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문

검색결과 1,600건 처리시간 0.03초

반응표면설계법(反應表面設計法)을 이용한 고로(高爐)슬래그 경량기포(輕量氣泡)콘크리트 제조(製造)의 최적화(最適化) (Application of response surface design for the optimization of producing lightweight aerated concrete with blast furnace slag)

  • 김상우;오수현;정문영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1권3호
    • /
    • pp.39-47
    • /
    • 2012
  • 고로슬래그(BFS) 경량기포콘크리트 제조의 최적 배합비를 도출하기 위해 반응표면분석법 중 하나인 Box-Behnken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량기포콘크리트는 상압증기양생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주요 실험변수로는 물/분체($W/P_d$)비, BFS 치환률 그리고 분체량($P_d$) 기준 Al분말 첨가량을 설정하였다. 반응표면분석에 의해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절건비중 및 압축강도에 대한 회귀 모델식이 유도되었다.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절건비중과 압축강도에 대한 목표값을 각각 0.72와 4.42 MPa로 설정하고 회귀 모델식에 의해 도출된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최적 배합비는 $W/P_d$비 0.62, BFS 치환률 35.5% 그리고 분체대비 Al분말 첨가량 0.05%이었다. 이처럼 도출된 배합비로 제조한 경량기포콘크리트 시험체에 대한 절건비중과 압축강도의 측정값을 통해 회귀 모델식의 신뢰성이 확인되었다.

폐콘크리트 분말을 혼합한 모르타르 및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유동 및 강도특성 (Flowability and Strength Properties of Mortar and Self-Compacting Concrete Mixed with Waste Concrete Powder)

  • 최연왕;정문영;문대중;김성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517-526
    • /
    • 2006
  • 본 연구는 폐콘크리트를 파쇄하여 고품질 재생골재로 제조시 발생되는 폐콘크리트 분말(WCP)을 자기충전 콘크리트(SCC)용 혼화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분말도가 928 및 $1,360cm^2/g$인 2종류의 폐콘크리트 분말(WCP)을 혼합한 시멘트 페이스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폐콘크리트 분말은 각진 형태의 다공성 재료로 자기충전 콘크리트(SCC)용 혼화재료로 활용할 경우 유동성 및 점성은 혼합률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자기충전 콘크리트(SCC)의 목표성능기준을 만족하는 혼합률은 15%이내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폐콘크리트 분말(WCP2)을 15 및 30% 혼합한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약 36 및 28MPa를 나타내었으며, 압축강도와 정탄성계수의 관계에는 CEB-FIP 에서 제시한 함수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보통강도용 자기충전 콘크리트(SCC)의 혼화재료로 폐콘크리트 분말(WCP2)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금합금 연마재 종류에 따른 금합금 소실량과 연마 정도 (THE AMOUT OF LOSS AND THE DEGREE OF SURFACE SMOOTHNESS OF GOLD ALLOY BY GOLD ALLOY POLISHING RUBBER POINT MATERIALS)

  • 김명화;임순호;정문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77-295
    • /
    • 1997
  • After clinical adjustment of dental casting restoration, re-polishing procedure is recommanded because the smooth gold sureface is lost. But there is the possibility to get more loose contact than that intended by loss of gold alloy according to the kinds of polishing materials and polishing time. Therefore in this study I polished type II gold alloy with 390gm force, 20,000rpm speed, and 8 kinds of gold alloy polishing materials, fabricated by 4 companies and then measured the amount of loss of gold alloy with Surfcorder SEF-30D and observed alloy surfaces polished by 3 brown rubber points with SEM. The amount of loss of gold alloys polished with 8 kinds of polishing materials and the degree of smoothness of gold alloys according to polishing time and polishing materials were compa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When the amount of loss of gold alloys polished with 3 kinds of brown rubber point was compared, Alphalex brown point had the most amount of alloy loss, followed in decreasing order by Shofu brown point and Eveflex brown poin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alloy loss according to polishing materials. 2. When the amount of loss of gold alloys polished with 5 kinds of green rubber point was compared, Shofu green point had the most amount of alloy loss, followed in decreasing order by Alphaflex green point, Dedeco green clasp polisher, and Eveflex green poin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alloy loss according to polishing materials except Alphaflex green point and Dedeco green clasp polisher. 3. When the amount of loss of gold alloys polished with all kinds of rubber point was compar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veflex brown point, Alphaflex green point, and Dedeco green clasp polisher. 4. When average amount of alloy loss per 1 revolution by polishing materials was compared, Alphalex brown point had the greatest value as $0.329{\mu}m$ and Shofu supergreen point had the lowest value as $0.022{\mu}m$. 5. When the degree of sureface smoothness of gold alloy polished with 3 kinds of brown rubber point was compared, In Alphalex brown point surface roughness was completely lost after 20 seconds polishing time, in Shofu brown point 30 seconds, in Eveflex brown point 40 seconds. But in every gold alloys fine scratch formed by rubber points was obser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rubber polishing materials used in polishing of dental casting restoration after clinical adjustment influenced on the tightness of occlusal or proximal contact, we should make dental casting restoration with minimum error through careful laboratory procedure and form very smooth surface of restoration with tripoli and rouge after use of silicone polishing materials.

