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밀 격자

Search Result 29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건식 식각에 의한 고밀도의 정렬된 다이아몬드 바늘 제작

  • 백은송;백영준;전동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57-57
    • /
    • 1999
  • 공기 플라즈마로 다이아몬드 박막을 식각하여 한 방향으로 정렬된 고밀도의 다이아몬드 바늘을 만들었다. 다이아몬드 기판에 적당한 양의 몰리브데늄 박막을 입힌 후 수백 볼트의 음 전압을 걸고 RF 또는 직류 플라즈마로 식각하였다. 바늘의 모양과 밀도는 기판 온도, 압력, 바이어스 전압, 전력, 몰리브데늄 양 등의 식각조건에 따라 결정되었다. 기판 온도가 높으면 바늘이 굵어졌다. 몰리브데늄 박막은 식각마스크로 작용하였는데 때때로 몰리브데늄으로 만들어진 기판 장착대가 스퍼트링되어 저절로 몰리브데늄 박막이 입혀져서 바늘이 만들어지기도 하여 바늘 밀도, 형상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양의 몰리브데뉴 박막을 미리 입히는 것이 좋다. 조건이 잘 맞으면 굵기가 0.1$\mu\textrm{m}$, 바늘 사이 간격이 0.1$\mu\textrm{m}$, 높이는 3$\mu\textrm{m}$ 이상인 다이아몬드 바늘 격자가 만들 수 있었다. 이러한 바늘은 다결정 다이아몬드 박막 뿐만 아니라 고온고압 다이아몬드, 자연 다이아몬드 등으로부터도 만들 수 있었다. 다이아몬드 바늘은 전계 전자 방출 소자, 복합 재료를 위한 다이아몬드 섬유, 방열판, 다공질 다이아몬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Change of Average SCS-CN Value by the Spatial Resolution (공간해상도에 따른 유역평균 SCS-CN값 변화에 관한 연구)

  • 정인균;장은미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215-220
    • /
    • 2004
  • 유역수문모형에서 SCS방법 적용시 입력되는 주요 매개변수인 유역평균 CN값은 RS와 GIS를 적용하면 쉽게 계산이 가능하나, 입력자료의 종류 및 공간해상도의 선택에 따라 같은 자료일 지라도 다르게 계산된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 7 ETM+,SPOT 5, 1:25,000 토지이용현황도, 정밀토양도, 개략토양도를 이용하여 2.5m, 30m 공간해상토의 자료로부터 유역평균CN을 계산하였으며, 이들을 각각 2.5m~1000m 크기의 격자로 재배열하여 유역평균을 비교함으로서 해상도가 유역 CN값 변화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해상도에 따라 일정구간 이상에 대하여 오차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자료의 선택에 따라 유역평균 CN 값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ccuracy Evaluation of Various Digital Elevation Model including LiDAR DEM (LiDAR DEM 및 여러가지 수치표고모델의 정확도 분석)

  • Lee, Suk-Bae;Kim, Jin-Soo;Kim, Cheol-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54-259
    • /
    • 2008
  • 지형의 표고값물 격자간격으로 표현하는 수치표고모델(DEM)은 지형분석을 위한 GIS데이터 활용과 휴대전화 중계안테나의 영향권 분석, 정밀지오이드 계산을 위한 지형효과계산 등 여러 가지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는 수치표고모델을 수집하고 또 진주시 지역을 대상으로 LiDAR촬영을 통한 LiDAR 수치표고모델을 구축하여 그 정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수치표고모델은 GTOPO30, SRTM-3, 지형도(1/50,000) 독취 DEM, 환경부 DEM, 항공사진에 의해 생성된 DEM, 그리고 LiDAR DEM의 6가지이며, 정확도 분석을 위해 GPS측량과 수준측량이 동시에 실시된 409점의 진주시 3차원 도시기준점 성과를 이용하였다.

  • PDF

초정밀 반도체 및 TFT-LCD FAB 동적 구조 설계를 위한 PC형 격자보 구조물의 동적 특성 평가 및 개선 방안

  • 손성완;김강부;전종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conductor Equipment Technology
    • /
    • 2004.05a
    • /
    • pp.195-201
    • /
    • 2004
  • In design stage of high precision manufacture/inspect ion FAB building,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vibration allowable limits of high precision equipment and to study a structure dynamic characteristics of C/R and Sub-structure in order to provide a structure vibration environment to satisfy thess allowable limi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PC-Type mock-up structures designed for next TFT LCD FAB through vibration measurement and analysis procedure, therefore, to provide a proper dynamic structure design for high precision manufacture/inspection work process, which satisfy thess allowable limits.

