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밀 수준측량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1초

공공기준점을 이용한 GNSS 높이측량 정밀도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of GNSS Height Measurement Using Public Control Points)

  • 원두견;최윤수;윤하수;이원종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8-90
    • /
    • 2021
  • 정밀지오이드를 구축하기 위하여 육상, 해상, 항공, 위성 중력측정 방법으로 다양화되고 측정 기술이 발전되어 고해상도 고정밀도의 중력자료 확보가 가능해졌다. 정밀지오이드의 구축은 별도의 수준측량 없이 GNSS 측량을 통해 표고를 빠르고 편리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는 2014년부터 국토지리정보원에서 GNSS를 기반으로 한 높이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합성지오이드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측량의 GNSS높이측량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존의 고시된 공공기준점을 선점하여 GNSS높이측량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은 연구보고서 등에서 정밀도가 낮은 지역으로 제시되거나 정밀도가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연안, 접경, 산악지형의 공공기준점에 대하여 GNSS높이측량을 수행하고 정밀도를 분석하였다. GNSS높이측량 검증을 위해 공공기준점 GNSS높이측량 기지점으로 사용될 주변 통합기준점의 GNSS 타원체고를 점검하였다. 점검된 통합기준점을 기준으로 공공기준점의 GNSS 타원체고를 산출하고 KNGeoid18 모델을 이용하여 표고를 계산하여 직접수준측량 표고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연안, 접경, 산악 지역 공공기준점의 GNSS 높이측량 결과가 3·4급 공공수준측량 정확도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높이 정확도에 따라 기존의 직접수준측량보다 GNSS 높이측량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KNGeoid18도 자율주행자동차, 무인항공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GPS 상시관측점의 실용 표고좌표 결정 (Determination of Practical Orthometric Height for Permanent GPS Station)

  • 윤홍식;황학;송동섭;황진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99-307
    • /
    • 2007
  • 본 연구는 GPS 상시관측점을 이용한 간접수준측량의 활성화를 위한 기반 작업인 GPS 상시관측점의 실용표고 계산에 관한 것이다. 직접수준측량과 GPS 간접수준측량, 그리고 중력측량 결과들을 조합하여 GPS 상시관측점의 안테나 참조점에 대한 표고좌표를 정밀하게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우리나라 수준점 성과의 정밀도와 측량작업의 정밀도에 근거하여 계산된 표고좌표에 대한 기대오차를 예측하고, 실제 측정결과의 정확도를 이용하여 검정함으로써, 계산된 표고좌표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GPS/Leveling을 이용한 정밀 지역 지오이드 구축 (Construction of Precise Local Geoid using GPS/Leveling)

  • 박준규;안종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595-4600
    • /
    • 2014
  • 지오이드는 수직기준면으로서의 큰 의미를 지니며, GPS측량이 활성화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GPS를 이용한 표고측정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신설된 복합기준점에 대한 GPS 및 수준측량을 수행하고 GPS/Leveling을 통해 각 기준점들의 평면위치, 표고 및 지오이드고를 산출하여 정밀 지역 지오이드를 구축하였다. 또한 사이트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GPS 수준측량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를 통해 약 1.5km 간격의 정밀 지역 지오이드를 구축하였으며, GPS 수준측량을 통해 직접 수준측량 성과와 평균 2cm 이내 편차로 표고를 산정함으로써 GPS 수준측량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광역 정밀 지오이드 모델이 개발된다면 표고를 요구하는 측량업무의 간소화 및 효율성의 극대화가 가능할 것이다.

