
    • 2008
  • A geophysical mapping was performed for Hwasan caldera which is located in Euisung Sub-basin of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previous studies, remote sensing technic was used and dense potential data were obtained and analyzed. First, we analyzed geological lineament for target area using geological map, digital elevation model (DEM) data and satellite imagery. The results were greatly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and showed that N-S and NW-SE direction are the most dominant one in target area. Second, based on the lineament analysis, highly dense gravity data were acquired in Euisung Sub-basin and an integrated interpretation considering air-born magnetic data was made to investigate the regional structure of the target area. The results of power spectrum analysis for the acquired potential data revealed that the subsurface of Euisung Sub-basin have two density discontinuities at about 1 km and 3-5 km depth. A 1 km depth discontinuity is thought as the depth of pyroclastic sedimentary rocks or igneous rocks which were intruded at the ring vent of Hwasan caldera, while a 3-5 km depth discontinuity seems to be associated with the depth of the basin basement. In addition, three-dimensional gravity inversion for the total area of Euisung Sub-basin was carried out, and the inversion results indicated two followings; 1) Cretaceous Palgongsan granite and Bulguksa intrusion rocks, which are located in southeastern part and northeastern part of Euisung Sub-basin, show two major low density anomalies, 2) pyroclastic rocks around Hwasan caldera also have lower density when compared with those of neighborhood regions and are extended to 1.5 km depth. However, a poor vertical resolution of potential survey makes it difficult to accurately delineate the detailed structure caldera which has a vertically developed characteristic in general. To overcome this limitation, integrated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magnetotelluric data on the corresponding area with potential data and we could obtain more reasonable geologic structure.

A Study on the Precise Lineament Recovery of Alluvial Deposits Using Satellite Imagery and GIS (충적층의 정밀 선구조 추출을 위한 위성영상과 GIS 기법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이수진;석동우;황종선;이동천;김정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363-368
    • /
    • 2003
  • We have successfully developed a more effective algorithm to extract the lineament in the area covered by wide alluvial deposits characterized by a relatively narrow range of brightness in the Landsat TM image, while the currently used algorithm is limited to the mountainous areas. In the new algorithm, flat areas mainly consisting of alluvial deposits were selected using the Local Enhancement from the Digital Elevation Model (DEM). The aspect values were obtained by 3${\times}$3 moving windowing of Zevenbergen & Thorno's Method, and then the slopes of the study area were determined using the aspect values. After the lineament factors in the alluvial deposits were revealed by comparing the threshold values, the first rank lineament under the alluvial deposits were extracted using the Hough transform In order to extract the final lineament, the lowest points under the alluvial deposits in a given topographic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rank lineament were determined through the spline interpolation, and then the final lineament were chosen through Hough transform using the lowest points. The algorithm developed in this study enables us to observe a clearer lineament in the areas covered by much larger alluvial deposits compared with the results extracted using the conventional existing algorithm. There exists, however,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rank lineament, obtained using the aspect and the slope, and the final lineament. This study shows that the new algorithm more effectively extracts the lineament in the area covered with wide alluvlal deposits than in the areas of converging slope, areas with narrow alluvial deposits or valleys.

  • PDF

The Use of the Unified Control Points for RPC Adjustment of KOMPSAT-3 Satellite Image (KOMPSAT-3 위성영상의 RPC보정을 위한 국가 통합기준점의 활용)

  • Ahn, Kiweon;Lee, Hyoseong;Seo, Doochun;Park, Byung-Wook;Jeong, Dongj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2 no.5
    • /
    • pp.539-550
    • /
    • 2014
  •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have to be oriented and geometrically processed from GCPs(Ground Control Points) to generate precise DEMs(Digital Elevation Models) and topographic maps. In Korea, thousands of national UCPS(Unified Control Points) are established and distributed all over the country by the Korean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For that reason, UCPs can be easily searched and downloaded by the national-control-point-record-issues system. Following the study, we suggested the sky-view and road-view from web-portals for searching and identifying UCPs on the image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UCPs in RPCs(rational polynomial coefficients) adjustment of the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the one UCP, which of using simple the control point, has been applied to adjust the vendor-provided RPCs of the KOMPSAT-3 images. As a result, the positioning error of corrected RPCs was approximately one pixel and one meter. From this experiment, we conclude that the UCPs will be able to replace the survey GCPs for mapping with the satellite images or aerial im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