  • PDF

DSM Generation using LIDAR and Image Data (라이다 데이터와 항공영상을 이용한 DSM 생성)

  • Hong, Ju-Seok;Choi, Kyoung-Ah;Lee, Im-Pyeong;Min, Seung-Ho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66-71
    • /
    • 2009
  • 최근 가상도시, 위치기반시스템 등 여러 분야에서 도심지역의 고해상도 DSM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고해상도 DSM을 획득하는데 항공 라이다 측량은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레이저 펄스는 도시건물의 모서리와 코너보다는 주로 표면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라이다 DSM은 명확한 수직 breakline을 포함하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라이다 데이터와 항공영상의 결합을 통해서 고품질의 도시지역 DSM을 생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법은 (1) 서로 다른 두 센서에서 획득된 라이다 데이터와 영상의 기하 정합, (2) 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영상정합, (3) 영상정합을 통해 획득된 지상점과 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DSM 생성순으로 이루어진다. 영상 정합을 위한 지상점의 초기값으로 대상지의 평균고도를 높이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라이다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높이를 사용한다면 영상 정합이 아주 정밀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와 함께 정합된 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지상점은 라이다 데이터 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갖게 된다. 따라서 DSM 생성을 위한 격자에 라이다 데이터와 영상정합의 결과로 얻어진 지상점 모두를 내삽에 이용하여 DSM을 생성하고자 한다.

  • PDF

The Accuracy Improvement of FBG Temperature Sensor by using Wavelet Transform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광섬유 격자 온도센서의 정밀도 개선)

  • Cho, Yo-Han;Kim, Hyun-Jin;Song, Min-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5 no.5
    • /
    • pp.73-78
    • /
    • 2011
  • We developed a noise reduction algorithm for the measurement accuracy improvement of a fiber-optic distributed temperaure sensor system. The denoising technique is based on the wavelet transform. The proposed algorithm was applied to a FBG sensor output with the Gaussian line-fitting algorithm to minimize the output noise which originated from the intensity noise of the laser light source and the instability of signal porcessing. We confirmed the feasibility of the denoising algorithm by comparing the measurement results with those obtained with the Gaussian line-fitting algorithm only.

Virtual Flutter Test of Spanwise Curved Wings Using CFD/CSD Coupled Dynamic Method (CFD/CSD 정밀 연계해석기법을 이용한 3차원 곡면날개의 가상 플러터 시험)

  • Kim, Dong-Hyun;Oh, Se-Won;Kim, Hyu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5.11a
    • /
    • pp.457-464
    • /
    • 2005
  • The coupled time-integration method with a staggered algorithm based on computational structural dynamics (CSD), finite element method (FEM) an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demonstrate physical vibration phenomena due to dynamic aeroelastic excitations. Virtual flutter tests for the spanwise curved wing model have been effectively conducted using the present advanced computational methods with high speed parallel processing technique. In addition, the present system can simultaneously give a recorded data fie to generate virtual animation for the flutter safety test. The results for virtual flutter test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of wind tunnel test. It is shown from the results that the effect of spanwise curvature have a tendency to decrease the flutter dynamic pressure for the same flight condition.

  • PDF

Qualitative Analysis of Bleached Holographic Diffraction Grating (홀로그래피 위상형 회절격자의 정성적 해석)

  • Nam Kim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3 no.3
    • /
    • pp.148-154
    • /
    • 1992
  • With nonhardening fixer, dichromated bleacher and alcohol drying, the diffraction efficiency of over 71o/c has been achie'{ed for holographic phase gratings in silver halide emulsion. The swollen emulsion of Agfa 8E75 HD film is identifi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fter chemical processing. Dichromated bleacher and rapid dehydration using alcohol drying make a strong modulation so that diffraction efficiency is. increased over 20%. The principal characteristic parameters in coupled wave theory are investigated and new modified parameter values are presented by computer simulation. Controlling the emulsion thickness has an important role as a potential source for high diffraction efficiency.ciency.

  • PDF

A study on Watershed Model for Predicting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Urban Area (도시 지역의 유출량 변화 예측을 위한 유역 모델 연구)

  • Lee, Hye-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1 no.12
    • /
    • pp.1089-1094
    • /
    • 2009
  • The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was applied to Princeton University campus, USA to predict the change of the runoff characteristics. Topography and infra structure of urban area are used in detail and watershed is made as form of regular squar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ata. Princeton campus was divided into 131 sub-basins and model input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DEM (Digital Elevation Model), land use type, and campus management map, etc.. The model was validated based on the measured meteorological data. The validated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change of the runoff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urbanization, which are two different scenarios: 50% and 100% increase of impervious area. The increase of impervious area causes the increase of runoff, especially in the first-flush.

Collimation testing of a white light beam and measurement of chromatic aberration of a lens by using vernier Moire fringe patterns (버니어 무아레 무늬를 이용한 백색광의 시준 검사 및 렌즈의 색수차 측정)

  • 송종섭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1 no.4
    • /
    • pp.232-238
    • /
    • 2000
  • The new collimation testing technique of a white light beam using vernier Moire fringes of two line or circular gratings with different pitches is presented. We can visually measure the defocusing ($\Deltaf$), the divergence angle ($\theta$), and the 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 $(L_{ch})$ of a collimating lens by using the technique. For example, we obtained $\Deltaf$= 21.9 mm and $\theta=0.0038^{\circ}$ for a testing lens with the focallengthf = 120.0 mm and F-number of F/2.4. The 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 $L_{ch}$ of another testing lens withf = 65.0 mm, F/1.6, and the Abbe number V = 64.1 for the incident wavelengths of $\lambda_1=480 nm and \lambda_2=640 nm$ is easily measured by same technique. It is found that the measured value $L_{ch}=1.59mm(\pm0.01mm)$ is well agreed with $L_{ch}=1.58mm(\pm0.01mm)$ obtained by the autofocus meth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