장기간 조위관측자료 분석과 GPS 수준측량 수준원점 성과 재정의 (Redefinition of the Original Benchmark Height using Long-term Tide Observations Analysis and GPS Levelling Methods)

  • 정태준;윤홍식;황진상;이동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93-40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인천만의 장기간 조위관측자료를 웨이블릿 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평균해수변 결정을 위한 최적의 기간을 제시하고, 적정기간에 대한 우리나라의 수직기준을 새롭게 결정하였다. 그 후 결정된 평균해수면과 연안의 지상기준점(ICGP) 간의 정밀한 높이차를 결정하기 위하여 해수면에 대한 직접적인 레이저 관측을 수행하였으며, 결정된 높이차를 전체 조위관측자료에 대해 선형보간법으로 보정하여 ICGP의 정표고를 계산하였다. 최종적으로는 계산된 ICGP의 정표고를 정밀 GPS 관측과 중력지오이드모델을 이용한 GPS 수준측량 방법을 통해 수준원점 (ORBM)과 연결하고, 새로운 평균해수변 기준의 수준원점 정표고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결정된 인천만의 평균해수면은 1910년대의 평균해수면에 비해 약 0.026m가 변동된 것으로분 석되었으며, 새로운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GPS 수준측량에 의해 재정의된 ORBM 성과는기존성과와 약 0.035m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새로운 ORBM 성과에서 나타난 0.009m의 연결오차는 GPS 수준측량시 GPS 타원체고 결정오차와 지오이드모델링 오차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정밀한 GPS 수준측량만으로 새로운 평균해수변에 기준한 ORBM 정표고 성과를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었으며, 향후 정표고 체계로의 효율적인 전환을 위해서는 장기간의 조위관측자료를 이용한 수직기준 결정과 함께 GPS 수준측량을 통한 수준성과의 연결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중량값이 정밀수준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Weight in Precise Levelling Net)

  • 이석찬;조규전;최병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18
    • /
    • 1989
  • 한 나라의 정밀수준망을 구성, 완성하는데는 다양한 장비 및 기술, 오랜 시간이 요구되므로 각각의 측정값에는 각종 오차가 내포되어있다. 따라서 정확한 수준망을 구성하기 위하여는 각각의 수준측량값에 대하여 그 정확도에 상응하는 중량값을 주어야 한다. 본 연구는 수준측대의 오차전파모델로부터 중량값을 추정하고 이를 우리나라 1등수준측량 데이타에 적용시켜봄으로써 적합한 중량함수를 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아울러 우리나라 1등수준측량에 대한 오차분석을 실시하여 좀더 정확한 수준망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와 같이 비교적 큰 정오차가 내포된 수준망에서는 중량함수 W=1/L보다 W=1/$L^2$의 경우가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정밀 수준측량에 있어서 빛의 굴절오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fraction Errors of Light in the Precise Leveling)

  • 이계학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20
    • /
    • 1997
  • 정밀 수준측량은 지각의 상하변동을 조사하거나 지진예지를 위하여 중요한 수단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대기층에서 발생하는 빛의 굴절이 경사지 수준측량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Kukkamaki의 이론과 기상관측 자료를 토대로 Kukkamaki의 보정량이 경사지 전후시 수준측량오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제 실험을 통하여 시도하여 보았다. 실제적으로 경사 1고정측점(2/100∼4/100)에서 전후시 반복관측과 경사지 연속 관측 루트를 통하여 빛의 굴절의 영향과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특히, 경사지 수준측량(2/100-4/100)에서 빛의 굴절오차를 최소화 하기위여는 시준거리를 25-30 m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또한, 경사지연속관측 결과 Kukkamaki의 계산값과 실측값이 거의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준측량장비 개발 및 성능분석 (An Analysis of Bench Mark Accuracy through the Development of Smart Leveling Equipment)

  • 김용석;이기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시대에 맞게 기존 수준측량 장비를 개선한 스마트 수준측량 장비를 개발하였다. 하드웨어부분과 소프트웨어 부분으로 나누어 개발하였으며, 다양한 수준측량 장비를 이용하여 수준점 결과 값에 대한 검측을 실시해 보았다. 수준측량의 검측방법은 국가기준점(UO992)-A, 수준점(15-00-06-24)-B, 수준점(15-00-06-23)-C로 선정하여 왕복수준측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오토레벨과 디지털레벨의 경우 오차범위 내의 안정된 결과 값을 얻을 수 있었고, 스마트 레벨의 경우 A-B구간에서 약 24mm, B-C구간에서 약 26mm가 발생되었다. 이는 하드웨어의 완성도가 부족한 부분이 있었고, 상대적으로 많은 설치횟수 등에 따른 오차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거리구간별 스마트레벨 수준측량을 실시해 본 결과 평균 RMSE가 약 46mm정도 발생되었다. 이 역시 짧은 구간에서는 적은 오차가 발생되었지만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오차가 누적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정밀도의 향상부분에 대하여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추진하여 실생활에 사용가능하도록 향상할 수 있다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정사보정에 의한 정표고의 정밀계산 (Calculation of Precision Orthometric Height by Orthometric Correction)