  • PDF

구강점막 상피세포에 대한 치과 주조용 비귀금속 합금의 세포독성 (CYTOTOXICITY OF DENIAL CAST BASE METAL ALLOYS ON HUMAN ORAL KERATINOCYTES)

  • 최영진;육종인;정문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17-729
    • /
    • 1999
  • Although many studies on the cytotoxicity of the dental cast base metal alloys and their components have been carried out, the results are rather conflicting because of the different type of cells used and the various experimental procedures taken. Recently a number of scientists have claimed that it would be preferable to focus on the use of cells from relevant specific location of the human bodies. Consequently, the primary cultured oral keratinocyte derived from oral mucous along with nickel chloride and several of widely used dental cast base metal alloys(two Ni-Cr alloys and one Co-Cr alloy)in domestic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from which 1) The amounts of released metal ions were determined usin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2) The cytotoxicity of nickel chloride and dental cast base metal alloys was evaluated via MTT assay, and finally, 3) The amounts of released metal ions and the cytotoxicity of nickel chloride were correlated with the cytotoxicity of dental cast base metal alloys An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Nickel ion from Ni-Cr alloys and Cobalt ion from Co-Cr alloys resulted in maximum releasing rate during first 2h hours, followed by a decrease in releasing rate with time. Chromium ion were found to be minimal in all alloys. 2. In cytotoxic test. with $40{\mu}M,\;80{\mu}M$ of nickel chloride, there were observed an increase in the relative cell number compared to control samples after 24 hours. With $160{\mu}M$, there was found to be no difference in the relative cell number with control, except that 48 hour showed a increase in relative cell number. With $320{\mu}M$, the relative cell number remained constant and decreased after 48 hours, and with $640{\mu}M$, a continuing decrease in relative cell number was observed throughout test period. 3 The sensitivity of primary cultured oral epithelium to nickel was lower compared to the cells used in other studies. 4. CB-80 Soft and Regalloy showed no cytotoxicity to primary cultured oral epithelium and New crown resulted in a slight cytotoxicity.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the primary cultured oral keratinocytes could be applied successfully as testing cells in cytotoxicity test. Futhermore, the dental cast base metal alloys us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be biocompatible.

  • PDF

청국장에 관한 연구(I) -청국장 제조과정에 있어서 콩단백질의 변화에 관하여- (Studies on Chung-Kook-Jang (Part I) -On the changes of soy-bean protein in manufacturing Chung-Kook-Jang-)

  • 이계호;이효지;정문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3호
    • /
    • pp.191-200
    • /
    • 1971
  • 콩 및 장류 연구의 일환으로서 세균효소에 의하여 콩단백질을 분해하는 강력한 protease생산균주를 얻기 위하여 전국 9개도에서 볏짚을 수집하였다. 수집시료로부터 Dilution pour plate에 의하여 protease생산성 균주 총 23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다. 순수분리된 전균주에 대하여 portease생산성을 screening하고 protease을 강력히 생산하는 우수균주를 선정 하였다. 우수균주인 $D_9$$F_{20}$ strain이 생성한 protease의 최적작용조건을 검토한 결과 optimum pH가 7.5이고 optimum temperature는 $40^{\circ}C$ 임을 알았다. 청국장은 다른 장류와는 달리 세균으로서 단시간 동안에 단백질을 분해시켜 만들음으로 특유한 식품인 것이다. 우수균주로 분리 선정된 $D_9$$F_{20}$ strain과 Bac. natto strain을 starter로하여 청국장을 제조하는데 세균의 protease에 의하여 콩단백질의 분해로 수용성질소화합물이 증가함을 알았다. 삶은 콩과 우수균주로 선정된 균주에 의하여 제조된 청국장에 대하여 질소형태의 변화를 보면 청국장 제조과정에서 수용성질소가 85%, TCA가용성질소, amino 태질소, peptide 태질소는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반대로 삶은콩은 수용성질소가 감소하였다.

  • PDF

한의치료와 '마음의 방 그리기'를 활용한 공황장애 치험 1례 보고 (A Case Report on Panic Disorder Patient Using the 'MRM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and Korean Medicine Therapy)

  • 김지수;정문주;이가원;유영수;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7-211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progress of treatment and improve clinical use after conducting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the main technique of Mindfulness & Loving Beingness psychotherapy, for a patient with panic disorder. Methods: We conducted a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for 10 sessions on an age 23 female diagnosed with panic disorder based on the DSM-5 diagnostic criteria. After receiving consent from the subject, through chart review, the progress of treatment was observed focusing on the MMPI-2 and CSEI-s (The Core Seven Emotions Inventory-short form) conducted pre- and post-treatment.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Wonkwang University Sanbon Hospital (WMCSB202007-55). Results: 1. The MMPI-2 clinical scales of an age 23 female with panic disorder showed a 7 (Pt)-1 (Hs)-3 (Hy) profile pre-treatment, but for post-treatment, the scale showed 1 (Hs)-3 (Hy) profile, and the 7 (Pt) scale showed significant decline. In the MMPI-2 reconstructed clinical scales, RC7 (Dysfunctional Negative Emotions) and RC8 (Aberrant Experiences) showed significant decline. 2. In the pre- and post-treatment MMPI-2 content scales, Anxiety, Fears, Obsessiveness, Social Discomfort, and Work Interference scores decreased, showing overall positive stability. On the MMPI-2 supplementary scales, the Anxiety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cores decreased, and the Ego Strength increased, resulting in improved overall psychological adaptation. 3. Pre- and post-treatment of an age 23 female with panic disorder, CSEI-s showed significant decline of 恐, 驚, 悲, and 思. So it seems that the emotions caused by Chiljeongsang (七情傷) were more stable than before treatment. Conclusions: As shown above, the treatment of panic disorder through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a major technique of Mindfulness & Loving Beingness psychotherapy, showed positive changes in MMPI-2 as well as improvement of the subjective symptoms. Thus, Mentalizing the Rooms of Mind has high clinical use, and it seems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manual for this in the future.

새로운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암제 DA-125의 랫트에 있어서 태자독성효과 (Embryotoxic effects of DA-125, a new anthracycline anticancer agent, in rats)

  • 정문구;김종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65-172
    • /
    • 1994
  • DA-125는 새로운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암성 항생제로서 아드리아마이신의 유도체이다. Sprague-Dawley 랫트를 이용하여 DA-125의 배아 및 태자독성발현능력을 조사하였다. 교미확인(정충확인일=0일)된 120마리의 랫트를 4개군으로 나눈후 0, 0.1, 0.3 및 1.0mg/kg의 용량으로 임신 7일 부터 임신 17일까지 1일 1회 연속 정맥투여 하였으며 임신 20일째에 제왕절개를 하여 태자를 적출하였다. 1mg/kg 투여군에서는 모동물의 사료섭취량의 감소, 체중감소 및 비장중량의 감소와 배아 흡수율의 증가 및 태자체중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또한 여러가지 종류의 외표, 내부장기 및 골격기형들이 각각 11.9, 41.8 및 14.5%의 빈도로 출현했다. 그중 특이 기형소견으로는 뇌탈출증, 복벽파열, 외측 및 제3뇌실의 확장, 늑골유착 등을 들 수 있다. 0.1 및 0.3mg/kg 투여군에서는 어떠한 배아 및 태자 독성증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DA-125는 랫트에 있어서 경미한 모독성 용량에서 배아 및 태자독성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PDF

화학적수식에 의한 Bacillus subtilis ED 213 Cytidine Deaminase의 활성부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e Site of Cytidine Deaminase from Bacillus subtilis ED 213 by Chemical Modification)

  • 박정문;박상원;서태수;김정;유대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3-138
    • /
    • 1999
  • Bacillus subtilis ED 213의 cytidine deaminase 의 활성부위에 존재하는 필수 아미노산잔기를 화학수식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본 효소는 1mM o-phenanthroline 에 의하여 효소활성이 43% 저해되어 효소활성 발현에 Fe\sup 2+\가 요구된다고 추정되며, 1mM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에 의해서는 효소활성이 오히려 28% 정도 촉진되었다. 본 효소는 1mM N-bromosuccinimide, 1mM chloramine-T 와 1mM $\rho$-chloromercuribenzoic acid에 의하여 100% 저해되었으며, 그의 저해 양상은 경쟁적 저해 양상을 나타내었다. 본 효소의 효소활성은 1mM pyridoxal-5-phosphate 에 의항 36% 저해되었으며, 1mM 1ethyl-3-carbodiamide 와 1mM glycine methylester에 의해 저해된 효소활성이 5mM cysteine에 의해 완전히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Bacillus subtilis ED 213 cytidine deaminase의 활성부위에는 tyrosine, methionine, cysteine 과 serine 잔기가 관여할 뿐만 아니라 lysine 과 glycine 도 효소활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금붕어 (Carassius auratus L.) 상처치유과정중 피부색소체계의 재분화에 관한 연구 (Redifferentiation of the Cutaneous Pigment System during the Wound Healing Process in the Goldfish, Carassius auratus)