  • 윤홍식;조재명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7-125
    • /
    • 2004
  • 본 논문은 수준측량 결과에 대한 중력에 의한 영향인 정사보정량을 계산하기 위한 다양한 공식들을 조사하여 수치해석을 통한 정사보정량의 크기와 공식별 계산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수치해석을 위하여 2개의 수준노선을 선정하여 수준측량 결과와 중력데이터를 이용하였다. 공식별 비교결과, 우리나라와 같이 평균표고가 높고, 지형의 기복변화가 심한 지역에서는 실측 중력값을 고려하여 정사보정량을 계산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네트워크 RTK 측량의 사이트 캘리브레이션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te Calibration of Network RTK Surveying)

  • 최한준;이병길;연상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9-107
    • /
    • 2013
  • 최근 측량장비의 발달 및 사용확대와 더불어 국토지리정보원의 네트워크 RTK 측량 기반조성으로 인하여 네트워크 RTK 측량이 측량산업 전반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현재 공공측량작업규정에는 네트워크 RTK 측량 성과를 수준측량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작업지역에 균등하게 분포한 5점 이상의 수준점을 사용하여 사이트 캘리브레이션을 한다고 되어있다. 그러나 지오이드의 기복에 따라 사이트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한 수준점 간의 거리와 필요한 점의 수가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검증하기 위해 지오이드 기복이 완만한 인천지역과 지오이드 기복이 큰 태백지역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RTK 측량을 수행하고 사이트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되는 기준점 간의 거리별, 기준점 개수별로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공공측량 규정에서 정한 수직정밀도(0.1m) 허용범위에 들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RTK 측량의 사이트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되는 기준점의 수와 점간 거리를 상호보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공공측량작업규정의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최신 중력 자료의 획득을 통한 우리나라 지오이드 모델 업데이트 (The Update of Korean Geoid Model based on Newly Obtained Gravity Data)

  • 이지선;권재현;금영민;문지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1-89
    • /
    • 2011
  • 기존의 우리나라의 지상중력 자료는 지역적으로 편향된 분포를 나타내며, 특히 산악지역에서는 그 분포가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GPS/Levelling 자료에서도 나타나며 이로 인하여 지오이드 정확도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2008년부터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통합기준점 및 수준점 중력측량사업에서 새로운 중력 자료 및 GPS/Levelling 자료를 획득하였으며, 특히 이러한 자료들은 기존의 중력 및 GPS/Levelling 자료에 비해 월등한 분포와 정밀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우리나라 지오이드 모델의 정밀도를 개선하는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품질이 검증된 기존 자료와 새롭게 획득된 중력 자료를 포함하여 지오이드 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지오이드 모델의 정밀도는 새롭게 획득된 927점의 GPS/Levelling 자료와 비교한 결과 약 5.29cm로 나타났으며, 합성지오이드의 적합도 및 정밀도는 각각 약 2.99cm와 3.67cm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산출된 최신 지오이드 모델은 새로운 중력 자료를 포함하기 전에 구축된 모델에 비하여 우리나라 전역에서 약 27% 정도 정밀도가 향상되었으며, 특히 현저히 낮은 분포를 보이던 강원 및 경상지역에서는 중력자료의 업데이트에 의하여 약 42%의 정밀도 향상이 이루어 졌다. 2010년에 통합기준점 사업 및 수준점 측량사업을 통하여 약 4,000여점의 중력 자료와 300여점의 GPS/Levelling 자료가 획득되었기 때문에 향후 본 자료들을 함께 활용한다면 지오이드 모델 정밀도의 향상과 더불어 객관적으로 정밀도 검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