  • 문명진;정문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27권1호
    • /
    • pp.71-86
    • /
    • 1997
  • 상처치유과정중 관상어류 피부 색소체계의 재분화경로를 규명하기 위하여 외부 색채가 화려한 담수산 금붕어 (Carassius auratus L.)를 실험재료로 하여 피부의 일정부위에 인위적인 상처를 유도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조직과 색소 체계의 치유과정을 고배율의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금붕어 피부 색소세포는 정상조직에서 황색소세포, 백색소세포 그리고 혹색소세포 등 세 종류의 진피성 색소세포로 이루어져 있었다. 황색소세포에는 pterinosome과 carotenoid vesicle 등 두 종류의 색소과립이 분포되어 있었고, 백색소세포와 혹색소세포에는 무정형 색소결정인 leucosome과 전자밀도가 높은 구형의 색소과립인 melamosome이 각각 함유되어 있었다. 초기 상처치유반응은 상처 유도직 후에 표면 손상부위로 전이되는 상피세포와 혈구세포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상처 유도후 $5\sim7$일이 경과된 조직의 표본에서는 조면소포체가 특이하게 발달되어 진피성 색소세포의 공통 원기로 추정되는 세포의 출현이 확인되었다. 또한 재생된 조직내에서 재분화된 색소세포는 상처유도 후 3주가 경과된 표본에서 처음 관찰되었다. 색소과립의 재분화 경로는 세포 내에서의 색소과립 형성 과정과 마찬가지로 색소세포내에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와 골지체를 경유한 후, 분비소포의 형태로 생성림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재분화된 색소세포로 유입되는 색소 원기물질은 음세포과립을 통하여 수송되었는데, 특히 조면소포체가 풍부한 원기세포와 연접된 색소세포의 원형질막에서 매우 활발한 물질의 수송이 관찰되었다. 한편, 각 색소세포의 일차적인 재분화과정은 상처 유도후 4주가 경과되어 피부 상처가 치유되는 시점을 전후하여 완료되었으나, 재분화된 색소세포의 수나 분포밀도는 충분한 체색발현을 위한 상태에 비해 크게 미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특별한 환경의 변화가 없는 한, 상처유도 이전의 색소체계와 동일한 상태로의 복구에는 적어도 3개월 이상이 소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밤호박의 저장 온도와 습도가 품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torage Conditions on Qualities of Buttercup Squash (Kabocha))

  • 한진숙;정문철;김성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44-651
    • /
    • 2007
  • 수확 직후 농가방식으로 후숙시킨 밤호박(구리지방 품종)을 저장조건별로 130일간 저장하면서 저장온도와 습도에 따른 밤호박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저장조건은 대조구(산지 저장고 저장), 온도 $12^{\circ}C$의 습도 40, 60, 80% RH 처리구, 온도 $20^{\circ}C$의 습도 40, 60, 80% RH 처리구 등 7처리구로 하였다. 부패율은 습도보다는 온도의 영향을 더 받아 $20^{\circ}C$ 저장구는 저장초기인 20일부터 급격하게 부패가 진행되었다. $20^{\circ}C$ 저장구는 20일까지 당도가 계속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저장일이 증가함에 따라 당도는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습도가 낮을수록 당도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12^{\circ}C$ 저장구는 저장초기 급격한 당도 증가 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짐이 따라 당도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습도에 의한 영향은 크게 받지 않았다. 저장에 따라 경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 처리구도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품질에 크게 영향을 주는 수준은 아니었다. 밤호박 표피의 명도는 기간이 경과하면서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12^{\circ}C$ 저장구보다 $20^{\circ}C$ 저장구에서 그 변화가 더 컸다. 펙틴함량의 변화는 $20^{\circ}C$ 저장구는 습도와 관계없이 저장 20일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로는 감소하였는데 $12^{\circ}C$ 저장구에서는 $20^{\circ}C$ 저장구보다 펙틴의 감소율이 적었으며 60% RH 저장구에서는 저장에 따른 총 펙틴함량에 거의 변화가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밤호박의 저장을 위해서는 호흡이 억제되는 $12^{\circ}C$에 습도는 60%이하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